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산모를 위한 모성역할적응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 Maternal Role Adjustment Program on First-time Mothers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3, 2018년, pp.322 - 332  

김수정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서지민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maternal role adjustment program on first-time mothers. Methods: The research was quasi-experimental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Participants were first-time mothers admitted to two postpartum clinics at women's hospital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산모의 모성 역할적응을 돕기 위해 산모가 산후조리원에 재원하고 있는 동안 모성역할적응에 대한 교육과 워크북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초산모의 모성 역할적응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모성 역할적응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모성 역할적응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모성 역할적응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모성 정체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3. 모성 역할적응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후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성역할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모성역할은 어머니로서 가지는 감정(maternicity)과 아이에 대한 신체적 돌봄(mothering)으로 구성된다. 감정은 어머니다움, 아이와의 애정적 결속을 의미하며, 신체적 돌봄은 수유하기, 기저귀 갈아주기, 목욕시키기 등의 신체적 돌봄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3].
초산모의 경우 어머니라는 새로운 역할에 적응하는 데 대한 어려움과 육아지식 및 기술의 부족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특히 초산모의 경우 어머니라는 새로운 역할에 적응하는 데 대한 어려움과 육아지식 및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모성 역할 부담과 모성 정체성 혼란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이 시기의 모성 정체성 혼란은 정서적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우울과 불안을 경험하게 하는 심리 ․ 사회적 요소가 된다 [7,10]. 이러한 모성 정체성 혼란은 산후우울과 관련성이 높고 [11], 우울점수가 높을수록 모성 역할적응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7,10].
출산 후 산모는 여성으로서의 역할에서 여성과 어머니로서의 역할로 전환하는 과정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돼야 할 요소는 무엇인가? 그리고 출산 후 산모는 여성으로서의 역할에서 여성과 어머니로서의 역할로 전환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여성으로서의 역할과 모성으로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통합함으로써 내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모성 역할에 적응하게 된다[22]. 따라서 출산 초기의 산모가 모성 역할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여성으로서의 자기와 모성으로서의 자기에 대한 인식 사이에서 갈등을 적게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성으로서의 인식과 여성으로서 인식 및 모성 역할에 대한 인식을 포괄적으로 측정하는 도구를 사용하였고,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모성 역할적응 프로그램이 연구대상자의 여성과 어머니로서의 역할 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ercer RT. Becoming a mother versus maternal role attain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4;36(30):226-232. 

  2. Rubin R. Attainment of the maternal role: Part I. processes. Nursing Research. 1967;16(3):237-245. 

  3. Ludington-Hoe SM. Postpartum: Development of maternicity.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977;77(7):1171-1174. 

  4. Rubin R. Maternal tasks in pregnanc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76;1(5):347-376. 

  5. Mercer RT. The process of maternal role attainment over the first year. Nursing Research. 1985;34(4):198-204. 

  6. Pridham KF, Lytton D, Chang AS, Rutledge D. Early postpartum transition: Progress in maternal identity and role attain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91;14(1):21-31. 

  7. Chae YS. Adaptation of maternal roles and postpartum depression of primiparas during early postpartum period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5. 68 p. 

  8. Mercer RT, Walker LO. A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s to foster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6;35(5):568-582.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6.00080.x 

  9. Chae MY, Hwang MS. The effects of home care nursing based maternal role strengthening programs on the maternal identity and confidence of maternal role on first-time moth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1;18(2):88-98. 

  10. Yoo DS. The postpartum depression and maternal role adjustment of mothers having an infant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8. 55 p. 

  11. Kim JY. Psycho-social predicting factors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master's thesis]. Seoul: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03. 49 p. 

  12. Park KY, Lee SO.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at postpartum 6 wee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1;15(1):25-36. 

  13. Ozkan H, Polat S. Maternal identity development education on maternity role attainment and my baby perception of primiparas. Asian Nursing Research. 2011;5(2):108-117. https://doi.org/10.1016/S1976-1317(11)60019-4 

  14. Jang YS. Effects of a maternal role promo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maternal role strain,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maternal identity.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05;11(4):472-480. 

  15. Kordi M, Fasanghari M, Asgharipour N, Esmaily H. The effect of maternal role training program on role attainment and maternal role satisfaction in nulliparous women with unplanned pregnancy. Journal of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2017; 6:61. https://doi.org/10.4103/jehp.jehp_113_15 

  16. Srisomboon A, Serisathien Y, Yusamran C, Phahuwatanakorn W. The effect of a maternal role promoting program on maternal role attainment in adolescent mothers with unplanned pregnancies.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1;29(2):74-81. 

  17. Kim YS, Lee YJ, Park GH. The effects of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on depression,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and delivery self-efficacy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7;23(2):134-141. https://doi.org/10.14370/jewnr.2017.23.2.134 

  18. Bang KS, Huh BY, Kwon MK. The effect of a postpartum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mmigrant mother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1):11-19. https://doi.org/10.4094/chnr.2014.20.1.11 

  19. Gao LL, Xie W, Yang X, Chan SW. Effects of an interpersonalpsychotherapy-oriented postnatal programme for Chinese firsttime moth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5;52(1):22-29. https://doi.org/10.1016/j.ijnurstu.2014.06.006 

  20. Kim MY, Kim WO, Han SS. Effects of individual and group education programs on coping and self-care behaviors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14;20(1):1-8. https://doi.org/10.14370/jewnr.2014.20.1.1 

  21. Jang YS. Effects of a workbook program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breast feeding practice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2):419-427. 

  22. Sheehan F. Assessing postpartum adjustment. A pilot stud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1981; 10(1):19-22. 

  23. Walker LO. Investigating the semantic properties of two concepts. Unpublished manuscript paper. Austin, Texas: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1977. 

  24. Kim AR, Tak YR. Maternal role developme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graduate mothers of premature infa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4):308-320. https://doi.org/10.4069/kjwhn.2015.21.4.308 

  25. Cox JL, Holden JM, Sagovsky R.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87;150:782-786. 

  26. Yeo JH. Postpartum depression and its predictors at six months postpartum.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6; 12(4):355-362. 

  27. Sim KS, Kho HJ, Lim KH.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for the infant ca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2;6(2):287-297. 

  28. Song JE, Ahn JA.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maternal adaptation in Korea: Systematic review.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3):129-141. https://doi.org/10.4069/kjwhn.2013.19.3.129 

  29. Song JE, Ko JM. Influencing factors on maternal role adjustment among the primipara women in the first year after childbir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6;20(3):284-296. 

  30. Walker J, Payne S, Jarrett N, Ley T. Psychology for nurses and the caring professions. 4th ed. Lee KJ, Kim S, Yang S, Lee KH, Im SB, translator. Seoul: Soomoonsa; 2013. p. 161-1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