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체험교구 개발 모형 및 이를 적용한 최대공약수 교구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ools for Math Activities & it's Appli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4 no.4, 2020년, pp.587 - 603  

서보억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중요한 수단이자 교육적 도구인 수학체험교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최근 활동이론(action theory)에 근거한 수학교육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수학체험교구가 개발되고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비교과활동을 통해 활용되고 있지만, 실제 수학수업에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 수학체험교구가 개발되어 활용되는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수학과 교육과정에 부합되고, 수학적 근거가 명확한 체험교구는 체계적으로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체험교구를 개발하기 위한 체계적인 방법으로 체험교구 개발 모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개발 모형에 따라 최대공약수 체험교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형과 실제 구현된 체험교구를 통해 다양한 수학체험교구의 개발이 실제적으로 실행되고, 수학적 기초에 근거한 수학체험교구가 다양하게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effectively develop a mathematics experience object, an important tool and educational tool in mathematics education. Recently, as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action theory is emphasized, various mathematics experience objects are being developed. It is also used th...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22)

  1. Ministry of Education (1992). 6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1992-19. 

  2. Ministry of Education (1997).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1997-15. 

  3.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4.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6).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06-75. 

  5. Kim, K. W., Do. H. K. (2010). Development of mathematical tools for measuring the Geumgang Ratio,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6(2), 281-299. 

  6. Kim, N. H. (2008). School mathematics and teaching tool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Seoul: KyungMoonSa. 

  7. Lee, K. H., Jung, H. Y., Kang, W., Ahn, W., & Back, D. H. (2017). Suggestion and application of didactical principles for using mathematical teaching aid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1(2), 203-221. 

  8. Lim, C. I. (2000). Effects of event-oriente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for cyber course development,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6(4), 156-173. 

  9. Lim, C. I., Kim, M. K., & Kim, Y. J. (2005). A developmental study on the paper-based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for Web-based instruc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1), 3-28. 

  10. Jung, D. K. (2001). Significance and analyzing episode on using geoboards in mathematics classroom, School Mathematics, 3(2), 447-473. 

  11. Choi, C. W. (2014). Math education and educational tools, Seoul: KyungMoonSa. 

  12. Artigue, M. (2001). What can we learn from educational research at the university level?.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at university level(207-220). Springer Netherlands. 

  13. Boggan, M., Harper, S., & Whitmire, A. (2010). Using Manipulatives to Teach Elementary Mathematics. Journal of Instructional Pedagogies, 3, 1-6. 

  14. Bruner, J. (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 Press. 

  15. Dienes, Z. P. (1964). Building up Mathematics(2nd ed.). Hutchinson Educational Ltd.. 

  16. Dorsey, L. T., Goodrum, D. A, & Schwen, T. M. (1997) Rapid collaborative prototyping as an instructional development paradigm. In Dills, C. & Romiszowski, A. J. (Ed.), Instructional development paradigms.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7. Haspekian, M. (2005). An "instrumental approach" to study the integration of a computer tool into mathematics teaching: the case of spreadshee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10(2), 109-141. 

  18. Jones, T. S., & Richey, R. C. (2000).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in action: A developmental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8(2), 63-80. 

  19. Polya, G. (1954). Mathematics and plausible reasoning: vol. I. induction and analogy in mathemat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Saidu, S., & Bunyamin, S. (2016). Effects of Geoboard and Geographical Globe on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formance in Mathematics in Kaduna State. Journal of Science, Technology & Education, 4(1), 140-148. 

  21. Tripp, S. D., & Bichelmeyer, B.(1990). Rapid prototyping: An alternativ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38(1), 31-44. 

  22. van Hiele, P. M. (1999). Developing Geometric Thinking through Activities that Begin with Play.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6(1), 310-3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