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9, 2018년, pp.135 - 142  

허성은 (신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융합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비 흡연 그룹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흡연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고,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에 대한 고 그룹이 저 그룹에 비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전신건강상태와 건강행위 모두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관적 전신건강상태가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전신건강을 통한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전신과 구강의 융합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은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연관된 중요성을 교육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jective systemic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rough a convergence study. The data collected by a survey on adults liv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전신건강관련 요인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전신건강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개인의 안녕(well-being) 상태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주관적 전신 건강상태와 자발적 건강행위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전신건강을 포함한 구강건강관 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오늘날에는 과거와 달리 건강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구강건강을 포함한 건강을 완전한 건강상태라 보고 있으며[1], 본인 스스로 건강상태를 인지 하는 주관적 건강과 삶의 질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22]. 인지된 건강상태는 건강증진을 비롯한 구강건강에 매우 중요하게 작용함에 따라[22], 전신건강 관련 요인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융합적으로 파악 하여 전신건강을 포함한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에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고찰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2. 건강행위 실천 정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관련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
  • 가설 1. 주관적 전신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 강행위란? 인간에게 주관적 건강 상태가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안녕을 강조하는 건강증진 측면의 생활 만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3], 건강상태를 유지하고자하는 자신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건강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4]. 건 강행위란 운동 및 식이, 스트레스 관리 및 흡연과 관련하여 자신의 건강에 대한 책임 이행과 적극적인 건강행위 실천 정도를 의미하며[5],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6,7].
인간에게 주관적 건강이 중요한 이유는? 이는 건강상태를 평가함에 있어서 질병의 임상 상태보다는 환자가 중요시 하는 삶의 질과 주관적 인식에 근거한 평가가 의료인에 의한 객관적 점수보다 안녕(well-being)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예측한다는 것이다[1,2]. 인간에게 주관적 건강 상태가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안녕을 강조하는 건강증진 측면의 생활 만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3], 건강상태를 유지하고자하는 자신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건강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4]. 건 강행위란 운동 및 식이, 스트레스 관리 및 흡연과 관련하여 자신의 건강에 대한 책임 이행과 적극적인 건강행위 실천 정도를 의미하며[5],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6,7].
전신건강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라 판단한 근거는? 이는 노령인구에 서 전신건강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박[27]의 연구결과 전신질환 치료를 위한 복용 약물이 없을 때 자신의 구강상태가 건강하다고 느꼈으며, 주관적 전신건강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구강 상태가 건강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였다. 이는 자신의 건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건강증진행 위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난 고[4]의 연구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지가 높을수록 구강건강증진행위가 높게 나타 난 임[29]의 연구결과가 본 연구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결국, 주관적 전신건강수준이 높을수록 구강상태가 건강하며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건강행위를 적극적 으로 실천하므로 전신건강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임이 틀림없다고 판단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 K. Hee. (2007).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healthand oral health- rea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 Larson R. (1978).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merican. J. of Gerontology 33, 109-25. 

  3. E. Y. Shin. (1996). A Study on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Aged in Rural Area. J.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0(2), 135-145. 

  4. Y. H. Ko. (2016).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hysical compete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elderly participating in health activity program. J. of Digital Convergence, 14(12), 571-581. DOI: 10.14400/JDC.2016.14.12.571 

  5. Pender NJ, Walker SN, Sechrist K & Frank-Stromborg M. (1990).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 style in the workplace. Nursing Research, 39(6), 326-332. 

  6. J. H. Han & Y. H. Yom. (2017). Effects of eating habi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ealth behaviors on oral health related-quality of life in elderly persons. J. Korean Acad Fundam Nurs, 19(2), 179-189. DOI : 10.7739/jkafn.2012.19.2.179 

  7. M. S. Park & J. H. Jang. (2017).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behavior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HIP-14) and happiness in soldiers. J.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7(6), 1159-1169. DOI :10.13065/jksdh.2017.17.06.1159 

  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Fact Sheets. Noncommuniicable disease. http://www.who.int/en/news-room/fact-sheets/detail/noncommunicable-diseases 

  9. G. J. Seymour, P. J. Ford, M. P. Cullinan, S. Leishman & K. Yamazaki. (2007).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infection and systemic disease. Clinical Microbioloy and Infection, 13(4), 3-10. 

  10. S. Y. Kim & I. S. Kim. (2017). A Fusion Survey on the Investigation of Correlation between Systemic Diseases and Oral Health. J.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 7(5), 67-73. DOI :10.22156/CS4SMB.2017.7.5.067 

  11. G. W. Taylor. (2001). Bidirection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Ann Periodonto. 6(1), 99-112. DOI :10.1902/annals.2001.6.1.99 

  12. P. B. Lockhart et al. (2012). periodontal disease and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 does the evidence support an independent association?: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25(20), 2520-2544. DOI :10.1161/CIR.0b013e31825719f3 

  13. World Dental Federation. (2012). Oral health and the UN political declaration on NCDs. https://www.fdiworlddental.org/sites/default/files/media/images/Non-communicable%20diseases-2012.pdf 

  14. Y. Y. Choi. (2016).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diabetic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S. R. Woo, B. I. Seo & C. H. Han (2010). The impact of o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e J. of East-West Medicines, 35(2), 39-71. DOI: 10.17485/ijst/2016/v9i43/105021 

  16. E. S. Cho. (2013) Effect of self awareness of halitosis o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J. of Digital Convergence, 11(12), 607-614. DOI: 10.14400/JDPM.2013.11.12.607 

  17. J. H. Kim, M. H. Hong & M. A. Jeong. (2010).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level and quality of life Study.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1(1), 57-67. 

  18. J. Y. Park. The impact of Health Status of for the Elderly on Oral Health-Related of life Quality. J. of Digital Convergence, 12(5), 271-280. DOI: 10.14400/JDC.2014.12.5.271 

  19. J. H. Kim. (2007).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to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 Surveyed against some of youngnam area resi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0. S. K. Jeong. (2006).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on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Locker D & Slade G. (1993). Or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J. Can Dent Assoc, 59(10), 830-844. 

  22. A. H. Song & H. S. Kim. (2017).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Oral Health Cognition Using 6th Six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8(9), 49-57. DOI :10.15207/JKCS.2017.8.9.049 

  23. H. S. Shin, Y. S. Ahn & D. S. Lim. (2016).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Existing Permanent Teeth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 of Dental Hygiene Science, 16(3), 217-224. DOI: 10.17135/jdhs.2016.16.3.217 

  24. M. K. Kang. H. Y. Seo & Y. R. Choi. (2017). The Convergence effect of oral behavior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soldiers.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8(9), 151-159. DOI :10.15207/JKCS.2017.8.9.151 

  25. S. H. Kim. (2016). Sleeping time and subjective oral health,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6. H. J. Kim, C. M. Park, & J. Y. Lee. (2006).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industrial workers' oral health evaluation. J.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6(4), 295-309. 

  27. K. S. Paek. (2017).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Literacy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in Community.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8(12), 101-107. DOI :10.15207/JKCS.2017.8.12.101 

  28. P. F. Allen & A. S. Mcmillan. (1999). The impact of tooth loss in a denture wearing population: An Assessment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Health Journal, 16(12), 176-180. 

  29. S. A. Lim. (2017). Convergence factors of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perception on oral health improvement behavior in some university students. J. of the Korean Convergence Society, 8(11), 167-175. DOI :10.15207/JKCS.2017.8.11.1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