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불평등 대상별 도서관서비스 정책과 서비스 현황 진단
A Study on the Library Policies & Services for the Type of Information Inequality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9 no.3, 2018년, pp.271 - 295  

안인자 (동원대학교 문헌정보데이터관리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장로사 (동원대학교 문헌정보데이터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정보불평등계층에 대한 개념과 정의는 국내의 법마다 상이하며 용어 또한 다양하다. 사회의 발전과 국가의 관심에 따라 정보불평등계층은 더 세분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세분화된 도서관정책과 서비스도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기초조사로서 정보격차에 대한 용어, 개념, 법적근거, 디지털정보화수준에 근거한 지수개발, 격차해소정책 및 도서관발전계획상에서의 도서관서비스 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장애인서비스, 다문화서비스, 노인서비스의 정보불평등계층별 도서관서비스 정책 및 서비스 개발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 논문 및 사업과제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정책개발(법, 제도, 중장기 계획, 선진화계획, 사업 모형개발, 매뉴얼개발, 홍보전략, 평가지 등), 지원기구, 담당인력양성, 협력네트워크, 지원설비, 지원서비스, 지원자료 등 다수의 과정과 업무가 구비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ormation inequality has been differently conceptualized and defined in national laws. While the information inequality increases, library policy and informational service has lagged behind in meeting the needs of the society and the stat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preliminary research on info...

주제어

표/그림 (1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격차란 무엇인가? 국가정보화기본법에서는 ‘정보격차란 사회적, 경제적, 지역적 또는 신체적 여건으로 인하여 정보통신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정보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에 차이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정보격차는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에게 경제적 차이나 사회적 차이가 일어나는 것을 칭한다.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방안들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4대 소외계층(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 농어민)을 정보격차 대상으로 분류하였으며, 2012년부터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민자 등도 신소외계층으로 분류하여 포함시키고 있다. 이처럼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대상, 범위, 내용 등이 시대의 변화와 함께 재정의되기도 하고, 고령화, 국제화, 급격한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정보불평 등이 더 많은 계층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지원대상 정보불평등계층의 확대와 그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도 요하게 되었다.
도서관에서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까지 도서관에서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정책개발, 실제의 예산투입, 인력개발 등 전반적인 대응은 아직 부진한 상태이며, 나아가 정보취약계층이 어떠한 특성과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에 관하여는 폭넓게 연구되지 않았으며, 또한 개개의 계층을 위한 서비스 개발 또한 부재한 상태이다(곽동철 외 2011). 또한 도서관 정보불평등에 관한 포괄적 연구는 이용자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과학적 이해와 접근이 되어야 하며, 이런 면에서 아직 초기단계라고 말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ang, Myung-Gu. 1995. "Information Inequality Structure and Information Welfare." Seminar Report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roading & Telecommunication, 1995(8): 123-127. 

  2.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7. 2017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Gwacheon, Daegu: Ministry of Science and ICT,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3. Kim, Sung-Hae. 2007. "International Public Sphere and Democratic Information Order: Understanding 'New International Information Order' Debate in the Context of U. S. Hegemony."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1(2): 82-104. 

  4. Kim, Tae-Ryong. 2004. "The Effects of Information Inequality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Korean Re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8(3): 23-47. 

  5. Nam, Young-Joon. 2007. "A Study of Revitalization of Library Service for the Alienated Clas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4): 49-68. 

  6. Park, Hae-Gwang. 2003. "New Trend of Digital Divide." Economy and Society, 59: 78-102. 

  7. Seo, Hyung-Jun and Seng-Hwan Myeong. 2016. "An Analysis of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he Digital Divid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9(4): 151-187. 

  8. Yoon, Cheong-Ok, Dong-Chul Kwack, and Kyung Shim. 2012. "A Study on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Poor."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189-206. 

  9. Lee, Hyang-Soo, Seong-Hoon Lee, and Jeong-A Choi. 2016. "Redefining Digital Poverty: A Study on Target Changes of the Digital Divide Survey for Disabilities, Low- Income and Eld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1-12. 

  10. Jung, Keun-Hwa. 1997. "A Study of the Anti-Social Inequality Policy in the Age of Information." Journal of Hanshin, 1997(10): 667-698. 

  11. Jung, Sook-Kyung. 2003. "A Study on Internet Use of Married Women and Information Inequality by it."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19(2): 177-208. 

  12. Cho, Joo-Eun. 2003. "The Effect of Disability on Information Accessibilit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7(6): 209-232. 

  13. Jin, Sang-Ki. 2013. "Time Series Analysis of the Digital Divide in Korea."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6(3): 161-188. 

  14. Choi, Heung-Suk, Sang-Hoe Koo, and Jeong-Jun Lee. 2003. "A Study on the Measurement Indicators of the Digital Divide."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7(3): 150-177. 

  15. Hwang, Seung-Youn and Young-Min Yoon. 1998.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Digital Divide."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3: 46-84. 

  16. Bach, A. J, T. Wolfson and J. K. Crowell. 2018. "Poverty, Literacy, and Social Transform: An Interdisciplinary Exploration of the Digital Divide." Journal of Media Literacy Education, 10(1): 22-41. 

  17. Chen, W. and B. Wellman. 2004. "The Global Digital Divide - Within and between Countries." IT&SOCIETY, 1(7): 18-25. 

  18. Childers, Thomas and Joyce Post. 1975. The Information Poor in America, Metuchen. NJ: Scarecrow. 

  19. Martin, S. P. 2003. "Is the Digital Divide Really Closing? A Critique of Inequality Measurement in A Nation Online." IT&SOCIETY, 1(4): 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