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성향 영향요인
Influence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9, 2018년, pp.89 - 95  

김윤정 (광주여자대학교 치위생학과) ,  조혜은 (광주여자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지영 (울산과학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단면연구이다. 2017년 3월 15일부터 5월 22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여 370명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배부한 후 최종 354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정보윤리의식 도구의 구성개념 타당성 검증을 위해 구성요소의 하부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수들이 인터넷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 상관분석으로 검증 후, 단계선택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이용시간, 정보윤리의식의 하위요인인 인터넷 이용의 건전성, 자기통제력이 인터넷 중독성향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을 예방하기 위하여 정보윤리의식의 배양 및 인터넷 이용시간과 자기통제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354 students in the G city from March 15 to May 22, 2017. The data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윤리의식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인터넷 중독 성향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따라서, 이러한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정보윤리의식 및 인터넷 사용과 관련한 포괄적인 연구설계가 부족한 실정임을 알았고,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보윤리의식과 인터넷 사용시간, 자기통제력과 인터넷 중독성향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인터넷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성향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인터넷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정보윤리의식이 인터넷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단면조사연구이다.
  • 인터넷 중독은 학습능력 저하와 직업경력 단절 등을 초래하여 국가 생산성 저하 및 사회통합 저해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2].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넷 중독이란 무엇인가? 인터넷 을 통하여 다양한 편익을 제공받기도 하나, 사회활동 및인간관계 등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는 인터넷 중독 및정보윤리상의 여러 문제들 또한 야기되고 있다[3].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에 탐닉되어 의존성, 내성 등과 같은 병리적인 증상을 보이는 심리적 장애이며[4], 정신분석학에서 중독의 범위에 충동조절 장애를 폭넓게 포함시키고있는 것과 같이, 인터넷 사용시간을 지나치게 할애하여 현실공간보다 주로 사이버공간에서 대인관계, 도박, 게임, 채팅 및 정보수집이 과도하게 많은 다양한 행동증상을 보이는 인터넷 증후군 즉, 웨바홀리즘(Web a holism) 이라고 불리는 충동조절 장애이다[5]. 결과적으로 인터넷에 반복적으로 접속하지 않았을 때의 불안감, 초조감 같은 내성으로 인해 인터넷에 반복 접속하여 현실생활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6], 처음에는 스트레스 해소 등의 긍정적인 충족을 경험하다가 점차적으로 병적인 중독에 이르게 된다[7].
인터넷 중독의 증세는 어떠한가? 인터넷 중독은 인터넷에 탐닉되어 의존성, 내성 등과 같은 병리적인 증상을 보이는 심리적 장애이며[4], 정신분석학에서 중독의 범위에 충동조절 장애를 폭넓게 포함시키고있는 것과 같이, 인터넷 사용시간을 지나치게 할애하여 현실공간보다 주로 사이버공간에서 대인관계, 도박, 게임, 채팅 및 정보수집이 과도하게 많은 다양한 행동증상을 보이는 인터넷 증후군 즉, 웨바홀리즘(Web a holism) 이라고 불리는 충동조절 장애이다[5]. 결과적으로 인터넷에 반복적으로 접속하지 않았을 때의 불안감, 초조감 같은 내성으로 인해 인터넷에 반복 접속하여 현실생활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6], 처음에는 스트레스 해소 등의 긍정적인 충족을 경험하다가 점차적으로 병적인 중독에 이르게 된다[7]. 이러한 중독의 원인은 올바른 정보통신 기술사용에 대한 교육의 부재와 부정적 사용자의 증가, 폭력물 같은 비교육적 매체의 확산 등의 이유로 인터넷을 정보획득과 대화의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쉽게 중독이 되고, 2000년 이후 인터넷 사용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중독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청소 년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되었다[5].
인터넷 중독의 원인은 무엇인가? 결과적으로 인터넷에 반복적으로 접속하지 않았을 때의 불안감, 초조감 같은 내성으로 인해 인터넷에 반복 접속하여 현실생활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6], 처음에는 스트레스 해소 등의 긍정적인 충족을 경험하다가 점차적으로 병적인 중독에 이르게 된다[7]. 이러한 중독의 원인은 올바른 정보통신 기술사용에 대한 교육의 부재와 부정적 사용자의 증가, 폭력물 같은 비교육적 매체의 확산 등의 이유로 인터넷을 정보획득과 대화의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쉽게 중독이 되고, 2000년 이후 인터넷 사용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중독의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청소 년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되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Y. A. Ah, W. C. Jeong, T. J. Kim. (2010).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using ti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media traits and adolescents'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Social Work, 18, 29-52. 

  2. H. J. Kim, H. S. Ahn, D. M. Lee. (2013). A study on the self-determination factors' effects on internet addiction and information ethics : focusing on game and information search types. Journal of Korea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Association, 13(3), 207-228. 

  3. J. R. Rest & D. Narvaez. (1994). Moral development in the professions: psychology and applied ethics.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 K. S. Young. (1998). Internet addiction :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1, 237-244. 

  5. H. S. Kim. (2012). The study on internet addict of juvenile and the solution. Korean Association of Addiction Crime Review 2(1), 73-86. 

  6. K. S. Young & R. C. Rodgers.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athological internet use.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1, 25-28. 

  7. H. J. Woo. (2007). Media audiences' self-stability, dispositional media use motives, flow, and addiction : A comparative study on online game, internet, and mobile phone addiction.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1(4), 101-140. 

  8. M. K. Cho. (2014). The relationships among smart phone use motivations, addiction, and self-contro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5), 311-323. 

  9. Y. O. Nam & S. J. Lee. (2005).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nd mental health in youth's internet addiction by the addiction typ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157, 195-222. 

  10. H. S. Kim. (1998). Model development of affecting factors on health behavior and juvenile delinquency of adolescents. Doctoral dissertation. Univ. of Seoul National. Seoul. 

  11. Y. U. Park & J. T. Kim. (2009). Internet addiction, self-esteem, self-control, and impulsiveness among 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30(2), 119-134. 

  12. M. H. Park & J. A. Park. (2014). Relationship among self-control, physical activity, internet addiction, cyber ethnics, and cyber delinquenc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 7101-7109. 

  13. K. H. Kim. (2007). A way overcome addiction, the modern dunge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 677-693. 

  14. D. G. Yang. (2003). The differences of adolescents' activity and satisfa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3), 481-500. 

  15. H. G. Lee. (2002). Comparison of Social and Psychological Predicting Variables in the Obscene and Obscene Chatting Addic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9(2), 165-190. 

  16. J. Y. Tak & D. C. Ok. (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age motivation of the internet and radio.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6(1), 498-534. 

  17. De Vellis RF. (2012).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Los Angeles: Sage publications. 

  18. M. S. Kim, S. I. Baek. (2004). Developing cyber ethics index. Conference. (pp. 189-196). Seoul : 2004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9. S. I. Baek, N. J. Cho, I. Lee, J. W. Kang, B. J. Kim. (2007). A cross-cultural comparative study of cyber ethics. Informatization Policy, 14(1), 85-101. 

  20. N. S. Lee. (2013). A study on effect of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on the information ethics consciousness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Univ. of Sungkunkwan. Seoul. 

  21. B. G. Kim, D. I. Kim, D. M. Kim, Y. S. Go, N. R. Um. (2008). The follow up study of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http://nia.or.kr/site/nia_kor/ex/bbs/View.do?cbIdx39485&bcIdx277&parentSeq277 

  22. D. J. Choi, D. I. Kim, B. N. Kim. (2009). A second study on the follow up study of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3. P. P. Heppner & C. H. Petersen. (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29, 66-75. 

  24. J. C. Nunnally & I. H. Bernstein.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York, NY: McGraw-Hill. 

  25. A. B. Costello & J. W. Osborne. (2005). Best practice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ur recommendations for getting the most from your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10(7), 1-9. 

  26. B. H. Goo & M. J. Choi. (2006). A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self-characteristics and person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n the internet addiction & internet ethic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cision Sciences, 14(1), 53-66. 

  27. D. J. Kang & S. Y. Jun. (2017).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internet ethics awareness in healthcare-relate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8(2), 261-270. 

  28. M. H. Park & J. A. Park. (2014). Relationship among self-control, physical activity, internet addiction, cyber ethnics, and cyber delinquenc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 7101-7109. 

  29. S. J. Lee & K. H. Bae. (2004). A comparison of self-esteem, aggression, and depression between the adolescent group of internet abuse and adolescent group of the internet normal us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1(3), 299-319. 

  30. J. S. Baik. (2005). College adaptation and internet game addiction by internet game motivation typ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1), 31-46. 

  31. I. H. Lee & H. G. Lee. (2009). Pathological internet use subtype and personality trait. Journal of Social Sciences, 15(2), 473-509. 

  32. J. S. Ju. (2004).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et addiction and their ethical consciousness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Master's thesis. Univ. of Konkuk. Seoul. 

  33. H. S. Park & S. H. Kim. (2014). An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awareness of the internet ethics and intention to internet ethics practic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 strength.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 Commerce, 6, 31-52. 

  34. B. W. Chu. (2012). Online moral disengagement and the tasks of internet ethics education. Journal of Ethics, 87, 119-1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