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자아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A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 Facilitation and Self Efficacy toward Core Competenci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1, 2018년, pp.215 - 232  

강봉숙 (대구 서부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생의 핵심역량 함양과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고등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웹을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이 느끼는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은 5점 중 3.72점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6가지 핵심역량에 대해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의사소통 역량이 4.07점으로 가장 높게, 창의적 사고 역량은 3.66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 이용자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핵심역량 자아효능감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한 결과, 6개 핵심역량 모든 영역에서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인식과 통계적으로 뚜렷하게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방향 설정과 학교도서관 교육을 통한 역량 중심 교육의 실천을 가속화시켜줄 바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library services on foste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doing the research, web survey has been conducted and the data of 211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school library s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5년부터 변경된 PISA의 평가 방법이 교육계에 주는 함의는 깊다. 2015년부터 기존의 교과에 대한 학업성취도 비교 평가에 더하여 협업을 통한 문제해결능력이라는 영역을 새롭게 추가하여 평가하기로 한 것이다. PISA는 지식과 정보를 둘러싼 환경 변화에 따른 사회 전반의 변화와 교육의 목표를 반영한다.
  • ATC21S은 역량 중심으로 평가 방법을 개선하는 국제적 동향을 이끌고 있는 학술 단체로, 생각하는 법, 일하는 법, 일하는 도구, 삶을 사는 기술을 핵심역량으로 제시했다. 또한 이곳에서는 평가 우선 전략을 통해 역량 진단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정규 평가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한 교육 서비스를 핵심 서비스로 하는 학교도서관 또한 이러한 핵심역량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6가지 핵심역량 함양과 학교도서관 서비스 활성화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서비스를 경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6가지 미래 핵심역량 함양 자아효능감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학교도서관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높은 수준의 학교도서관 서비스 수혜를 보다 많이 경험한 학생 이용자는 미래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 특히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관리능력, 문제발견·해결능력, 문화적 소양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민주시민능력을 내용으로 하는 창의지성 역량을 발표하고 창의지성을 기르는 데에 경기 교육의 목표점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도서관의 교육 서비스란 무엇인가? 학교도서관의 교육 서비스란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직․간접적인 교수 활동으로서의 교수(teaching) 혹은 수업(instruction)을 말한다.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서비스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교육과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교육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서관 이용․정보활용교육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가? 학교도서관에 대한 교육은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수 활동으로 도서관 이용․정보활용교육(Information and Library Use Education)을 말한다. 이는 학생들이 학교도서관과 정보자료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으로 도서관 이용지도, 범 교과 독서교육, 정보활용 교육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반면,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교육은 각 교과 학습 시간에 학교도서관의 시설과 공간, 정보 자료 및 기기를 바탕으로 교과의 학습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교육활동으로 학교도서관을 도구적으로 활용하여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려는 교육활동을 의미한다.
학교도서관의 역할은 무엇인가? 학교도서관은 인쇄 매체 중심의 운영체제와 교수-학습 활동 지원 수준의 봉사에 그치는 전통적인 운영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는 운영체제와 교수-학습 활동의 동반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과 심층적 학습을 위한 책 읽기 습관의 함양 및 탐구 중심의 수업방법으로의 개선을 위한 지원과 더불어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의 제공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과 개별학습을 위한 지원은 물론 지역주민의 평생학습과 청소년의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까지도 수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im, Eun-jung and Ki-Ho Song. 2015. "The Effects of Creative Writing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2): 5-23. 

  2. Seo, Haeng Min and Byeong-Ki Lee. 2015. "The Effects of Writing Future Autobiography Using Information Activities on High School Student's Ego-ident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599-620. 

  3. Sejong City Office of Education. [online]. . [cited 2018. 2. 18]. 

  4. Song, Ki-Ho. 2015. "An Analysis of Elements for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Embedded in Inquiry Task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3): 1-20. 

  5. Yang, So-Ra. 2009. Meta-analysis and empirical study on the educational excellence of students through library-assisted instruction.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6. Lee, Byeong-Ki. 2012.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ISA Reading Domain and AASL Standards for the 21st-Century Learne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193-216. 

  7. Yi, Seung-Gil. 2005. The effect of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8. Ha, Hye-Ran and Ki-Ho Song. 2015.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Journal Writing with Reading on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621-640. 

  9. Cravey, Nancy. 2013. Finding Inspiration in the Common Core: An Uncommon Opportunity to Refine the Role of the School Library and Technology Planning Committee. Knowledge Quest, 42(1): 18-22. 

  10. Naylor-Gutierrez, Elizabeth. 2013. Making the Common Core Work for School Libraries: A NYC Example. Young Adult Library Services, 11(2): 13-16. 

  11. U.S. National Commission on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NCLIS). School Libraries Work! [online]. . [cited 2018. 2. 18]. 

  12. Todd, Ross J. Report of Phase Two of Delaware School Library Survey: Student Learning Through Delaware School Libraries. [online]. . [cited 2018. 2. 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