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화재의 공간적 군집 특성 분석
Spatial Clustering Analysis of Fire in Gangwon-Do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1 no.3, 2018년, pp.93 - 103  

배선학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적인 화재 발생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구지역에서의 화재 발생에 대한 공간적인 군집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강원도 읍 면 동 단위에서 지난 40년 동안 발생한 화재 자료를 GIS 데이터로 변환하여 공간 분석을 수행하였다. 화재의 공간적인 군집 특성 파악에는 국지적 공간 연관성을 분석하는 방법인 Moran's I, Geary's Ci 그리고 Getis-Ord's Gi*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개별 분석방법이 지니는 장점을 연구 결과에 반영하기 위하여, 각각의 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합하여 화재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강원도에서는 화재 발생의 핫스팟 지역이 존재하였으며, 핫스팟 지역 중에서도 인접한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화재 발생빈도를 보이는 지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지역에서의 화재 발생 위험지역 예측과 소방 시설 재배치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luster characteristics of fire using long-term fire data. For this, fire data which were broke out in the last 40 years were converted into GIS data and spatial analysis was performed at Gangwon-do province's minimum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이 과정에서 연도별, 계절별, 요일별, 시간 대별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연구지역 에서 발생한 특정 유형의 화재에 대한 시·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화재 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Moran’s I와 Geary’s Ci, GetisOrd’s Gi* 방법을 모두 적용한 후 그 결과를 해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부 화재 발생에 따른 소방 사각지대 최소화와 도시 화재 위험요인 분석이라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 단위의 광역 범위에서의 화재 관리라는 관점 에서 화재의 공간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화재의 유형에 따른 화재 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찾아냄으로써, 지역의 화재 예방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강원도에서 지난 40년 동안 발생한 화재를 GIS 데이터로 구축한 후, 전체 화재 와 유형별 화재에 대하여 공간통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화재의 공간적 분포가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 가를 분석한 것이다. 지난 40년 동안 강원도에서 발생한 화재 빈도를 10년 단위로 살펴보면 전체 화재 발생빈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리고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이 구축된 2007년 이후의 데이터에는 추가로 출동 소방서, 동원된 인원, 날씨, 발화 관련 정보, 건물 층수 등 보다 자세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본 연구에서는 화재 발생 위치 정보를 이용한 행정구역별 화재 발생빈도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부 화재 발생에 따른 소방 사각지대 최소화와 도시 화재 위험요인 분석이라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 단위의 광역 범위에서의 화재 관리라는 관점 에서 화재의 공간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화재의 유형에 따른 화재 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찾아냄으로써, 지역의 화재 예방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지적 공간군집 분석의 특징은 무엇인가? 국지적 공간군집 분석은 점(point) 객체가 아닌 면(polygon) 객체에 대한 분석이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최소행정구역 단위인 읍·면·동 단위로 화재 발생빈도를 계산하여 공간군집 여부를 분석하였다.
도시화에 따른 화재 발생의 공간적인 분포는 어떤 경향을 보이는가? 이러한 도시화에 따른 토지피복의 변화는 화재 발생의 공간적인 분포 에도 영향을 미친다. 즉, 화재 발생에 있어서 인접 지역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특정 지역의 경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인접 지역과 차별화된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소방 시스템 또한 이러한 화재 발생의 공간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구축되어야 한다.
Moran’s I의 분석 결과로 나타나는 네 가지 유형은 무엇인가? Moran’s I에 의한 국지적 공간자기상관 분석의 결과는 H-H(높은 값이 높은 값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 L-L(낮은 값이 낮은 값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 H-L(높은 값이 낮은 값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 L-H(낮은 값이 높은 값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 된다(Anselin and Bao, 1997; Lee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93-115. 

  2. Anselin, L. and S. Bao. 1997.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linking SpaceStat and ArcView. In Recent developments in spatial analysis. Springer, Berlin, Heidelberg. 

  3. Gangwon Fire Headquaters https://fire.gwd.go.kr. 

  4. GeoDa https://geodacenter.github.io 

  5. Getis, A. and J.K. Ord. 1992.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3):189-206. 

  6. Heo J.E., G.Y. Jeon and W.H. Hong. 2009. A Study on the Fire Risk Assessment in CB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Fire Damag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3):247- 253. 

  7. Kang, Y.O. and M.R. Park. 2005.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vulnerability map of fire in Seou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5(1):1-12. 

  8. Kim, D.Y. 2014. Spatial Analysis for Forest Fire Using GIS.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8(3):325-36. 

  9. Kim, H.B., D.M. Kim and S.H. Oh. 2002. A Study of Evaluating a Disaster-vulnerable Area and Locating Optimal Emergency Facilities Based on GIS Spatial Analysis Techniques. Kore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2(4):607-616. 

  10. Kim, J.T. and J.S. Um. 2007. The Urban Fire Prediction Mapping Technique based on GIS Spatial Statistic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1(2):14-23. 

  11. Koo, I.H., Y.C. Shin, Y.J. Kwon, Y. Hayashi and Y. Ohmiya.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Technologies of Urban Fire Risk in Korea. In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48-52. 

  12. Lee, S.I., D.H. Cho, H.G. Sohn and M.O. Chae. 2010. A GIS-based method for delineating spatial clusters: A modified AMOEBA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5(4): 502-520. 

  13. Lee, S.Y. and H.P. Lee. 2006.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 in Korea.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2):54-63. 

  14. Lee, Y.H., J.H. Choi and W.H. Hong. 2010. A Study on Ranking Fire Factors in Residential Areas using the AHP Method and Designing a Fire Probability Prediction Model. Korea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243-237. 

  15. Mitchel, A., 2005. The ESRI Guide to GIS analysis, Volume 2: Spartial measurements and statistics. ESRI Guide to GIS analysis. 

  16. Won, T.H., G.H. Bae and H.H. Yoo. 2015. Analysis of the Spatial Clustering Distribution of Fire Occurrence - Focused on Gyeongsangnam-do.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IVIL EXPO & CONFERENCE 37-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