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강조한 지도방안 탐색
An Investigation of Teaching Methods of Finding out the Greatest Common Divisor and the Least Common Multiple Focused on Their Meanings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2 no.3, 2018년, pp.283 - 308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  이유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초록

약수와 배수는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 모두 다루어지는 주제이지만, 초등 수준에서 약수와 배수를 다룬 연구가 많지 않다. 특히 학생들이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방법의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한 채, 그 방법을 기계적으로 적용한다는 연구는 있는 반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지도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모델을 토대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강조한 지도방안을 도출한 후 4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검사지와 면담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현행 수학교과서로 약수와 배수를 학습한 5학년 학생들과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강조한 지도 방안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방법을 개념적으로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방법의 의미를 강조한 지도 방안에 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visor and multiple' is the topic included both in the elementary and in the secondary mathematics curriculum, but there has been lack of research on it. It has been reported that students have a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greatest common divisor (GCD) and the least common m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을 보다 의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인수막대3)’라는 교구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약수와 배수’ 단원에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강조한 지도 방안을 설계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약수와 배수 지도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의도했다.
  • 셋째,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의 원리를 약수와 배수의 의미와 연결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반영한 교과서 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계산 결과 즉, 겹쳐진 인수막대가 왜 두 수의 약수인지 배수인지 살펴보는 과정을 통해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의 의미를 이해하도록 지도하였다. 이처럼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서 학습한 약수와 배수의 개념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 문항은 크게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단순 계산 문제)와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방법의 의미를 이해하는지(의미 이해 문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우선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3가지 방법에 따른 정답률(2~4번, 8~10번 문항)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학생들이 선호하는 풀이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 알고리즘의 의미(5~7번, 11~13번 문항)를 이해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 이 학생들은 단순 계산 문항을 모두 해결하였으며, 나머지 문항에서 의미 있는 응답을 한 학생들로, 문제해결과정에서 드러나는 학생들의 이해를 분석하기 위해 의 분석 내용 및 초점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주어진 질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 추가적으로 기존의 교과서대로 약수와 배수를 학습한 5학년 학생들의 결과도 함께 비교・분석하여 새로운 지도방안의 특징을 좀 더 명확하게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을 보다 의미 있게 지도하기 위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러한 지도 방안을 수학 수업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 중등에서 모두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제대로 지도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약수와 배수의 의미를 통해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 방안을 구안했다. 특히 중등에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부분이 약화되고 소인수분해를 강조하여 다루고 있기 때문에 초등에서 비교적 소인수분해의 연산과정을 약화시키고 약수와 배수의 의미 이해와 알고리즘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약수와 배수의 의미를 강조하였고,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방법을 지도할 때 두 수를 소인수분해한 결과와 연결하여 그 의미를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했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 제안한 다양한 시각화 방안을 토대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방법의 의미를 시각화할 수 있는 교구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 이와 같은 연구 배경과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약수와 배수 단원에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강조한 지도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토대로 도출된 지도 방향을 바탕으로 수업을 계획하였고, 학생들의 검사지와 면담 결과를 중심으로 학생 사고를 분석하였다.
  • 약수와 배수의 지도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해 보면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정리해볼 수 있다. 첫째, 스키마(schema)의 측면에서 약수와 배수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구안하는 연구이다. 학생들에게 일차적 개념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켜주고, 이차적 개념과 같은 상위 단계의 개념을 형성할 때 필요한 연결고리인 각각의 개념이나 스키마 그리고 변형된 스키마를 많이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 본 연구는 ‘약수와 배수’ 단원에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의미를 강조한 지도 방안을 설계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약수와 배수 지도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의도했다. 특히 논문에서는 새로운 지도 방안을 적용한 4학년 학생들의 이해 특성을 분석하고, 부가적으로 기존의 지도 방안을 적용한 5학년 학생들의 검사지와 면담 결과와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지도 방안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사적으로 약수와 배수 개념은 왜 의미가 있는가? 역사적으로 ‘약수와 배수’ 개념은 정수론의 여러 개념과 정리를 바탕으로 하는 중요한 내용이며,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모두 다루어지는 주제이다(박현아, 2010). 특히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약수와 배수는 자연수 이론의 중심이 되며, 더 나아가 분수의 이해 및 사칙연산에서 기초가 된다(최지영, 강완, 2003).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약수와 배수가 중요한 이유는? 역사적으로 ‘약수와 배수’ 개념은 정수론의 여러 개념과 정리를 바탕으로 하는 중요한 내용이며,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모두 다루어지는 주제이다(박현아, 2010). 특히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약수와 배수는 자연수 이론의 중심이 되며, 더 나아가 분수의 이해 및 사칙연산에서 기초가 된다(최지영, 강완, 2003). 이 외에도 약수와 배수 개념은 비와 비례 개념 발달에 영향을 주며(고은성, 이경화, 2007), 실생활 문제 해결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이영희, 2009).
박현아(2010)는 중학교 학생들이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에서 범하는 오류의 원인을 어떻게 나누었나? 중학교 학생들도 초등학교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와 유사한 오류를 범한다. 예를 들어 박현아(2010)는 학생들이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관련 내용에서의 오류 원인을 용어 정의, 소인수분해, 공통인 인수, 문장제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나누어 진단하였다. 특히 나눗셈 방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많은 오류를 범한다고 지적하며, 이는 학생들이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구할 때 의미는 모른 채 단순히 계산과정을 암기하고 기계적으로 반복훈련만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고은성, 이경화(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4), 359-380. 

  2.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3. 교육부(2014). 수학 5-1. 서울: 천재교육. 

  4. 구광조, 전평국, 김성만, 류기천, 안영옥, 이영주, 주미자(1997). 열린 수학 수업을 위한 퀴즈네어 막대의 활용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 프로시딩, 6, 117-130. 

  5. 김부윤, 이양(1997). 중등교육과정에서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지도법에 관한 연구. 교사교육연구, 34, 165-173. 

  6. 김윤용(1991).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진환, 박교식(2013). 나눗셈 알고리즘과 유클리드 알고리즘의 확장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3(1), 17-35. 

  8. 김화수(2012). 공약수의 Schema가 공배수와 최소공배수의 관계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수학교육, 15(3), 201-218. 

  9. 김희리(2015). 초등학생들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에 관한 이해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류성림(2002). 초등 수학 수업에서 퀴즈네어 막대의 활용에 관한 연구. 과학?수학교육연구 (2), 25, 73-92. 

  11.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강은주, 김선희, 임해미 외 38인(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BD15110002. 

  12. 박현아(2010). 중학교 수학에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상덕, 김화수(2004). 약수의 관계적 이해에 관한 내용 연구-스키마 (Schema)를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18(1), 111-121. 

  14. 이영희(2009). 시각화를 통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정영우, 김부윤, 김소영, 황종철(2011). 대수적 관점에서 본 소수 지도 의의에 관한 연구. 중등교육연구, 59(2), 235-259. 

  16. 최지영, 강완(2003).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난 약수와 배수 지도 방법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7, 45-64. 

  17. 황선욱, 강병개, 윤갑진, 이광연, 장홍월, 정종식, 조성율(2018). 중학교 수학1. 서울: (주)미래엔. 

  18. Baroody, A.,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London: Lawrence Erlbaum. 권성룡, 김남균, 김수환, 김용대, 남승인, 류성림 외 6인 (역) (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서울: 경문사. 

  19. Olson, M. (1991). A geometric look at greatest common divisor. Mathematics Teacher, 84(3), 202-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