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 지식(PCK)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the PCK Compon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2 no.5, 2018년, pp.386 - 397  

이재원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류고운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노태희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의 화학 영역 단원에 나타난 PCK 요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CK의 하위 요소 중 주제-특이적 전략, 수직 연계, 수업 목표는 대부분의 교사용 지도서에서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교과-특이적 전략, 평가 방법, 교육과정 변화는 주로 총론에서만 다루고 있었다. 실험 및 탐구, 평가 문항, 평가 측면은 제시된 내용이나 형태에서 구성주의적 접근이 미흡하였다. 수평 연계와 학생에 관한 지식은 관련 내용이 부족하거나 단순히 목록만 제시되어 있었다. 개념 및 이론은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적정 수준을 벗어나는 내용을 일부 포함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CK components in the chemistry uni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ub-components of topic-specific strategies, vertical ar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의미 단위의 분석은 교사용 지도서에서 해당 PCK 요소가 몇번 다루어졌는지는 분석할 수 있었으나, 한정된 교사용 지도서 공간상에서 더 중점적으로 서술한 PCK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자들은 의미 단위의 분량을 고려하여 분석 단위를 더욱 세분화하는 과정을 통해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의 화학 영역 단원에 나타난 PCK 요소를 분석하고, 현행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지향점과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및 평가관을 바탕으로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용 지도서가 교사 연수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는가? 11,12 실제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에서 나타나는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을 조사한 결과,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은 예비 교사의 교수 설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특히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비연속적으로 실시되는 교사 연수와 달리 교사용 지도서는 교사가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14 따라서 교사용 지도서가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 교사의 전문성을 효과적으로 함양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국가 교육과정은 무엇인가? 국가 교육과정은 학문의 발전과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학교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 목표와 방법, 평가 등에 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조직한 국가 수준의 교육 계획이다. 1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년별, 과목별 교육 내용을 구체화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가 개발된다.
교사들이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년별, 과목별 교육 내용을 구체화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가 개발된다.2 이중 교사용 지도서는 교과서에서 충분히 다루지 못한 교육 과정 정보를 안내함으로써 교사가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3,4 교수 목표와 방법, 교과서 내용에 대한 해설 및 각종 교수학습 자료 등을 제공하여 교사의 수업 준비에 실용적인 도움을 준다. 5,6 이에 많은 교사들이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수업의 계획 및 실행에 어려움을 겪는 초임 교사는 경력 교사에 비해 교사용 지도서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1-361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2011. 

  2. Collopy, R.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2003, 103, 287. 

  3. Beyer, C. J.; Delgado, C.; Davis, E. A.; Krajcik, J.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9, 46, 977. 

  4. Sim, Y.; Jong, J.; Park, I. School Science Journal 2017, 11, 67. 

  5. Davis, E.; Palincsar, A. S.; Arias, A. M.; Bismack, A. S.; Marulis, L.; Iwashyna, S. Harvard Educational Review 2014, 84, 24. 

  6. Jeong, H. S.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2002, 14, 409. 

  7. Kwon, C.; Park, B.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010, 21, 247. 

  8. Mulholland, J.; Wallace, J.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5, 42, 767. 

  9. Barab, S. A.; Luehmann, A. L. Science Education 2003, 87, 454. 

  10. Squire, K. D.; MaKinster, J. G.; Barnett, M.; Luehmann, A. L.; Barab, S. L. Science Education 2003, 87, 468. 

  11. Grouws, D. A.; Smith, M. S.; Sztajn, P. The 1990 through 2000 Mathematics Assessmen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Results and Interpretation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Reston, 2004; pp 221-269. 

  12. Putnam, R. T.; Borko, H. Educational Researcher 2000, 29, 4. 

  13. Yang, C.; Song, N.; Kim, M.; Noh, 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6, 36, 681. 

  14. Jeon, Y. 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06, 23, 5. 

  15. Magnusson, S.; Krajcik, J.; Borko, H.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Springer: Dordrecht, 1999; pp 95-132. 

  16. Park, S.; Oliver, J. 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8, 45, 812. 

  17. Loughran, J.; Mulhall, P.; Berry, A.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4, 41, 370. 

  18. Brown, M. W. Mathematics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Routledge: New York, 2009; pp 17-36. 

  19. Schneider, R. M.; Krajcik, J.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02, 13, 221. 

  20. Jang, M.; Joung, Y.; Kim, 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1, 30, 535. 

  21. Lee, S.; Lim, 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6, 35, 205. 

  22. Han, K.; Noh, 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3, 22, 51. 

  23. Kim, J.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8, 27, 75. 

  24. Na, J.; Yoon, H.; Kim, 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5, 34, 183. 

  25. Kim, G.; Lee, 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16, 35, 1. 

  26. Park, B.; Kwon, C.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011, 22, 91. 

  27. Park, S.; Chen, Y. C.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2, 49, 922. 

  28. Shin, Y.; Hwang, E.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2006, 34, 208. 

  29. Males, L. Educative Supports for Teacher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 What is Offered and How is It Expresse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Michigan, US, 2013. 

  30. Cha, J.; Yi, H.; Noh, 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5, 49, 215. 

  31. Lim, M.; Yoo, M.; Nam, 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2, 36, 69. 

  32. Hong, M.; Jeong, 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4, 24, 659. 

  33. Kirschner, P. A.; Sweller, J.; Clark, R. E. Educational Psychologist 2006, 41, 75. 

  34. Klahr, D.; Nigam, M. Psychological Science 2004, 15, 661. 

  35. Sadler, T. D.; Burgin, S.; McKinney, L.; Ponjuan, 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10, 47, 235. 

  36. Davis, E.; Krajcik, J. S. Educational Researcher 2005, 34, 3. 

  37. Drake, C.; Sherin, M. G. Teachers at Work: Connecting Curriculum Materials and Classroom Instruction; Routledge Taylor, and Francis: New York, 2009; pp 321-337. 

  38. Merritt, J.; Krajcik, J. Concepts of Matter in Science Education; Springer: Dordrecht, 2013; pp 373-390. 

  39. Taber, K. S.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2001, 2, 123. 

  40. Ko, M. R.; Nam, J. H.; Lim, J.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9, 29, 54. 

  41. Noh, T.; Lee, J.; Kang, S.; Kang,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5, 35, 725. 

  42. Park, S. M. Social Studies Education 1998, 31, 339. 

  43. Kim, E.; Park, H.; Kang, H.; Noh, 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2003, 23, 75. 

  44. Kim, G.; Seong, T.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Performance Assessment;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Seoul, 2002; pp 55-67. 

  45. Kang, S.; Kim, H. Th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6, 31, 1. 

  46. Lee, J.; Ryu, G.; Kang, S.; Noh, T.; Kang,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18, 38, 505. 

  47.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2015. 

  48. Chung, Y.; Son, 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00, 20, 611. 

  49. Park, 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9, 33, 353. 

  50. Lee, B.; Kim, J.; Lee, Y.; Hong, M.; Lee, C.; Shin, I.; Shim, J.; Kwark, Y.; Jung, E.; Korea Institute for Curriclum and Evaluation. Study on Improvement of Science Curricurum; Korea Institute for Curriclum and Evaluation: Seoul, 2005, RRC 2005-7. 

  51. Friedrichsen, P.; Abell, S. K.; Pareja, E. M.; Brown, P. L.; Lankford, D. M.; Volkmann, M. J.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9, 46, 357. 

  52. Finley, F. N. Science Learning: Processes and Applications; International Literacy Association: Newark, 1991; pp 22-27. 

  53. Kauffman, D.; Johnson, S. M.; Kardos, S. M.; Liu, E.; Peske, H. G. Teachers College Record 2002, 104, 2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