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수자의 정보빈곤과 도서관의 책무
Information Poverty of Minorities and Responsibilities of Libraries in Korean Society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4, 2019년, pp.1 - 31  

이제환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한국사회에서 도서관이 정보와 교육 그리고 문화의 영역에서 사회적 소수자를 위한 필수적인 '공익 장치'로 거듭나기 위한 전략과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한국사회에서 소수자와 정보빈곤이 갖는 보편적 의미에 주목하면서, 소수자의 정보빈곤에 관한 한국 학계의 문제인식과 대응방법 그리고 그 성과와 한계에 대해 논의한다. 이어서 논점을 한국 도서관계로 좁혀서, 소수자의 정보빈곤에 대한 한국 도서관계의 문제인식과 대응실태를 추적한다. 이 과정에서 한국 도서관계가 주목해온 소수자의 정체와 정보빈곤의 실체를 밝혀내고, 관련 학술연구와 도서관서비스의 성과와 한계 그리고 문제점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 논의는 소수자 정책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한 한국 도서관계의 책무에 집중된다. 소수자 정책의 이론적 근거를 강화하기 위해 도서관학자들이 담당하여야 하는 책무와 실효적인 소수자서비스의 개발을 위해 도서관 현장의 사람들이 준수하여야 하는 원칙과 전략에 대한 제언이 포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both strategies and methods that Korean libraries could be reborn and recognized as an essential public good for the information poor. To the end, the first discussion is about the Korean society's intrinsic standpoints on social minorities and informatio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키백과에 수록된 소수집단의 정의는? 소수집단은 사회의 권력관계에서 그 특성이 소수에 위치하는 사람의 입장이나 집단을 가리킨다. 사회적 소수자라고도 하는데, 성별, 나이, 장애, 인종, 국적, 종교, 사상 등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측면에서 자신이 살고 있는 국가나 사회의 지배적 가치와 기준을 달리한다는 이유로 차별의 대상이 되거나 불평등한 대우를 받는 사람을 일컫는다.
정보빈곤의 심각성의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를 합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러나 심각성의 깊이는 측정도 어렵지만 조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여야 하다 보니 객관적인 평가가 쉽지 않다. 따라서 심각성의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정보빈곤의 공통분모’를 고려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즉, 다양한 소수자 집단 사이에서 정보빈곤의 보편성이 가장 큰 주제부터 가려내어 우선적으로 서비스를 개발하는 전략이다.
도서관선진국의 사회적 소수자를 배려하는 이용자 서비스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도서관선진국의 이용자서비스가 사회적 소수자를 우선적으로 배려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는 쉽게 찾을 수 있다. 가령, 북미나 서유럽의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이용자서비스에는 노약자, 장애인. 빈민층, 실업자, 그리고 이주자와 같은 절대적 소수자 집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편성되어 있다. 그뿐만이 아니다. 비정규직 노동자나 독거노인 혹은 결손가정의 아이와 같은 상대적 소수자를 위한 프로그램 또한 심심치 않게 눈에 뜨인다. 그런 가운데 사회적 소수자들이 빈번하게 당면하는 난제 가운데, 특히 생계문제, 보건문제 그리고 법적문제 등에 관한 맞춤형 정보서비스는 거의 모든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단골 메뉴에 올라 있다. 거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회적 소수자의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한 각종 교육프로그램 또한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처럼 도서관선진국의 도서관은 사회적 소수자를 위한 일상적 정보복지기관이자 평생교육기관 그리고 문화공간으로 온전히 기능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2. A Research on the Strategic Develop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Information Disadvantaged to Resol ve the Information Gap.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2. 국립중앙도서관. 2017. 2017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제1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4.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3.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5.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8.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서울: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6. Yoon, Cheong-Ok, Kwack, Dong-chul and Shim, Kyung. 2012. "A Study on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Po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4): 189-206. 

  7. Yoon, Hee-Yoon. 2012. "Strategies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vulnerable class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53-75. 

  8. Lee, Jae-Whoan. 2006. Information Behavior and Information Pover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Seoul: Hanul Academy. 

  9. Lee, Jae-Whoan. 2010. "Meanings of Nationality in Informa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185-203. 

  10. Lee, Jae-Whaon. 2018. Korean Library Policies. Daegu: Taeil-sa. 

  11. Cho, Yong-Wan. 2007.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for Closing the Information Divid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167-186. 

  1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2018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3. Haider, Jutta and D. Bawden. 2007. "Conceptions of "information poverty" in LIS: a discourse analysis." Journal of Documentation, 63(4): 534-557. 

  14. Lyman, Helen Huguenor. 1971. "Library programs and services to the disadvantaged-Introduction," Library Trends, 20(2): 187-193. 

  15. Wresch, William. Disconnected : Haves and Have-Nots in the Information Age. New Jersey: Rutgers University Press,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