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혈관질환자의 미 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Unmet Medical Needs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279 - 291  

이정욱 (신라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혈관질환자의 미 충족 의료 발생의 위험요인을 실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4년 한국의료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SPSS/WIN24.0 프로그램으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Anderson 모형에 따라 소인 요인과 가능 요인을 보정해 필요 요인을 투입한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최종 모델에서 미 충족 의료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로서 성별, 경제활동 여부, 소득, 와병 경험, 활동제한 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 개수가 유의한 영향변수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뇌혈관질환의 효과적인 관리와 치료에 필요한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으로서 뇌혈관질환자의 미 충족 의료 발생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뇌혈관질환 관리 대책에 포함시켜야 할 필요성, 뇌혈관질환자의 의료적 필요 충족을 위해 다양한 차원의 변수들을 고려한 포괄적 대책 마련의 필요성, 미 충족 의료 발생의 유의한 영향변수들을 중심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구체화된 서비스 매뉴얼 제작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designed to demonstrate risk factors of unmet medical care for people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To do thi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24.0 program using Korean Medical Panel data in 2014. In the final model of...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앞서 연구 필요성에서 제시한 인식에 기초해 우리나라 3대 중증질환 중 하나인 뇌혈관질환자를 대상으로 우선 미 충족 의료 실태와 연령대별 미 충족 의료발생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다음 미 충족 의료 발생의 위험요인을 실증함으로써 뇌혈관질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뇌혈관질환자가 경험한 미 충족 의료 실태를 파악하고, 연령대별 미 충족 의료 발생 현황과 미 충족 의료 발생의 위험요인을 실증 분석하기 위해 2014년 한국 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앞서 연구 필요성에서 제시한 인식에 기초해 우리나라 3대 중증질환 중 하나인 뇌혈관질환자를 대상으로 우선 미 충족 의료 실태와 연령대별 미 충족 의료발생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다음 미 충족 의료 발생의 위험요인을 실증함으로써 뇌혈관질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 데이터를 활용해 뇌혈관질환자가 경험한 미 충족 의료 실태와 연령대별 미 충족 의료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Anderson의 행동모형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의료서비스 이용의 영향요인인 소인 요인, 가능 요인, 필요 요인이 미 충족 의료 발생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 결과와 이를 토대로 논의한 결과를 정리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 충족 의료란? 이렇듯 어떤 이유에 의해서건 환자의 의료적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미 충족 의료’라 한다[5]. 이 용어는 의료적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사회적 여건 등 여러 원인들로 인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포기하게 되거나, 의료서비스를 적시에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모든 경우를 뜻한다[6, 7].
미 충족 의료는 어떤 경우를 뜻하는가? 이렇듯 어떤 이유에 의해서건 환자의 의료적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미 충족 의료’라 한다[5]. 이 용어는 의료적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 사회적 여건 등 여러 원인들로 인해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포기하게 되거나, 의료서비스를 적시에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모든 경우를 뜻한다[6, 7]. ‘미 충족 의료’는 현상 그 자체나 수치상의 결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게 됨으로써 환자들의 질병 중증도를 높이고 합병증 발생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5].
뇌졸중은 어떤 질환인가? 또한 뇌혈관질환자의 경우 독립적인 생활이 어려운 질병이므로, 가족이나 전체 사회에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3]. 특히, 뇌졸중은 생존 환자 중 60% 이상이 신경학적 손상의 결과로 인해 편마비, 실어증, 연하 곤란, 우울증의 장애를 갖게 되는 중증의 질환으로서 성인에게 발생하는 후천적 장애의 가장 흔한 원인질환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http://kosis.kr 

  2. C. Y. Kang, I. S. Park & D. Y. Kim. (2011). The relationship of dysfunctions degree, daily living activity, depressiven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suffering from strok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5(2), 173-186. DOI : 10.12811/kshsm.2011.5.2.173 

  3. I. S. Jeong. (2004). A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fe quality of the stroke patient and family support. The graduate school Dong guk university. 

  4. S. A. Choi. (2004).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graduate school public administration Sung Kyun Kwan university. DOI: 10.17547/kjsr.2015.23.1.39 

  5. A. Donabedian. (1973). Aspects of medical care administration: Specifying requirements for healthcar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6. Y. J. Shin & J. I. Shon. (2009). The Prevalence and Association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 - Using the 1st and 2nd Korea Welfare Panel Dat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9(1), 111-142. DOI:10.15709/hswr.2009.29.1.95 

  7. H. R. Shin & Y. G. Lim. (2014). The Influence of Medical Expenditure on Unmet Needs for Health Care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rivate Health Insurance,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2(3), 25-48. 

  8. A. L. Diamant et al. (2004). Delays and unmet need for health care among adult primary care patients in a restructured urban public health system,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4(5), 783-789. DOI :10.2105/ajph.94.5.783 

  9. J. H. Lim. (2013). Analysis of unmet medical need status based on the Korean Health Panel,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4, 237-256. DOI : 10.24171/j.phrp.2017.8.5.02 

  10. H. Y. Oh & E. H. Gil. (2017).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Korean Adults with Hypertens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9(1), 22-31. DOI : 10.7475/kjan.2017.29.1.22 

  11. U. S. Kwak E. Y. Kuk, Y. M. Kim, M. R. Chun & S. W. Chung. (2009). A Workplace Cardiovascular Health Promotion Program and its Short-term Health Effect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1(1), 46-52. 

  12. M. S. Kim. (2012). The Carotid artery ultrasonogrphy's Usefulness for the prediction of ischemic brain vessel disease,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sonographers, 3(1), 15-24, 

  13. J. Y. Seo, H. I. Song, J. S. Kim, I. B. Ko & K. P. Hong, (2009). Trend Analysis of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with Cerebral Angiography, The korean society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technology, 12(1), 185-193, 

  14. J. S. Jeong, (2008). Treatment of cerebrovascular disease using Onyx: case report, The korean society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al technology, 11(1), 150-154. 

  15. M. Y. Lee, S. B. Lee, J. H. Lee, S. Y, Lee, T. S. Lee & K. H. Jin. (2007). Temporal Variations of Cerebrovascular Disea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1), 17-23. DOI : 10.3348/kjr.2015.16.2.391 

  16. J. B. Rhie, I. S. Ryu, I. C. Jeong, Y. S. Park, Y. S. Lim, S. H. Kim & J. U. Won. (2011). Comparison of Cardiovascular Diseas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among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3(2), 164-172. 

  17. W. J. Jeon & J. H. Cho. (2013). Factor Analysis on Cerebrovascular Disease of Korean Police Officers,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society, 7(4), 293-299. DOI : 10.7742/jksr.2013.7.4.293 

  18. Y. H. Kim, C. H. Kim, W. S. Lee & M. S. No. (2015). A Study on Association between Local Climate Change and Disease Deaths Caused by Ischaemic Heart and Cerebrovascular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4), 1911-1918. 

  19. J. R. Kim, D. Y. Hong & S. H. Park. (1995). A patient-control study of risk factors for cerebrovascular disease,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28(21), 473-486. 

  20. H. S. Lee, Y. C. Ko, S. H. Baek, K. S. Shin, J. S. Kim, H. J. Han & D. I. Shin. (2011). Is There Any Spousal Concordance of Cerebrovascular Risk Factors in Stroke Patients? : A Preliminary Study,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5), 308-316. DOI :10.5392/jkca.2011.11.5.308 

  21. https://www.khp.re.kr:444/ 

  22. R. M. Anderson & J. F. Newman. (1973). Societal and individual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in the United States, The Milbank Memorial Fund Quarterly: Health and Society, 51(1), 95-124. DOI : 10.2307/3349613 

  23. H. Y. Choi & R. S. Yeon. (2017). Factors Associated with the Types of Unmet Health Care Needs among the Elderly in Korea,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1(2), 65-79. DOI :10.12811/kshsm.2017.11.2.065 

  24. K. S. Song, J. H. Lee & K. H. Rhim.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s for Health Car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7(1), 131-140. 

  25. J. H. Kong, H. O. Choi & E. J. Oh. (2016). The Relationship among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Knowledge, Attitude of, Health Behavior among 30, 40s Male Worker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7), 309-318. DOI:10.5392/jkca.2016.16.07.309 

  26. J. H. Cho. (2016).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oncern and Knowledge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Elderly : Focusing on Elderly of Using Senior Citizen Center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7. J. H. Moon & M. A. Kang. (2016). The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Unmet Medical Needs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in Korea: An Application of the Behavioral Model for Vulnerable Populations,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Studies, 36(2), 480-510. DOI :10.15709/hswr.2016.36.2.480 

  28. J. H. Lee. (2008).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urvey Methods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Goyang: Knowledge Community Publishing. 

  29. R. M. Anderson. (1995). Revisit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 Does it matte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6(1), 1-10. DOI : 10.2307/2137284 

  30. H. Y. Song, J. W. Choi & E. C Park. (2015). The Effect of Economic Participatory Change on Unmet Needs of Health Care among Korean Adult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5(1), 11-21. DOI : 10.4332/kjhpa.2015.25.1.11 

  31. J. H. Lim. (2013). Analysis of unmet medical need status based on the Korean Health Panel,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4, 237-256. 

  32. E. S. Jung & M. J. Park. (2011).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nrepellent Care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 3rd Conference of Korean Medical Panel, 367-381. 

  33. S. I. Heo, M. K. Kim, S. H. Lee & S. J. Kim. (2009). A study for unmet health care need and policy implica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4. OECD. (2009). Indicators, health at a glance, OECD Latest Edition. 

  35. B. D. Hwang & L. Choi. (2015). A The Prevalence and Association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s by Age Group in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1), 81-93. DOI : 10.12811/kshsm.2015.9.1.08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