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교사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Emotional Labor of Infant Teachers Contributed to The Turnover Inten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9, 2018년, pp.465 - 475  

허윤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감정 노동 및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상관분석과 매개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정적 상관관계가 성립됨을 보여 주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있어서도 정적 상관관계가 성립 되었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유아 교사의 직무수행 환경으로 인해 감정노동이 부득이한 상황임을 감안 할 때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현실적인 방안으로, 교육행정업무 간소화 및 교육정책의 지속적 운영, 교사 권위 향상을 위한 홍보, 급여의 현실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은 영유아 교사의 근무 환경과 근무 동기를 강화시킴으로서 결과적으로 이직율을 감소시키고 궁극적으로, 영유아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향후 논의는 지금까지 주류를 이루어 왔던 양적관점의 표면적 논의와 함께, 영유아 교사 개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이직의도, 감정노동 전반에 걸친 다양한 경험의 세계를 질적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이 동반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nfirm whether both the emotional labour and job stress contribute to the turnover intention of infant teacher.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parametric analysis were sequentially performed for our study.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the emotional labour was related to the job st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영유아 교사의 이직의도에 감정 노동 및 직무 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구체적인 수준에서 파악하고 논의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들이 어쩔 수 없이 감정노동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 속에서, 직무스트레스가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직의도 감소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본 연구는 영유아 발달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영유아 교사의 질 향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이직의 원인을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찾아보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결과 확인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교사들이 직무수행을 위해 격는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연구모형은 Fig.

가설 설정

  • 가설4.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할 것이다.
  • 가설1.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셋째, 급여 현실화 방안 이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 응답자중 80%이상이 일일 8시간을 초과하여 근무를 함에도 불구하고, 급여가 월 200만원 전후가 대부분이다.
  • 연구문제2. 유치원 교사의 감정노동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든 교육자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특히 영유아들은 분화가 덜된 발달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교사의 종합적, 구체적인 학습상황의 조성은 다른 어떤 발달단계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1]. 수준 높은 교사를 결정하는 요인 역시 다양하게 거론되고 있지만 실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2, 3]을 갖춘 반성적 전문인[4]은 모든 교육자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라 할 수 있다. 실천적 지식은 내용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을 뛰어넘는 궁극적 노하우(know how)이며 이러한 실천적 지식의 습득은 본인의 수행(performance)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과 반성을 통해 완성된다.
영유아 교육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가장 영향이 큰 요소는? 영유아 교육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여러 가지 있지만, 교사의 질은 교육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특히 영유아들은 분화가 덜된 발달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교사의 종합적, 구체적인 학습상황의 조성은 다른 어떤 발달단계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1].
영유아들이 교사와 지내는 시간이 길어진 사회적 배경은? 지난 반세기동안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전통적인 가족구조가 해체되고 소규모, 핵가족 구조로 빠르게 변화되어 왔다. 또한, 여성의 사회참여가 가속화 되면서 맞벌이 가정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핵가족 구조와 맞벌이 가정의 증가는 가정 내의 자녀 양육수단 부족 현상의 원인이 되었고,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보호․양육과 교육의 기능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증가하였다. 자연스럽게 영유아들은 하루일과 중 대부분을 부모보다는 각 기관의 교사와 같이 있는 시간이 더욱 많아지게 되었으며, 영유아의 발달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증대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podek. B. (1973). Early childhood education.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2. Polanyi. M. (1958). Personal knowledge: Toward a post-critical philosophy. New York : Routledge & Kegan Paul. 

  3. Polanyi. M. (1966). The tacit dimension. Garden City. New York : Doubleday & Company. 

  4. Shcon. D. A.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l think in action. New York : Basic Books. 

  5. E. J. Sohn. (2003). Reflective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The Student Life Study, 28, 31-54. 

  6. D. J. Cho. (2006). A study on three approaches to the teacher's reflec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4(2), 105-133. 

  7. M. Y. Kim & M. H. Son. (2012). Everydayness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0(3), 21-49. 

  8. E. H. Seo & M. S. Lee. (2002).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7(3), 155-170. 

  9. Bollin. G. (1993). An investigation of job s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among family day care provid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207-220. 

  10. S. Y. Sim. (1999). Job satisfaction affecting on turnover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4(2), 159-177. 

  11. M. N. Park & Y. M. Bae. (2013). Analysis of Preschool Teachers' Actual Work Conditions and their Job Satisfactions. The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31(3), 21-37. 

  12. H. J. Kim. (2018). The Effects of Childcare Treatment, Teacher's Job Stress and CCTV Control on the Childcare Service of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3. J. H. Lee. (2007). An expolration of the 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of childcare teacher, individual and organization emtional values, job satisfaction, burnout. Doctoral dissertation. Ewa Woman's University. Seoul. 

  14. N. Y. Kwon & H. Y. Lee. (2012).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 Job Environment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9(3), 199-218. 

  15. Hochschild. A R. (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of human feeling. Berkeley, CA : Unversity of California Press. 

  16. J. Andrew Morris & Daniel C. Feldman. (1996).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4), 986-1010. 

  17. M. S. Joung & K. J. Kim.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nurses. Korea journal of hospitah mangement, 11(4), 1-18. 

  18. de Castro. A. B, Agnew. J & Fitzgerald. S. T. (2004). Emotional labor: relevant theory for occupational health practice in post-industrial America. AAOHN Journal, 52(3), 109-124. 

  19. Evaluation Accreditation Guide for Day care center. (2018). Seoul : Korea Childcare Promotion Institute 

  20. S. G. Han. (2013) Actual by occupation of Emotional Labor. Sejong :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1. Y. L. Sin. (2018). Imfact of the Job Stress of the Nursery Teacher on Turnover Intens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and Emotional Work. Doctoral disseration. Seoul-Hanyoung University. Seoul. 

  22. H. J. Kim. (2014).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f Nursing Teachers Contributed to The Turnover Intention.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3. Luthans. F. (1981). Organizational Behavior. New York : McGraw-Hill. 

  24. Blau Gary. (1981).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job stress, social support, service length, and job strai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7(2), 279-302. 

  25. E. J. Park.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Job Stress, Teacher Efficacy,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 in Early Childhood Educaion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26. J. H. Kim.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Stress and Educational Activities and in the Kindergarten.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7. M. A. Jang. (1996). Occupation Str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 Methods to Coping the stress.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8. S. Y. Choi & H. A. Koo. (2005). A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Child Care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4), 55-70 

  29. Grandey. A. A. (2003). When the Show Must Go on,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as Determinant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er-Rated Service Delivery. Academy of Mandgement Journal, 46, 86-96. 

  30. Brotheridge. C. M & Grandy. A. A. (2002). Emotional labor and burnout : Comparing tw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0(1), 17-39. 

  31. Brotheridge, C. M & Lee, R. T. (2002). Testing a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of the dynamics of emotional labor. Journal of Occuupational Health Psychology, 7, 57-67. 

  32. S. A. Kang. (2016). Relations of Young Children Teachers' Emotional Labor to their Job Efficacy and Job Stress. Master Thesis. Kunsan University, Gunsan. 

  33. C. W. Kim. (1992).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Job Stresses and Psychosomatic Symptoms, Burnout.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34. Kyriacou. C. & Sutcliff. J. (1978). Teacher stress: Prevalence, sources, and symptom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5, 61-64. 

  35. S. M. Kwon. (2013).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indergarten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re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efficaacy,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36. Cook. J. D, Hepworth. S. J, Wall. T. D & Warr. P. B. (1981). The experiment of work. New York : Academic Press. 

  37. S. S. Park. (1998). The roles and Relations between Job related factors that affect Turnover intention. Master Thesis. Chonnam University. Gwangju. 

  38.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9.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40. M. S. Lee. (2016).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Maser Thesis. Chongshin University. Seoul. 

  41. S. Y. Kim. (2014).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by Clusters Based on Emotional Labor of Child Care Teacher.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42. J. R. Yu. (2014).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Labor of Early Childhood Teacher, Teacher-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Master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43. 2018 Childcare business guid. (2018).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