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허분석을 통한 한국의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경쟁력 분석연구
A Study on the Competitive Analysis of Digital Healthcare in Korea through Patent Analysi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229 - 237  

김도성 (연세대학교 생체공학협동과정) ,  조성한 (건국대학교 신산업융합학과) ,  이정수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김민석 (건국대학교 기술경영학과) ,  김남현 (연세대학교 생체공학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IoT,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특허분석을 통해 기술동향을 확인하고 국내외 기술경쟁력 및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향후 유망 분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건강정보 측정기술, 건강관리 플랫폼 기술, 건강관리 원격서비스 기술을 분석대상 세부기술로 분류하고 이에 해당하는 국내외 특허 61,166건을 분석하여 전 세계 주요 특허청별 특허동향과 주요 출원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특허활동력, 주요시장 확보율, 특허 피인용도를 기반으로 세부기술별 기술경쟁력과 한국의 기술경쟁력을 분석한 결과, 전 세계 기술수준에 비하여 한국의 기술경쟁력이 저조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핵심키워드 분석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의 핵심 유망분야를 예측한 결과 한국의 건강관리 플랫폼 기술에 대한 집중적인 육성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IoT and AI have recently developed, interest in digital healthcare is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echnology trends through a patent analysis on digital healthcare and present future promising areas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y competitiveness and keywords.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가별 특허출원건수를 통하여 해당 분야의 국가별 기술력을 파악할 수 있으며 특정 국가에서 사업화를 추진하려는 기업들은 해당 국가에 특허를 출원하여 기술적 장벽을 형성하고, 특허침해 이슈를 방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그 해당 국가의 시장 규모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세부기술별 특허출원건수를 통하여 현재까지 연구개발과 특허출원이 집중된 기술분야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출원건수 분석을 통해 기술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13].
  •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특허 동향을 분석하여 세부기술별 특허출원 현황을 파악하고 주요 출원인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중국의 특허가 미국보다 많이 도출된 것을 볼 때, 향후 기술개발 시 중국에 대한 기술동향 분석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에서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확장과 미래 선도기술 선점을 위하여 R&D활성화 및 기업육성을 위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으나, 국내 실정에 적합한 R&D방향이나 차별화된 전략수립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전략이 부재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특허 기반의 연구개발 전략수립과 유망 기술분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특허에 대한 정량분석을 통하여 출원동향 및 핵심기업을 확인하고,세부기술별 기술경쟁력과 한국의 기술경쟁력을 비교분석하며, 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한 유망 분야를 제시하고자 한다.
  • 특허 관점에서 세부기술별로 기술경쟁력과 한국의 기술경쟁력을 파악하여 향후 정부 정책 수립을 위한 제언언을 하고자 한다. 건강관리 원격서비스 기술(C)의 특허 활동도가 다른 세부기술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볼 때, 해당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과 특허확보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헬스케어에 대하여 정부가 무엇을 발표하였는가? 이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은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진출과 더불어 시장선점을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경쟁강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13대 혁신성장동력에 의하면 맞춤형 헬스케어 분야를 지정하고, 맞춤형 헬스케어서비스 구현 및 첨단 융합 의료기기 개발을 위하여 2022년까지 2조 76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을 발표하였다[7].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에서도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확장과 미래 선도기술 선점을 위하여 R&D활성화 및 기업육성을 위한 노력을 추진하고 있으나, 국내 실정에 적합한 R&D방향이나 차별화된 전략수립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에 따른 전략이 부재한 상황이다.
헬스케어란 무엇인가? 헬스케어란 넓은 의미로는 질병의 치료, 예방, 건강 관리의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하고, 좁은 의미로는 원격 진료나 건강 상담과 같은 의료서비스를 말한다[1].
지식재산의 중요성이 높아지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여기서 특허란 발명이나 기술의 고안, 의장 등에 관하여 특허권자에게 독점적이고 배타적 권리를 인정하는 제도를 의미하는데, 특허분석을 통해 국내 기업이 기술의 변화와 더불어 핵심영역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파악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더불어 오늘날 산업이 고도화되고 복잡화되면서 많은 양의 과학기술 정보가 생산되고 그 기술정보가 지식재산으로서 정의됨에 따라, 지식재산의 중요성은 매우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국가 경쟁력 제고의 차원에서 지식재산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려는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특허정보가 단순한 기술의 정의문헌으로 한정되지 않고, 특정 연구분야의 기술동향 및 향후 기술예측에 활용되고 있어서, 국가 또는 기업의 정책 수립을 위하여 중요한 근거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특허 동향 및 기술동향을 조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인 요소라고 볼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ankyung. (2018.06.12.). Healthcare. Hankyung economic dictionary. http://dic.hankyung.com 

  2. IT Terminology Dictionary. (2018.06.12.) U-Healthcare.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TTA). https://terms.naver.com 

  3. PMG. (2015). Mobile Healthcare. Common Sense dictionary. http://www.pmg.co.kr 

  4. Maeil Business Newspaper. (2018). Mobile Healthcare. Maeil Business Newspaper, http://www.mk.co.kr 

  5. J. R. Kim. (2017). Overview of Smart Health Care Technologies. The Magazine of the IEIE. 18-23. 

  6. J. S. Lee. (2014) Digital Health Care Platform and Major Business Trends. KHIDI Brief. 14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KHIDI). 

  7. Min. of Science and ICT. (2018).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hand! Announcement of implementation plan for innovative growth engines. https://blog.naver.com/with_msip/221298519200 

  8. H. J. Jin & S. W. Lee (2012). Patent Trend Report about Oriental Medicin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6), 223-229. DOI : 10.5392/JKCA.2012.12.06.223 

  9. B. R. Jung & H. S. Song. (2013). U-Healthcare and Digital Health. Hanwha Morning Brief, 5-48. 

  10.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Research Policy Center). (2014). Survey on the Level of 15 National Convergence Technology in 2014. Seoul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11. S. K. Lee. (2017) Global Digital Health Care Technology Trends and Challenges. Weekly ICT Trends, 1826, 1-12. Institute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omotion. 

  12. K. C. Nam, H. C. Kim & B. S. Kwon. (2014. 12.) ICT Converged Medical Devic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44-50. 

  13. KIPO, KISTA, (2016). Patent Mega Trend : Bio. Daejeon : KIPO. 

  14. J. W. Bae. (2016). Technology and Korea's Competitiveness Analysis through UAV Patent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41(12), 1868-1875. 

  15. S. T. You & S. H. Oh. (2015). Malware Analysis Mechanism using the Word Cloud based on API Statistic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0), 7711-7218. 

  16. H. N. Noh, (2014). Word Cloud-Driven Hospital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