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공동체 중심으로서의 작은도서관 - 대구 안심지역의 아띠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Small Libraries as the Center of Local Community: Focused on the case of Atti Library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1, 2018년, pp.77 - 97  

이성신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성희자 (경북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이세나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 동구 안심지역의 아띠도서관이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나갔었던 과정을 탐색해봄으로써 지역사회에서의 작은도서관의 역할과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아띠도서관 만들기모임 초기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띠도서관은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들 간의 인적네트워크가 공고해지고 확장되는 토대가 되었으며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지역의 공동체가 성장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지역의 작은도서관들은 단지 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심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포함하여 자신들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new role of the small libraries in the community as the center of the community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case of Atti library in Daegu.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original members of the Atti library. The int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아공동체의 역할이 강화되고 아이들이 여가를 보낼 수 있는 공간에 필요성으로 나타난 아이디어는? 이후 육아공동체를 통해 성장한 아이들을 위한 교육에 대한 관심과 아이들의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동체는 더욱 확장되고 발전된 형태로 지역사회에서 점차 그 역할을 강화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동체 구성원들은 아이들이 공부하고 여가를 보낼 수 있는 공간에 대한 필요를 공감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결과 나타난 것이 작은도서관이라는 아이디어였다. 이와 같은 의도로 만들어진 초기의 작은도서관은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목적 달성을 위한 공간으로써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심 역할을 하게 되었다.
공동체의 정의? 공동체란 “서로 협력하고 함께 살아가면서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이명호 2016, 91). 지역공동체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지만 근린지역을 근거로 한다던가, 가치나 경제활동, 생활환경을 공유한다거나 마을에서 공통의 규범을 가진다는 특성을 지닌다(이명호 2016, 93-94).
지역공동체의 특징? 공동체란 “서로 협력하고 함께 살아가면서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는 사람들의 집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이명호 2016, 91). 지역공동체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지만 근린지역을 근거로 한다던가, 가치나 경제활동, 생활환경을 공유한다거나 마을에서 공통의 규범을 가진다는 특성을 지닌다(이명호 2016, 93-94). 이러한 측면에서, 마을공동체 혹은 지역사회 공동체란 가까운 거리에서 서로 상호간에 교류하면서 공통의 규범을 가지고 생활환경을 공유하는 곳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용배. 2003. 지역사회정체성과 사회자본 형성 요인분석. 한국정책과학회보, 7(2): 189-215. 

  2.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homepage. [cited 2018.2.24]. 

  3. Kim, Moon Jung, 2015. "Feminist practices and Politics of Agonism", in Daegu. M. A. thesis. Keimyung University. 

  4. Kim, Bo-il, Cho, Mi Ah and Byeon, Hyeon Ju. 2015. "A Study on Promotion of Small Libraries through an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Op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4): 31-52. 

  5. Kim, Young Kyoung. 2016. "A Study on a Learning Community based within the Small Library Movement in Bucheon City."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3(4): 105-134. 

  6. Kim, Youngcheon. 2012.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eoul: Academy Press. 

  7. Kim, You-Seung. 2014. "A Study on Legal Issues of Smal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3): 381-410. 

  8. Kim, Yoon Young and Jung, Eun Ju. 2016. "The Role and Function of Small Community Library for Foreign Immigrants : the Case Study of Multicultural Library at Wongok-dong, Danwon-gu, Ansan-si."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4): 559-578. 

  9. Kim, Hak Sil. 2015. "The study of Community-Driven Development stategy on the confrontation of Local Community's crisis." Journal of Crisisonomy, 10(5): 179-201. 

  10. Kim, Hyoung-Young. 2012. "Community Social Service and village community." Monthly Welfare Trends :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11. Law Library. [enforcement 2009.9.26.] [law 제9528호, 2009.3.25.]. 

  12. 문순영. 2013. 지역기반 사회적 기업의 특성과 발전과제를 중심으로 : 대구의 두 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6(1): 23-53. 

  13. Park, Gyu-Nam. 2016.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Functional Community Hypothesis by James S. Coleman : The Case of Mini Libraries in Daegu. M. A.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14. Park, Jung Sook. 2013. Introduction to Small Library. Digital Library. 70: 31-46. 

  15. Sung, Heeja and Lee, Gang-Heong, 2013. "The Impact of Rural Residents' Social Participation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Exclusive Attitude toward Outgroup."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4(4): 315-332. 

  16. Sung, Heeja and Jeon, Bo Kyung, 2006. "A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uty in Rural Areas." Journal of Social Welfare Policy. 27: 149-170. 

  17. Shin, Kyounglim and Kim, Miyoung. 2003. Grounded Theory Method. Seoul:Hyunmunsa. 

  18. Yang, Young Kyun. 2012. A Study on the Urban Community Formation and Small Libraries : The Case of Youngin-si. Korean Studies Quarterly, 35(2): 35-67. 

  19. Lee, Myoung-Ho. 2016.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risis and Restoration of the Local Communities." Journal of East and Asian Social Thoughts. 19(1): 87-115. 

  20. 이정호. 2014. 작은도서관 협력 네트워크의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2): 602-632. 

  21. Yang, Byeung-Hoon.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e Programs in Small Libraries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1): 289-309. 

  22. You, Yang-Keun and Park, Song-Yi. 2010.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Small Libraries : Focus o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1): 175-192. 

  23. Yang, Young Kyun. 2012. A Study on the Urban Community Formation and Small Libraries : The Case of Youngin-si. Korean Studies Quarterly, 35(2): 35-67. 

  24. Choi, Jae Yeon. 2015. The Potential and the Limitation of the Community Library as a Community Center. M. A.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25. 홍성태. 2006. 지역발전과 공동체의 가능성 : 생태공동체와 교육공동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26. Helliwell, John F., and Robert D. Putnam 2004.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Biological Sciences." Integrating Neurobiology, Psychology and Social Science 1446(sep 29): 1435-1446. 

  27. Strauss, Anselm and Corbin Juliet.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CA: SAGE Publication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