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코칭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e's Coaching Leadership on Self-Efficacy,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in Hospita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9, 2018년, pp.260 - 272  

박해경 (울산대학교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코칭리더십,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작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울산의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24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8.0과 AMOS 18.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코칭리더십은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 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열의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제고를 위하여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조직구성원의 적극적인 혁신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상사의 코칭리더십을 통한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oaching leadership, self-efficacy, job engagement, innovative behavior and to specify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Participants were 240 nurses with survey. SPSS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코칭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코칭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를 통합적으로 검증하여 병원 간호사 조직의 인적자원관리에 보다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그림 1]과 같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높일 수 있는 리더십 전략과 함께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중요성을 재조명하여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앞서 살펴 본 바 와같이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되고, 자기효능감이 높은 조직구성원은 적극적인 혁신 행동을 유발할 것이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가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높일 수 있는 리더십 전략과 함께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의 중요성을 재조명하여 실무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위 내용을 토대로 자기효능감과 직무열의가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비스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조직구성원의 역할과 역량은 무엇인가? 국내 서비스업의 성장에 따라 그 중요성과 비중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서비스의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조직구성원의 역할과 역량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세계화와 무한경쟁, 가치 중심의 역동적인 변화를 맞이하여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서비스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 조직구성원은 업무의 몰입을 향상시키고 혁신능력을 강화하여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리더는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조직구성원의 역량을 개발하고, 조직의 성장에 더 많은 기여를 하는데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1].
코칭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코칭리더십(coaching leadership)은 리더에 의하여 행해지는 코칭을 뜻하며, 국내 연구에서는 코칭리더십을 코칭 행동 또는 코칭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13]. Stowell[14]은 코칭리더십을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리더가 조직구성원에게 방향제시 및 개발, 수행평가와 관계를 촉진하는 행위라고 했으며, 조직구성원이 능동적으로 개인의 가능성을 인지하는 역량과 동기를 상승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코칭리더십이 주목받기 시작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와 같이 코칭리더십이 주목받기 시작한 이유로 리더가 조직구성원의 상황을 개선할 수 있도록 코칭을 하여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을 높여주고, 고차원적인 욕구를 발생시켜 조직을 위해 본인 스스로 동기 부여되어 강한 직무열의를 통해 자발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조직이 추구하는 성과 창출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인적자원 구성비율을 기준으로 할 때, 특히 서비스업의 대표적인 업종의 하나인 대부분의 병원에 있어 간호사는 가장 많은 인력을 차지하고 있는 직종이며, 여러 전문직 중에서도 환자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가장 빈번하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병원의 경쟁력 및 생산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라 할 수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서대곤, 코칭리더십이 조직원의 직무몰입과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 T. M. Amabile, Creativity motivation in research and development, Symposium paper at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ugust, Toronto, 1984. 

  3. E. Glassman, "Creative problem solving: Your role as leader," Supervisory Management, Vol.34, No.4, pp.37-42, 1989. 

  4. G. R. Jones, "Socialization tactics, self-efficacy, and new comers' adjustments to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29, No.2, pp.262-279, 1986. 

  5. 이민호, 코칭리더십의 공공부문 도입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6. J. B. Gregory, Employee coaching: The importance of the supervisior/subordinate relationship and related constructs, Doctoral dissertation, Akron University, 2010. 

  7. 탁진국, 조은현, "코칭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4권, 제1호, pp.127-155, 2011. 

  8. 정정연, 변상해, "여대생의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225-238, 2017. 

  9. 홍현경, 자기효능감이 직무착근도, 혁신행동과 조직구성원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내 특1급 호텔 근무형태에 따른 조절효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0. 박민재, 코칭리더십, 혁신행동, 직무몰입,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1. J. H. Schemerhorn, J. G. Hunt, and R. N. Osborn, Core concept of organizational behavior, New Jersey: Wiley, 2004. 

  12. C. Hardy and S. leiba-O'Sullivan, "The power behind empowerment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Human Relations, Vol.51, No.4, pp.451-483, 1998. 

  13. 조두찬, 패밀리 레스토랑 직원이 지각한 코칭리더십이 선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4. S. J. Stowell, Leadership and Coaching, University of Utah, Ph.D. Dissertation, 1986. 

  15. 허철, 코칭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몰입과 직무특성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6. 이석만, 외식기업 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자아개념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7.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18. 마가신, 서번트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및 학습목표의 매개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9. 박수미, 콜센터에서 코칭리더십이 상담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 조직응집력,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0. 김원주, 직무자율성이 업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1. 심명순, 학교장의 리더십과 조직성과와의 관계: 교사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2. W. A. Kahn,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No.4, pp.692-724, 1990. 

  23. W. B. Schaufeli, M. Salanova, V. Gonzalez-Roma, and A. B. Bakker,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3, No.1, pp.71-92, 2002. 

  24. E. Konstantellou,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f enjoyment at work: A cross-national approach,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Surrey, UK, 2001. 

  25. 이랑, 김완석, 신강현, "직무탈진과 직무열의의 요구-자원 모델에서 정서노동 전략의 역할: 콜센터 상담원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19권, 제4호, pp.573-596, 2006. 

  26. O. Janssen,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3, No.3, pp.287-302, 2000. 

  27. M. E. Porter,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Harvard Business Review, Vol.68, No.2, pp.73-93, 1990. 

  28. D. Katz and R. L. Kahn,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Vol.2), New York: Wiley, 1978. 

  29. L. Baron and L. Morin, "The impact of executive coaching on self-efficacy related to management soft-skills,"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Vol.31, No.1, pp.18-38, 2010. 

  30. R. T. Mowday, "Presidential Address: Reaffirming Our Scholarly Valu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1, No.2, pp.256-269, 1997. 

  31. L. Salter, "Coaching and counselling for peak performance," Business and Economic Review, Vol.44, No.1, pp.26-28, 1997. 

  32. R. M. Kanter, "From spare change to real change. The social sector as beta site for business innov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77, No.3, pp.122-32, 1998. 

  33. G. R. Oldham and A. Cummings,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9, No.3, pp.607-634, 1996. 

  34. M. Vera, M. Salanova, and L. Lorente, "The predic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A longitudinal study," Estudios de Psicologia, Vol.33, No.2, pp.167-178, 2012. 

  35. D. Sweetman and F. Luthans, The power of positive psychology: Psychological capital and work engagement, In A. B. Bakker & M. P. Leiter (eds), Work engagement: A handbook of essential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Psychology Press, pp.54-68, 2010. 

  36.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NY: Freeman, 1997. 

  37. 김청일, 호텔 직원의 긍정심리자본, 직무열의, 비생산적 업무행동 및 혁신행동 간의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8. U. A. Agarwal, S. Datta, S. Blake-Beard, and S. Bhargava, "Linking LMX, innovative work behaviour and turnover intentions: The mediating role of work engagement,"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Vol.17, No.3, pp.208-230, 2012. 

  39. 김지영, IT 서비스업 종자사의 감성지능, 직무열의, 지식공유 및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0. T. M. Amabile,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Vol.5),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1996. 

  41. M. S. Christian, A. S. Garza, and J. E. Slaughter, "Work engagement: A quantitative review and test of its relations with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Personal Psychology, Vol.64, No.1, pp.89-136, 2011. 

  42. 백은실, 감성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3. 이창주, 임파워먼트와 코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4. S. G. Scott and R. A. Bruce,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7, No.3, pp.580-607, 199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