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부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태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Self-Esteem, Body Image and Factors Influencing on Maternal Fetal Attachment Behavior of Pregnant Wome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197 - 206  

황란희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태아애착행위 정도를 측정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며, 태아애착행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산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188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하여, 자료분석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평균 $30.85{\pm}4.71$점으로, 종교 유무,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신체상은 평균 $79.26{\pm}11.32$점으로, 계획된 임신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태아애착행위는 평균 $74.09{\pm}11.62$점으로, 종교 유무, 계획된 임신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태아애착행위는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유의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신체상과는 유의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신체상, 종교, 계획된 임신이었다. 독립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신체상, 종교, 계획된 임신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임부의 태아애착증진을 위한 산전교육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증진을 위한 표준화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lf-esteem, body image and maternal fetal attachment behavior in pregnant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maternal fetal attachment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188 pregnant women.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부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태아애착행위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임부의 정서적, 심리적인 변화를 이해하고 각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지지와 상담을 제공하기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부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태아애착행위 정도를 파악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태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부의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태아애착행위의 정도와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부들을 위한 간호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여성전문병원에서 상담과 산전진료를 받은 임부 1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간호사가 임부의 태아애착행위를 증진시켜 건강한 모아 관계 수립을 위해 임부의 산전관리과정에서 중요한 지지적 역할을 하는 것은 모성역할 수행과 영아의 발달을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부들이 임신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자아존중감, 신체상 및 태아애착행위의 정도와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부를 위한 산전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아애착이란 무엇인가? 태아애착이란 아이가 태어나기 전 어머니와 아이의 출발점의 관계로서, 태아와의 애정이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행위에 참여하는 정도를 말한다[1]. 태아애착행위의 정도는 임신기간 동안 어머니 되기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신체상이란 개인이 신체에 대해 가지는 태도나 느낌인데, 임부의 신체상이 정서적 상태 평가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이유는? 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몸 즉 신체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고 있어서, 이것 때문에 많은 신체적 혹은 심리적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14]. 한편 임부는 몸매의 변화에 대해 두려움을 겪기 때문에[15]객관적이기보다는 주관적인 신체상은 외모 및 정체성의변화를 경험하는 임부의 정서적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태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느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Mercer[5]의 연구에서는 임신기간 동안 태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로 임부의 나이, 출산경험, 자존감, 자아개념, 자아통제감, 건강지각, 가족기능, 배우자와의관계, 사회적지지, 불안, 우울, 스트레스 및 영아의 건강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Kwon과 Bang[6]의 연구에서는 임부의 우울 및 스트레스가 태아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미치지는 않았고, 임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한 임부일수록, 결혼생활에 만족할수록, 임신 주수가 높을수록 태아 애착이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M. S. Cranley. (1981). Development of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0, 281-284. DOI : 10.1177/0193945907303031 

  2. R. T. Mercer. (2002). Maternal role attainment: Becoming a mother: In Nursing theorists and their work. 5th(Ed). London : Mosby, 465-476. 

  3. H. Shin, Y. Park, H. Ryu & G. Seomun. (2008). Maternal sensitivity: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4(30), 304-314. DOI : 10.1111/j.1365-2648.2008.04814.x 

  4. R. T. Mercer. (1995). Becoming a mother. New York : Springer. 

  5. R. T. Mercer. (1981). A Theoretical Framwork for Studing Factors that Impact on the Maternal Role. Nursing Research, 30(2), 73-77. DOI : 10.1097/00006199-198103000-00003 

  6. M. K. Kwon & K. S. Bang. (2011).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 276-283. DOI : 10.4040/jkan.2011.41.2.276 

  7. A. Yarcheski, N. E. Mahon, T. J. Yarcheski, N. M. Hanks & B. L. Cannella. (2009). A meta-analytic study of predictor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6(5), 708-715. DOI : 10.1016/j.ijnurstu.2008.10.013 

  8. J. Kim. (200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Doctoral dissertation, Hong Ik University. 

  9. R. T. Mercer, S. Ferketich, K. S. May, J. DeJoseph & D. Solid. (1988). Futher exploration of maternal and paternal fetal attachment.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1, 83-95. DOI : 10.1002/nur.4770110204 

  10. R. H. Hwang. (2004). A study on depression,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unmarried mothers in the welfare center. Theses Collection of Gwangju Women's University, 7, 27-40. 

  11. M. Kim.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wives life Stress and Depression tendency :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Clinical Psychology in Korea: Research and Practice, 12(4), 761-777. DOI : 10.17315/kjhp.2007.12.4.006 

  12. G. W. Stuart. (2012). Principles and practice of Psychiatric Nursing 10th(Ed). Elsevier. 

  13. M. Hur & G. Yoon. (2004). Survey on Eating habit, physical activity habit and Health State of the girl's college Students and the girl's college Dancers In Taegu Area.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s, 13(1), 847-857. 

  14. N. Hwang. (2011). Survey on Physical, Psychological, Socioeconomic Burden and Demand of the Infertile Women. Hygiene.Welfare Issue & Focus, 74. 

  15. I. S. Lee & Y. S. Park. (1996). A study on pregnant women's health cognition and self care.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0(1), 11-24. 

  16. R. H. Hwang.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xiety and Maternal Fetal Attachment of Unmarried Mothers in a Welfare Cente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3), 218-224. 

  17. R. H. Hwang. (2013).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Fetal Attachment and State Anxiety of Pregnant Women in the Preterm Labo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2), 42-152. DOI : 0.4069/kjwhn.2013.19.3.142 

  18. M. Kim. (2014). Stress, Depression, and 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having Infertility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2), 163-172. DOI : 10.4069/kjwhn.2014.20.2.163 

  19. C. Lee, J. Park & H. Jang.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5(1), 35-43. DOI : 10.14400/jdc.2016.14.11.37 

  20. C. Lee, J. Park & H. Jang.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Human Rights Victimization betwee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4(11), 37-44. DOI : 10.14400/jdc.2016.14.11.37 

  21. J. Chon, K. Lee & I. Suh. (2016).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 on the Ethnical Identity of Third Culture Adolescents-Focusing on the Medication Effects of Self-Esteem.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4(8), 93-104. DOI : 10.14400/jdc.2016.14.8.93 

  22. C. Lee, H. Son & H. Jang. (2016). Effects of Self-esteem, Aggression and Violence Recognit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4(7), 29-36. DOI : 10.14400/jdc.2016.14.7.29 

  23. K. Park. (2014). Differences and Effect of After-School Class Experiences on Elementary Students' Sociality and Self-Esteem.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2(5), 45-56. DOI : 10.14400/jdc.2014.12.5.45 

  24. S. Choi & S. Song. (2014). The Effect of elderly Wisdom on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Child Relationship.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2(12), 49-59. DOI : 10.14400/jdc.2014.12.12.49 

  25.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B. J. Jeon. (1974). Self-esteem :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thesis collection, 11, 107-129. 

  27. C. E. Osgood, G. J. Suci & P. H. Tannenbam.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rbana: Univercity Illinois Press. 

  28. C. J. Jung. (1984). The Effect of Supportive Group Nursing Care on Body Image of the Patient With Lower Limb Fractur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DOI : 104040/jnas.1985.15.3.74 

  29. K. Y. Kim. (2000). Effects on maternal-infant attachment by the taegyo perspective prenatal clas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0. E. Y. Lee. (2015). Influence of Anxiety and Dyadic Adjustment on Maternal-fetal attachment in High-Risk Pregnant Women.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DOI : 10.14257/ijseia.2015.9.12.32 

  31. S. A. Lee. (2014). Factors Influencing Maternal-fetal attachment among Pregnant Women.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DOI : 10.14257/astl.2015.116.20 

  32. R. H. Hwang. (2017). Self-Esteem, Body Image, and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Infertile Women.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5(10), 1-13. DOI : 10.14400/JDC.2017.15.10.1 

  33. S. J. Kim. (2016).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Infertile Women.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Kwangju, Korea. 

  34. C. Park. (2013). A Study on the Mental Anguish of Subfertility Wome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35. K. Yang. (1993). The Effect of Self Physical Attractive Cognition on Self Esteem.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ity. 

  36. K. Kim, Y. Yang, J. Choi, H. Kim, J. Uhm & H. Choi. (1995). A Study of Family Support and Self Esteem in Patients on Hemodialysis. Health & Nursing, 28, 63-77. 

  37. H. Hwang & M. Lee. (2011). Hope,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3(2), 189-197. 

  38. P. F. Secord & S. M. Jourard. (1953). The appraisal of body cathexis: Body 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7(5), 343-347. DOI : 10.1037/h0060689 

  39. Y. Lee & U. Oh. (2014). Body Image, Self Esteem,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6(4), 383-392. DOI 10.7475/kjan.2014.26.4.383 

  40. H. Seo. (1986). Associaton Analysis of Body Image, Health Belief and Patient Role Behavior. Master's hesis, Chosun University. 

  41. K. Song, S. Yeom & H. Kwon. (200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Image, Self Esteem and Depression of Amputated Finger Micro-replantation Patients. The Chung Ang Journal of Nursing, 8(1), 27-39. 

  42. S. Lee. (1998). The Relation between Body Image, Self Efficacy and Self Care Activity of Hemiplegia Patients. Master's thesis, Sahm Yook University. 

  43. H. J. Son & J. S. Park. (2014). Relationship between preterm labor stress, fetal attachment and maternal role confidence in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18(1), 86-96. DOI : 10.21896/jksmch.2014.18.1.86 

  44. E. H. Moon, J. Y. Kim, H. M. Son & J. N. Oh. (2007). Anxiety-depression and materal fetal attachment behaviors of pregnant women with preterm labor and normal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Parent-Child Health, 9(2), 128-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