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2O 기반 식품 배달 플랫폼 발전 방안 연구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velopment of Food Delivery Platform based on O2O -Focusing o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9, 2018년, pp.159 - 165  

박서진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성장하고 있는 O2O 기반 식품 배달 플랫폼 서비스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식품 배달 플랫폼은 IT와 신기술 적용을 더 해 기존에 없던 수익구조를 새롭게 창출하고 있으며,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젊은 세대가 주 소비자로 떠오르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배달 플랫폼 사례 조사를 통해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식품 배달 플랫폼 시장은 IT, 물류, 제조, 유통 등의 인수합병을 통한 사업 확장 등 적극적인 발전을 보이며, 앞으로는 수수료 제로, 할인 이벤트를 통한 가입자 유치 등 활발한 마케팅으로 주 소비자들의 지속적인 이용을 끌어내야 한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식품 배달 플랫폼 외에 다양한 채널의 배달 플랫폼과 더불어 이용 고객의 총체적 경험 가치를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is seeking how to develop growing O2O food delivery platform service. The food delivery platform is newly creating the profit system which wasn't exist before by adding up IT and new technologies, and young generations who are used to mobile environment have becam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와 같이 배달 범위, 유통 및 물류, 품목 종류, 제조 여부, 그 외 서비스별 특징으로 기준을 두어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발전은 어떻게 될 것인지 살펴보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 연구는 국내외 배달 플랫폼 서비스 사례를 살펴보고 그 특성을 바탕으로 향후 배달 플랫폼 서비스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이 연구에서는 O2O 식품 배달 플랫폼 시장과 소비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관련 기사와 논문 등 문헌과 국내와 해외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국가별로 플랫폼 서비스의 발전 추세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배달 앱 시장의 점유 현황은 어떠한가? 국내 배달 앱 시장은 현재 배달의 민족이 독보적으로 51%를, 요기요는 35%, 배달통이 14%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다. 한 달간 사용자 수는 배달의 민족 298만 명, 요기요와 배달통은 각각 178만 명과 61만 명으로 집계되었다(’17.
플랫폼 사업자의 예시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후 구매자와 공급자 사이에서 거래를 일으킴으로써 새로운 수익모델을 만들어내는 플랫폼 사업자가 등장하게 되었다. 예로는 차량 소유자(공급)와 이동이 필요한 사용자(수요)를 연결하는 모바일 교통 플랫폼인 우버(Uber), 집주인과 여행자를 연결해주는 숙박 플랫폼인 에어비앤비(Airbnb), 다양한 비즈니스 기반이 되는 모바일 메신저플랫폼인 카카오톡(Kakaotalk)이 있다.
O2O란 무엇인가? 2010년 알렉스 람펠(Alex Rampell)은 O2O(Online-to-Offline)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소셜커머스 그루폰(Groupon), 레스토랑 예약업체 오픈테이블(Open Table)등의 특징을 ①온라인에서 소비자를 발견하여, ②온라인결제를 통해, ③오프라인 상점으로 유인하는 것으로 꼽은 바 있다[3]. O2O란 온라인(Online)과 오프라인(Offline)을 연결한 서비스로, 온라인의 IT기술을 이용하여 오프라인의 수요와 공급을 혁신하는 새로운 현상을 의미한다.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 M. Go. (2014). Top 3 Delivery Apps, daese. http://reurl.kr/2631D0EYC 

  2. S. I. Lee. (2017). A study on O2O food delivery platform service market segmentation : using latent class analysis, Master's degree. KyungHee University. Seoul. 

  3. B. H. Go. (2018).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sijang delivery app market, bapsangnews. http://bapsangnews.com/article/5afd41182c59491239798e94 

  4. S. I. Lee. (2017). A study on O2O food delivery platform service market segmentation : using latent class analysis, Master's degree. KyungHee University. Seoul. 

  5. J. H. Yoo. (2017). Delivery O2 Market Trends. Software Policy&Research Institute. http://reurl.kr/2631D0FMA 

  6. Y. N. Kim. (2017). Leading the delivery app market with Algifie Korea, Yogiyo, and delivery box. jobnjoy. http://reurl.kr/2631D08KA 

  7. J. S. Shim. (2016). Baemin and Yogiyo's Strategy. http://reurl.kr/2631D15RC 

  8. M. A. Hwang. (2017).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Food Delivery O2O in Korea: Focusing on the BAEMIN Case, Master's degre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9. Y. H. Son (2017). A Study Ordering foof with AI Speaker. Platum. http://platum.kr/archives/90148 

  10. B. J. Kim. (2017). A StudyO2O Service targets miche in delivery market. sedaily. http://reurl.kr/2631D10IG 

  11. S. H. Park. (2017). Food Delivery Market 'Big Bang'. news.mk. http://reurl.kr/2631D0DDY 

  12. Naver Design Blog. (2017). Naver Easy Order. http://reurl.kr/2631D0CRC 

  13. Y. J. Jeong. (2017). The delivery market in the United States, the Group Hub. hankyung. http://reurl.kr/2631D0BEX 

  14. J. H. Yoo. (2017). Delivery O2 Market Trends. Software Policy&Research Institute. http://reurl.kr/2631D0APH 

  15. J. H. Kim. (2018). A snack for a meal… UberEats Experience. Venturesquare. http://reurl.kr/2631D14VF 

  16. J. H. Park. (2017). The 'UberEats' service is imminent... Can we penetrate the Korean market?. Chosunbiz. http://reurl.kr/2631D13ME 

  17. G. U. Na. (2017). Uber Eats Food Delivery. mkeconomy. http://reurl.kr/2631D09OF 

  18. Y. S. Shim. (2017).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Seoul : KITA Market Report 

  19. M. M. Lee. (2016). Chinese food delivery app, Kotra. http://reurl.kr/2631D07UA 

  20. Y. S. Shim. (2017).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Seoul : KITA Market Report 

  21. Y. R. Lim. (2016). China's O2Odelivery. Chief Logistics Officer. http://reurl.kr/2631D11UB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