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수 곱셈 단원의 교과서 개선 방향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Decimal Fractional Multiplication Unit in Textbook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2 no.4, 2018년, pp.475 - 496  

김수경 (신탄진초등학교) ,  김진숙 (대전갑천초등학교) ,  권성룡 (공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수의 곱셈은 계산방법에 있어 자연수 곱셈과의 유사성 때문에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학생들은 소수의 곱셈에서 많은 오류를 보인다. 이는 개념적인 이해보다 기능적인 숙달에 치중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수의 곱셈 단원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제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소수의 곱셈 단원의 성취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 상의 유의점, 지도내용 및 방법을 분석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교육과정별 해당 교과서의 차시 구성 및 교과서별 활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수의 곱셈과 관련된 개론서 및 논문을 분석하여 소수의 곱셈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실태 및 소수의 곱셈을 지도하기 위한 지도 방안을 살펴보고 공통적으로 제시된 방안을 요목화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의 세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의미 있는 어림 지도가 필요하다. 둘째, 소수 곱셈의 의미에 적합한 시각적 모델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소수의 곱셈 알고리즘을 형식화하는 과정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multiplication of decimal fractions is expected to be easy for students to understand because of the similarity to natural numbers multiplication in computing methods, students show many errors in the multiplication of decimal fractions. This is a result of the instruction focused mor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수의 학습이 분수보다는 상대적으로 쉬운 이유는? 소수는 분수와 달리 십진위치기수법을 따르며 표기법에 있어서는 범자연수와 비슷하기 때문에 분수보다 익숙하다(강홍재 외, 2018). 이와 같은 소수와 자연수의 유사성 때문에 분수보다는 소수의 학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고 알려져 있고, ‘소수 체계는 정말 간단하기 때문에 이해하기만 한다면 분수 체계를 완벽하게 대체할 것이다.’(Kerslake, 1991,Irwin, 2001에서 재인용)라고 생각한 학자도 있다.
교사들의 교과서 의존도가 높다는 근거는 무엇인가? 교과서는 교과용 도서 중의 하나로 분류되긴 하지만,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이 실제 수학 수업에 미치는 영향력은 매우 크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과서를 바탕으로 수업의 구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고 소재나 활동에 약간의 변화를 주는 수준에서 수업을 재구성하기 때문에 교사들의 교과서 의존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황현미,2013). 따라서 교육과정의 핵심적인 강조점들을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하여 개발하는 것은 곧 교육과정의 충실한 구현으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소수의 곱셈을 포함하는 소수 연산이 많은 학생들에게 어려운 원인엔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소수의 곱셈을 포함하는 소수 연산은 많은 학생들에게 문제를 야기한다(Verschaffel, Greer, & De Corte, 2007). Lortie-ForguesTian & Siegler(2015)는 소수 연산이 학생들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범자연수와 다른 표기법, 소수에 대한 양감의 부족, 연산 절차의 모호성, 1보다 작은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의 효과에 대한 오류 등이 원인이라고 보았다. 이처럼 소수와 자연수는 유사점만큼이나 차이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차이점이 학습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개념적으로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홍재, 권성룡, 김성준, 김수환, 신준식, 이대현 외(2018).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수학교수법. 파주: 동명사. 

  2. 교육부(2000a). 수학 3-나.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부(2000b). 수학 5-나.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4. 교육과학기술부(2010a). 수학 3-2. 서울: 두산동아. 

  5. 교육과학기술부(2010b). 수학 5-2. 서울: 두산동아. 

  6. 교육부(2014a). 수학 3-1. 서울: 천재교육. 

  7. 교육부(2014b). 수학 5-2. 서울: 천재교육. 

  8.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서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김수정, 방정숙(2007). 십진블록을 활용한 소수의 곱셈 지도에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 과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1), 1-21. 

  10. 문범식, 이대현(2014). 초등학생들의 소수 개념과 그 연산에 대한 이해도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2), 237-255. 

  11. 변희현(2007). 초등수학에서 소수 곱셈의 지도에 관한 소고. 한국수학사학회지, 21(2), 89-108. 

  12. 오영열(2006). 수학교과서 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6(2), 197-213. 

  13. 윤희태(2002). 초등학생들의 기초 계산 오류에 대한 분석적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연미, 박성선(2011). 어림하기를 통한 소수점 찍기가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1), 1-18 

  15. 진성현, 박만구(2016).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소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 순서 및 방법 분석. 한국초등교육, 27(2), 55-75. 

  16. 황현미(2013).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과서 사용 실태 분석 및 수준 모델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8. Diezmann, C., & Lowrie, T. (2006). Primary students' knowledge of and errors on number lines. In P. Grootenboer, R. Zevenbergen, & M. Chinnappan (Eds.), Identities, cultures and learning spaces(pp. 171-178). Sydney, Australia: MERGA. 

  19. Gersten, R., Chard, D. J., Jayanthi, M., Baker, S. K., Morphy, P., & Flojo, J. (2009). Mathematics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meta-analysis of instructional component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9, 1202-1242. 

  20. Greer, B. (1992).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s models of situations.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276-295). New York: Macmillan. 

  21. Heron, M. (2014). The number line model fo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fractions. Ohio Journal of School Mathematics, 69(1), 7-11. 

  22. Irwin, K. C. (2001). Using everyday knowledge of decimals to enhance understand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2(4), 399-420. 

  23. Izsak, A. (2005). "You have to count the squares": Applying knowledge in pieces to learning rectangular area.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4(3), 361-403. doi:10.1207/s15327809jls1403_2 

  24. Jones, J. C. (2011). Visualiz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methods. Wiley. 

  25. Kerslake, D. (1991). The language of fractions. In K. Durkin & B. Shire (Eds.), Language in mathematical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pp. 85-94). Buckingham, UK: Open University Press. 

  26. Kuchemann, D., Hodgen, J., & Brown, M. (2014). The use of alternative double number lines as models of ratio tasks and as models for ratio relations and scaling. In S. Pope(Ed.), Proceeding of the 8th British Congress of Mathematics Education(BCME8). BSRLM: University of Nottingham. 231-238. 

  27. Lesh, R., Post, T., & Behr, M. (1987). Representations and translations among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s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In C. Janvier(Ed.), Problems on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3-40. 

  28. Lortie-Forgues, H., Tian, J., & Siegler, R. S. (2015). Why is learning fraction and decimal arithmetic so difficult ? Developmental Review, 38, 201-221. doi: 10.1016/j.dr.2015.07.008. 

  29. National Council of Tear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30. Reys, R. E., Lindquist, M, M., Lamdin, D. V., & Smith, N. L. (2009).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9th ed.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공역(2012).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서울: 경문사. 

  31. Steinle, V. (2004). Changes with age in students' misconceptions of decimal number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University of Melbourne. 

  32. Thomas, S. (2004). Mathematics for Teachers : An Interactive Approach for Grade K-8. Belmont, CA : Thomson Brooks. 

  33. Van de Walle, John A. (2004).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 Teaching developmentally. Allyn and Bacon. 남승인 외 6인 공역 (2008).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 경문사. 

  34. Van de Walle, J. A., Karp, K. S., & Bay-Williams, J. M. (201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ing developmentally 7th ed. Boston : Pearson. 

  35. Verschaffel, L., Greer, B., & De Corte, E. (2007). Whole number concepts and operations. In F. K.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 project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p. 557-628).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