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Maternal-Fetal attachment among Pregnant Wo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3, 2015년, pp.2020 - 2028  

이승아 (경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이성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Mercer의 어머니되기 이론적 모델에서 제시한 태아애착행위의 영향 변수(임신스트레스, 자존감, 결혼적응도, 자아통제감, 산전우울)를 고려하여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산전검사를 위해 산부인과와 보건소에 방문한 임부 140명을 대상으로 2014년 8월 23일에서 11월 25일에 걸쳐 자가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SPSS 2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아애착행위는 30세 이하 임부에서 31세 이상 임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t=2.79, p=.004), 초임부에서 경임부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3.27, p=.041). 태아애착행위는 임신스트레스(r=-0.22, p=.009)와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존감(r=0.45, p<.001), 결혼적응도(r=0.42, p<.001), 자아통제감(r=0.24, p=.005)과는 정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존감, 결혼적응도, 나이로 밝혀졌으며, 전체 모형의 26.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전관리를 통해 임부의 자존감과 결혼적응도에 대한 이해 및 사정이 필요하고, 고령 임부의 태아애착행위 증진 중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maternal-fetal attachment among pregnant women, considering the factors presented in Mercer's theory: Becoming a Mother(pregnancy stress, self-esteem, dyadic adjustment, sense of mastery, antepartum stress). The data was collected t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는 산전관리 시 임부의 자존감, 결혼적응도와 나이를 고려한 태아애착행위 정도를 사정하고, 이를 근거로 임부 대상 태아애착행위 증진 간호중재의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 본 연구는 정상임부를 대상으로 임신스트레스,자존감, 결혼적응도, 자아통제감, 산전우울 및 태아애착행위 정도와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임부의 임신스트레스, 자존감, 결혼적응도, 자아통제감, 산전우울, 태아애착행위의 정도와 이들 변인간의 상관관계 및 태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태아애착행위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Mercer의 어머니되기 이론적 모델에서 제시한 태아애착행위에 영향 변수를 고려하여 임부의 태아 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임부의 자존감, 결혼적응도와 나이가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산전관리를 통해 임부의 자존감과 결혼적응도에 대한 이해 및 사정이 필요하고, 고령 임부의 태아애착행위 증진 중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확인한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를 편의추출 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전체 임부에게 일반화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되기 이론에서 제시한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임신스트레스, 자존감, 결혼적응도, 자아통제감, 산전우울을 변수로 선정하여 이들이 임부의 태아애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서, 향 후 임부의 태아애착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아애착은 무엇인가? 태아애착(Maternal-fetal attachment)은 아이가 태어나기 전 어머니와 아이의 출발점의 관계로서, 태아와의 상호작용이나 애정을 나타나는 행위에 참여하는 정도를 의미한다[4]. 이러한 태아애착은 임부의 발달과제로서 임신의 적응과정이며 출산 후 영아애착의 예측변인이 된다[5].
모성 이행기에 임부는 무엇을 경험하는가? 임신, 출산과 산후초기에 이르는 모성 이행기(transition to motherhood)는 여성의 전 생애주기에서 가장 역동적인 과정으로, 특히 임부는 신체, 심리, 사회, 행동 등에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1]. 이 시기 여성은 성취감, 행복감, 안정감과 통제감 등 긍정적 정서와 동시에, 스트레스, 불안, 분노, 우울, 무기력, 불만족 등 부정적 정서 또한 경험하게 된다[2]. 이러한 부정적 정서의 경험은 임부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태아와의 애착에도 영향을 미친다[3].
모성 이행기에 있는 여성은 어떤 정서를 경험하는가? 임신, 출산과 산후초기에 이르는 모성 이행기(transition to motherhood)는 여성의 전 생애주기에서 가장 역동적인 과정으로, 특히 임부는 신체, 심리, 사회, 행동 등에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1]. 이 시기 여성은 성취감, 행복감, 안정감과 통제감 등 긍정적 정서와 동시에, 스트레스, 불안, 분노, 우울, 무기력, 불만족 등 부정적 정서 또한 경험하게 된다[2]. 이러한 부정적 정서의 경험은 임부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해칠 뿐만 아니라 태아와의 애착에도 영향을 미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R. T. Mercer, "Becoming a Mother Versus Maternal Role Attain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36, No.3, pp.226-232, September, 2004. DOI: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4.04042.x 

  2. R. T. Mercer, and L. O. Walker, "A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s Foster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Vol.35, No.5, pp.568-582, September/October, 2006. DOI: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06.00086.x 

  3. M. K. Kwon, and K. S. Bang, "Relationship of Prenatal Stress and Depression to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Fetal Growt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1, No.2, pp.276-283, 2011.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1.41.2.276 

  4. M. S. Cranley, "Development of a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Vol.30, No.5, pp.281-284, 1981.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109000-00008 

  5. L. C. Callister, "Relationship Among Maternal-Fetal Attachment, Prenatal Depression, and Health Practices in Pregnancy",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Vol.27, No.1, pp.59, January/February, 2002. DOI: http://dx.doi.org/10.1097/00005721-200201000-00020 

  6. T. Y. Moon, S. M. Park, and M. S. Han, "The Influence of Regular Participation in Pregnant Exercise on the Body-esteem and Pregnancy Str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1, No.3, pp.1153-1162, 2010.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0.11.3.1153 

  7. J. Y. Yoon, and M. H. Kang, "Development of Pregnant Women-Fetus Interaction Program and its Effects on enhancing Mother-Newborn baby Interacti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30, No.2, pp.157-175, 2004. 

  8. C. Y. Kang, and J. Y. Youn, "The Pregnant Woman-Fetus Interaction and Attachment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Studies, Vol.10, pp.131-147, 2004. 

  9. R. T. Mercer, Becoming a Mother, New York: Springer, 1995. 

  10. R. T. Mercer, "A Theoretical Framwork for Studing Factors that Impact on the Maternal Role", Nursing Research, Vol.30, No.2, pp.73-77, 1981.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103000-00003 

  11. H. L. Ahn,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fe of Primigravid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15, No.1, pp.5-16, 1985. 

  12. R. T. Mercer, S. Ferketich, K. S. May, J. DeJoseph, and D. Solid, "Futher Exploration of Maternal and Paternal Fetal Attach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11, No.2, pp.83-95, 1988. DOI: http://dx.doi.org/10.1002/nur.4770110204 

  13. Y. S. Lee, and R. H. Hwang,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aternal Fetal Attachment in the Pregnant Women", Chonnam Journal of Nusing Sciences, Vol.4, No.1, August, pp.53-69, 1999. 

  14. S. Y. Kang, and M. R. Chu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t Women's Stress, Temperament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21, No.1, pp.213-223, 2012. DOI: http://dx.doi.org/10.5934/KJHE.2012.21.2.213 

  15. H. Wee, and S. Y. Park, "The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 Depression, Prenatal Stress,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Gratitude",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16, No.2, pp274-286, 2012. 

  16. M. Rog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Middletown, CT, England: Wesleyan University Press, 1989. 

  17. S. S. Chung, and K. H. Joung, "Comparative Study on Predictors of Maternal Confidence between Primipara and Multipar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Vol.17, No.3, pp.181-189, 2011. DOI: http://dx.doi.org/10.4094/jkachn.2011.17.3.181 

  18. H. J. Locke, and K. M. Wallace, "Short Marital-Adjustment and Prediction Tests: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Marriage and Family Living, Vol.21, No.3, pp.251-255. August, 1959. DOI: http://dx.doi.org/10.2307/348022 

  19. M. H. Sung, and K. S. Joo,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Practice of Taekyo in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Vol. 17, No. 1, pp.31-38, 2011.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1.31 

  20. L. I. Pearlin, M. A. Lieberman, E. G. Menaghan, and J. T. Mullan, "The Stress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2, No.4, pp.337-356, December, 1981. DOI: http://dx.doi.org/10.2307/2136676 

  21. American Pregnancy Association (APA) : Depression in Pregnancy, retrieved September 20, 2014. from http://www.pregnancy.org. 

  22. E. J. Lee, and J. S. Park, "Status of Antepartum Depress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4, No.8, pp.3897-3906,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3897 

  23. B. Figueiredo, and R. Costa, "Mother's Stress, Mood and Emotional Involvement with the Infant: 3 months before and 3 months after childbirth",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Vol.12, No.3, pp.143-153, June, 2009. DOI: http://dx.doi.org/10.1007/s00737-009-0059-4 

  24. J. A. Jo, and Y. H. Kim, "Mother's Prenatal Environment, Stress during Pregnancy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1, No.2, pp.43-62, 2007. 

  25. B. J. Jeon,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e-ability", Yonsei Non Chong, Vol.11. No.1, pp.107-130, 1974. 

  26. G. B. Spanier, "Measuring Dyadic Adjustment Scale: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38, No.1. pp.15-28, February, 1976. DOI: http://dx.doi.org/10.2307/350547 

  27. D. M. Busby, C. Christensen, D. R. Crane, and J. H. Larson, "A Revision of the Dyadic Adjustment Scale for use with Distressed and Nondistressed Couple: Construct Hierarchy and Multidimensional Scale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21. No.3, pp.289-308, 1995. DOI: http://dx.doi.org/10.1111/j.1752-0606.1995.tb00163.x 

  28. S. I. Choi, "Revision Dyadic Adjustment Scale: Reliability and Validity", Gho Hwang Non Jip Kyung Hee Graduate School, Vol.35, 2004. 

  29. Korean Gerontology Forum, Older Scale, House of Sharing, 2010. 

  30. J. Cox, J. Holden, and R. Sagovsky,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50. No.6, pp.782-786, 1987. DOI: http://dx.doi.org/10.1192/bjp.150.6.782 

  31. K. W. Han, M. J. Kim, and J. M. Park,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Vol.10, No.2, pp.201-207, 2004. 

  32. O. Chatillon and C. Even, "Antepartum Depression: Prevalence, Diagnosis and Treatment", L'Encephale, Vol.36, No.6, pp.443-451. 2010. DOI: http://dx.doi.org/10.1016/j.encep.2010.02.004 

  33. J. H. Park, "The Effect of Visual and Verbal Information by Antenatal Ultrasound on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Self-Care", M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1. 

  34. J. Y. Lee, J. Y, Cho, S. B. Chang, J. H, Park, and Y. H. Lee,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by Ultrasound on Maternal-Fetal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Vol.8, No.3, pp.335-344, 2002. 

  35. B. H. Choi, "Association of Maternal Fetal Attachment with Newborn's Visual and Auditory Sense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3. 

  36. A. Yarcheski, N. E. Mahon, T. J. Yarcheski, N. M. Hanks, and B. L. Cannella, "A Meta-Analytic Study of Predictor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6, No.5, pp.708-715, 2009. DOI: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08.10.013 

  37. M. H. Hur, "Analysis of Perceived Spouse Support and Self Concept and Other Variables Related to Maternal Fetal attachment", Journal of Kimsan junior college, pp.279-329, 1995. 

  38. M. R. Chung, S. K. Kang, and H. J.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Quality and Parent-Fetal Attachment by Pregnant Coupl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50, No.4, pp.51-61, 2012. DOI: http://dx.doi.org/10.6115/khea.2012.50.4.051 

  39. S. H. Ahn, "An Exploration of the Maternal & Paternal-Fetal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Vol.3, No.1, pp49-63, 1993. 

  40. E. H. Lee, "A Study on the Pregnancy Experience of the Primiparous Couple: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Doctori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