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성악가의 음성위생 습관과 한국어판 음성관련 삶의 질(K-VRQOL) 특성
Voice hygiene habi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among classical singer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0 no.3, 2018년, pp.49 - 59  

강하늘 (호남대학교 대학원 언어치료전공) ,  김선희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과) ,  유재연 (호남대학교 언어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ocal hygiene habits and Korean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K-VRQOL) among classical singers. A total of 128 classical singers filled an online voice and K-VRQOL questionnair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의 특징은? 음성은 한 사람의 성별, 연령, 건강상태, 감정 등을 나타내며 음성에 문제가 생기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성악가 및 가수, 음악교사들과 같은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경우 환경적으로 목소리를 남용할 가능성이 높고 자신의 음성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음성장애 유병률이 높게 나타난다(Pestana et al.
음성을 남용하는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이자주 보고하는 음성 증상은? , 2017). 음성을 남용하는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이자주 보고하는 음성 증상은 목 쉰소리, 음성피로, 음역 상실, 인후의 압박감 및 불편함, 통증, 후두건조 등으로 보고되었다(Achey et al., 2016; Chen et al.
음성장애는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침으로 음성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음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이와 같은 음성장애는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침으로 음성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음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술과 담배, 약물복용, 카페인 음료섭취, 음성사용량, 고함치기 및 큰소리로 말하기와 같은 부적절한 음성습관 등이 있다(Morawska & Niebudek-Bogusz, 2017). 따라서 언어재활사나 음성전문가들은 음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부적절한 음성습관 행동을 피하고 음주 및 카페인 음료 섭취 줄이기, 금연, 충분한 수분 섭취 등의 음성위생 프로그램을 권장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chey, M. A., He, M. Z., & Akst, L. M. (2016). Vocal hygiene habits and vocal handicap among conservatory students of classical singing. Journal of Voice, 30(2), 192-197. 

  2. Agarwal, S. K., Gogia, S., Agarwal, A., Agarwal, R., & Mathur, A. S. (2015). Assessment of voice 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correlation with socioeconomic status after total laryngectomy. Annals of Palliative Medicine, 4(4), 169-175. 

  3. Behlau, M., Hogikyan, N. D., & Gasparini, G. (2007). Quality of life and voice: Study of a brazilian population using the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59(6), 286-296. 

  4. Braun-Janzen, C., & Zeine, L. (2009). Singers' interest and knowledge levels in vocal function and dysfunction: Survey findings. Journal of Voice, 23(4), 470-483. 

  5. Chen, S. H., Chiang, S. C., Chung, Y. M., Hsiao, L. C., & Hsiao, T. Y. (2010). Risk factors and effects of voice problems for teachers. Journal of Voice, 24(2), 183-190. 

  6. Chitguppi, C., Raj, A., Meher, R., & Rathore, P. K. (2018). Speaking and nonspeaking voice professionals: Who has the better voice? Journal of Voice, 32(1), 45-50. 

  7. Devadas, U., Bellur, R., & Maruthy, S. (2017).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voice problems among primary school teachers in India. Journal of Voice, 31(1), 117e1-117e10. 

  8. Hong, J., & Hwang, Y. (2012). VHI, V-RQOL, and vocal characteristics of teacher and sing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7), 3048-3056. 

  9. Jones, K., Sigmon, J., Hock, L., Nelson, E., Sullivan, M., & Ogren, F. (2002).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voice problems among telemarketers. Archives of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128(5), 571-577. 

  10. Kim, J. (2015) Comparison of self-reporting voice evaluations between professional non-professional voice users with voice disorders by severity and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peech Sciences, 7(4), 67-76. 

  11. Kim, J., & Choi, S. (2018). Voice problems and self-care practice vocal health; Current status of Korea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3(2), 414-424. 

  12. Kim, J., Lim, S., Park, S., Choi, S., Choi, J., & Choi, H. (200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version of voice handicap index and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Speech Science, 14(3), 111-125. 

  13. Kupfer, R. A., Hogikyan, E. M., & Hogilkyan, N. D. (2014). Establishment of a normative database for the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V-RQOL) measure. Journal of Voice, 28(4), 449-451. 

  14. Morawska, J., & Niebudek-Bogusz, E. (2017). Risk factors and prevalence of voice disorders in different occupational groups - a review of literature. Otorynolaryngologia, 16(3), 94-102. 

  15. Morawska, J., Niebudek-Bogusz, E., Wiktorowicz, J., & Sliwinska-Kowalska, M. (2018). Screening value of V-RQOL in the evaluation of occupational voice disorders. Medycyna Pracy, 69(2), 119-128. 

  16. Pestana, P. M., Vaz-Freitas, S., & Manso, M. C. (2017). Prevalence of voice disorders in singer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Voice, 31(6), 722-727. 

  17. Robert, T. S. (2017). Professional voice (4th Edition): The science and art of clinical care, 3-volume set. Plural publishing. 

  18. Sapir, S., Keidar, A., & Mathers-Schmidt, B. (1993). Vocal attrition in teachers: survey findings. European Journal of Disorders of Communication, 28(2), 177-185. 

  19. Sapir, S., Mathers-Schmidt, B., & Larson, G. W. (1996). Singers' and nonsingers' attitudes toward voice, singing, and vocal health: indirect findings from a questionnaire. European Journal of Disorders Communication, 31(2), 193-209. 

  20. Sliwinska-Kowalska, M., Niebudek-Bogusz, E., Fiszer, M., Los-Spychalska, T., Kotylo, P., Sznurowska-Przygocka, B., & Modrzewska, M. (2006).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occupational voice disorders in teachers. Folia Phoniatrica et Logopaedica, 58(2), 85-101. 

  21. Tutya, A. S., Zambon, F., Oliveira, G., & Behlau, M. (2011). Comparison of V-RQOL, VHI and VAPP scores in teachers. Revista da Sociedade Brasileira de Fonoaudiologia, 16(3), 273-281. 

  22. Weekly, E. M., Carroll, L. M., Korovin, G. S., & Fleming, R. (2018). A vocal health survey among amateur and professional voice users. Journal of Voice, 32(4), 474-47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