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9, 2018년, pp.135 - 14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rough a convergence study. The data collected by a survey on adults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건 강행위란? | 인간에게 주관적 건강 상태가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안녕을 강조하는 건강증진 측면의 생활 만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3], 건강상태를 유지하고자하는 자신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건강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4]. 건 강행위란 운동 및 식이, 스트레스 관리 및 흡연과 관련하여 자신의 건강에 대한 책임 이행과 적극적인 건강행위 실천 정도를 의미하며[5],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6,7]. | |
인간에게 주관적 건강이 중요한 이유는? | 이는 건강상태를 평가함에 있어서 질병의 임상 상태보다는 환자가 중요시 하는 삶의 질과 주관적 인식에 근거한 평가가 의료인에 의한 객관적 점수보다 안녕(well-being)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한다는 것이다[1,2]. 인간에게 주관적 건강 상태가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안녕을 강조하는 건강증진 측면의 생활 만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3], 건강상태를 유지하고자하는 자신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건강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4]. 건 강행위란 운동 및 식이, 스트레스 관리 및 흡연과 관련하여 자신의 건강에 대한 책임 이행과 적극적인 건강행위 실천 정도를 의미하며[5],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6,7]. | |
전신건강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라 판단한 근거는? | 이는 노령인구에 서 전신건강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박[27]의 연구결과 전신질환 치료를 위한 복용 약물이 없을 때 자신의 구강상태가 건강하다고 느꼈으며, 주관적 전신건강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구강 상태가 건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이는 자신의 건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건강증진행 위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난 고[4]의 연구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지가 높을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게 나타 난 임[29]의 연구결과가 본 연구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결국, 주관적 전신건강수준이 높을수록 구강상태가 건강하며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건강행위를 적극적 으로 실천하므로 전신건강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이 틀림없다고 판단된다[7]. |
S. K. Hee. (2007).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ealthand oral health- rea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E. Y. Shin. (1996). A Study on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Aged in Rural Area. J.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0(2), 135-145.
Pender NJ, Walker SN, Sechrist K & Frank-Stromborg M. (1990).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 style in the workplace. Nursing Research, 39(6), 326-33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Fact Sheets. Noncommuniicable disease. http://www.who.int/en/news-room/fact-sheets/detail/noncommunicable-diseases
G. J. Seymour, P. J. Ford, M. P. Cullinan, S. Leishman & K. Yamazaki. (2007).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infection and systemic disease. Clinical Microbioloy and Infection, 13(4), 3-10.
G. W. Taylor. (2001). Bidirection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Ann Periodonto. 6(1), 99-112. DOI :10.1902/annals.2001.6.1.99
P. B. Lockhart et al. (2012). periodontal disease and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 does the evidence support an independent associat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5(20), 2520-2544. DOI :10.1161/CIR.0b013e31825719f3
World Dental Federation. (2012). Oral health and the UN political declaration on NCDs. https://www.fdiworlddental.org/sites/default/files/media/images/Non-communicable%20diseases-2012.pdf
Y. Y. Choi. (2016).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diabeti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 R. Woo, B. I. Seo & C. H. Han (2010). The impact of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e J. of East-West Medicines, 35(2), 39-71. DOI: 10.17485/ijst/2016/v9i43/105021
J. H. Kim, M. H. Hong & M. A. Jeong. (2010).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level and quality of life Study.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1(1), 57-67.
J. H. Kim. (2007).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to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 Surveyed against some of youngnam area resi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S. K. Jeong. (2006).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Locker D & Slade G. (1993). Or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J. Can Dent Assoc, 59(10), 830-844.
S. H. Kim. (2016). Sleeping time and subjective oral health,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H. J. Kim, C. M. Park, & J. Y. Lee. (2006).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industrial workers' oral health evaluation. J.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6(4), 295-309.
P. F. Allen & A. S. Mcmillan. (1999). The impact of tooth loss in a denture wearing population: An Assessment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Journal, 16(12), 176-18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