$\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에 참여한 예비 화학교사의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에서 고려된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 및 연계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PCK Components and Their Integrations in Developing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articipating in Constructive Performance Assessment Workshop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4, 2018년, pp.505 - 518  

이재원 (서울대학교) ,  류고운 (서울대학교) ,  강석진 (전주교육대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  강훈식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에 참여한 예비 화학교사가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 지식(PCK) 구성 요소와 구성 요소 사이 연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8명의 예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이들은 3주간의 구성주의적 수행평가 워크숍 후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하였다. 예비교사의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발성 사고법을 사용하였고, 활동을 녹음 및 녹화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개별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의 구상 단계에서는 과학 평가, 교수 전략, 학생, 내용에 관한 지식이 거의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고, 구체화 단계에서는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이 주로 나타났다. 조별 논의 과정에서는 과학 평가, 교수 전략, 학생에 관한 지식의 비율이 거의 같았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에 관한 지식과 하위 요소 중 과학 과정 지식을 고려한 경우는 드물었다. PCK 구성 요소 사이의 연계는 개별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의 구상 단계에서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나타났고, 구체화 단계와 조별 논의 과정에서는 학생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교육과정과 내용에 관한 지식이 다른 PCK 구성 요소와 연계되는 경우는 적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components and their integrations in the processes of developing performance assessment task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ve performance assessment workshop. Eight p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과교육학지식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맥락에서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협력적 수행평가 워크숍 활동의 효과(Falk, 2012)나 학교 현장의 수행평가 상황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PCK에 대한 연구(Min, 2012)가 이루어졌다. 또한 교사의 평가 전문성은 단기간에 향상되기 어려우므로 예비교사 단계에서부터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예비 화학교사의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에서 나타난 PCK 구성 요소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Noh et al., 2017)도 진행되었다. 선행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이 수행평가 과제 개발 과정에서 고려하는 PCK 구성 요소는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에 편중되어 있었고 PCK 구성 요소 사이의 연계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교육학지식이란 무엇인가? 과학교사의 전문성 함양은 지식 기반 사회의 도래에 따른 과학교육의 변화와 혁신에서 핵심 요소이다(Lim, 2003; van Driel, Beijard, & Verloop, 2001). 교사의 전문적 지식 체계를 나타내는 교과교육학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은 교사의 전문성 수준을 대표하는 지표이므로(Kim et al., 2011; Noh et al.
연구 참여자로 3학년을 선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충청북도 소재의 1개 대학교에서 과학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 강좌를 수강 중인 화학교육과 3학년 예비교사 8명(남학생 3명, 여학생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로 3학년을 선정한 이유는 이들이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일반적인 예비교사의 수준과 큰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으며, 2년 동안 다양한 교육학 강의를 수강하여 기초적인 교육학적 지식을 갖추고 있는 상태이므로 예비교사의 PCK 계발 및 수행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이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였기 때문이다. 연구 참여자 중 7명은 지난 학기 다른 강좌에서 수행평가의 개념과 방법 등 기초적인 수행평가 이론을 학습한 상태였고, 다른1명의 연구 참여자는 이번 학기에 과학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과 교육평가 강좌를 동시에 수강중인 상태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bell, S. K. (2008). Twenty years later: Doe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main a useful ide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405-1416. 

  2. Aydin, S., & Boz, Y. (2013). The nature of integration among PCK components: A case study of two experienced chemistry teachers.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14(4), 615-624. 

  3. Baek, S.-G. (2000). Principles of performance assessment. Seoul: Kyoyookbook. 

  4. Beyer, C. J., & Davis, E. A. (2009). Support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ritique and adaptation of science lesson plans us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6), 517-536. 

  5. Beyer, C. J., & Davis, E. A. (2012). Learning to critique and adapt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1), 130-157. 

  6. Bond-Robinson, J. (2005). Identify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the chemistry laboratory.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6(2), 83-103. 

  7. Chang, S. (2002). A development of assessment instrument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n technology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8. Cho, H., & Ko, Y. (2008). Re-conceptualiz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6), 618-632. 

  9. Choi, J.-Y., & Song, K.-O. (2005). Effects of different featur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eachers’ instructional practices in their social studies classroom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8(2), 411-430. 

  10. Doran, R., Chan, F., & Tamir, P. (1998). Science educator's guide to assessment. Arlington, Virginia: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1. Falk, A. (2012). Teachers learning from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lementary science: Reciprocal relations between formative assessment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2), 265-290. 

  12. Fenstermacher, G. D., & Richardson, V. (1993). The elicitation and reconstruction of practical arguments in teach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2), 101-114. 

  13. Friedrichsen, P., Abell, S. K., Pareja, E. M., Brown, P. L., Lankford, D. M., & Volkmann, M. J. (2009). Does teaching experience matter? Examining biology teachers’ prior knowledge for teaching in an alternative certification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4), 357-383. 

  14. Go, M., & Nam, J. (2013).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94-113. 

  15. Herrenkohl, L. R., Kawasaki, K., & Dewater, L. S. (2010). Inside and outside: Teacher-researcher collaboration. The New Educator, 6(1), 74-92. 

  16. Hong, S.-Y. (2006). Development and efficacy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for enhanc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Joung, K., & Kang, H. (2011). A case study on the use of coteaching in science instruction fo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2), 239-255. 

  18. Kang, S.-P., & Kim, H.-S. (2006). An analysis of the articulation between mathematics and the materials of other subjec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 1-20. 

  19. Kim, G. (2010). Promoting teacher learning: Implications for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3(4), 619-633. 

  20. Kim, K., Yoon, J., Park, J., & Noh, T. (2011).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sidered by secondary science pre-service teacher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teaching demonst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1), 99-114. 

  21. Kim, S. H. (2012). Improving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assessment competence through practice and reflec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2), 277-292. 

  22. Kim, S. Y. (2014). Changes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nd worldviews through teaching practice focused on constructivism.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0(4), 235-254. 

  23. Kind, V. (200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and potential for progres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5(2), 169-204. 

  24. Lee, E. J., Kim, C.-J., Lee, S.-K., Jang, S., Kwon, H. J., & Yu, E.-J. (2007). Internalization of constructivistic science teaching of science teachers participating in a collaborative program between teachers and resear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9), 854-869. 

  25. Lee, I., Kim, B., Lee, B., Jin, J., Park, J., Kim, O., Seo, S., Kim, S., Kang, S., Kwon, J., Kim, S.-W., Paik, S.-H., Shin, D.-H., Lee, H., Cho, H.-H., & Cha, H. (2004). An exploratory study of professional standards of Korean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ssessment of students.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E 2004-5-5. 

  26. Lee, K.-J., & Jeong, J.-W. (200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strument for assessing inquiry level in secondary school science laboratory classroom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7), 507-518. 

  27. Lim, C.-H. (2003). Nature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4), 325-249. 

  28. Loucks-Horsley, S., Stiles, K. E., Mundry, S., & Hewson, P. W. (Eds.). (2009).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science and mathematics. Corwin Press. 

  29.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Kluwer Academic. 

  30. Min, H. J. (2012). Development of assessment expertise model through analyzing realities of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and teacher training.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31. Ministry of Education [MOE] (1998).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assessment [수행평가의 이해]. Seoul: Ministry of Education. 

  32. Noh, T., Lee, J., Kang, S., & Kang, H. (2015).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actual and preferred types of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725-733. 

  33. Noh, T., Lee, J., Kang, S., Han, J., & Kang, H. (2017). The characteristics of the PCK component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considered in developing performanc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2), 291-299. 

  34. Noh, T., Park, J., & Kang, H. (2016). Interactions among PCK component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considered in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5), 769-781. 

  35. Noh, T., Yoon, J., Kim, J., & Lim, H. (201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actors consider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of science teaching demonstr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3), 350-363. 

  36. Park, J., Kang, H., & Han, J. (2017). The influence of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on interactions among PCK components considered in the processes of making written test items by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2), 291-299. 

  37. Park, S., & Chen, Y.-C. (2012). Mapping out the 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 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7), 922-941. 

  38.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39. Park, S.-M. (1998). A theoretical and practical linkage between constructivism and performance assessment. Social Studies Education, 31, 339-356. 

  40. Shin, O. S. (1997). Collaborative inquiry between teachers and researcher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1, 329-344. 

  41. Stanulis, R. N., Little, S., & Wibbens, E. (2012). Intensive mentoring that contributes to change in beginning elementary teachers’ learning to lead classroom discussion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8(1), 32-43. 

  42. Thomas, L., Deaudelin, C., Desjardins, J., & Dezutter, O. (2011). Elementary teachers' formative evaluation practices in an era of curricular reform in Quebec, Canada.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8(4), 381-398. 

  43. van Driel, J. H., Beij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44. Yang, C.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trategy with coteaching and mentoring to improve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beginning teachers in science-gifted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