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창업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2013년, 2014년, 2015년 우수디자인제품 선정기업들 중심으로
An Effect of the Selection of Excellent Design Produ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in the Start-up: Focusing on 2013, 2014 and 2015 Design Awarded Companies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3 no.4, 2018년, pp.211 - 216  

유정헌 (강원대학교) ,  배병윤 (연세대학교 정경.창업대학원) ,  전기석 (연세대학교 정경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경영성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KIDP의 2013년 통계에 따르면 제품 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이 27.5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업 규모에서는 대기업과 중기업에 비해 소기업이 제품판매에 미치는 요소 중 디자인 요소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번 연구를 위해 수집한 데이터의 업종별 추이를 살펴보면 기술 기반 업종이 도 소매업을 비롯한 기타 업종에 비해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어려운 경영여건에서도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KIDP로부터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을 받은 기업 중 186개(2013년, 2014년, 2015년)를 대상으로 업력이 7년 이하인 창업기업과 업력이 7년 이상인 계속기업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기업 중 디자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간의 경영성과(매출액)의 차이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KIDP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효과가 있는지를 선정연도를 전후 비교하여 "창업기업이 계속기업에 비해 경영성과(매출액)에 더욱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한 결과는 창업기업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제조업과 창업기업 내의 제조기업 경영성과에도 유의미한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election of excellent design product by the KIDP(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company focused on the start-up with relatively low competitiveness.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KIDP in 2013, a desig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국디자인 진흥원 우수디자인제품선정 전과 후의 경영성과를 비교하였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다고 볼 수 있는 창업기업이 계속기업에 비해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매출 증대 방안으로서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역할이 있는지에 대하여 실증 연구 하였다. 또한 디자인과 연관성이 비교적 높은 제조업과 창업군 내의 제조업의 경영성과에 대해서도 실증 분석하였다.
  • 이처럼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요소로 디자인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창업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기업의 경영성과(매출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수디자인제품 선정기업 중 7년 이상 계속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다고 할 수 있는 7년 미만 창업기업의 경영성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창업기업의 우수디자인제품 선정이 경쟁력 제고의 방안이 되었으면 하는 의미로 연구하였다.
  • 한국디자인진흥원의 2013년, 2014년, 2015년의 3개년 간의 우수디자인(GD)제품 선정 기업을 대상으로 계속기업(7년 초과)과 창업기업(7년 미만)에 GD제품 선정전과 후의 경영성과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우선 기술적 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제조업 비중이 67.

가설 설정

  • 가설 1: 우수디자인제품 인증을 받은 창업기업과 계속기업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한 우수디자인제품 선정 전과선정 후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창업기업 내의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한 우수디자인 선정 전과 선정 후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2013년, 2014년, 2015년의 3개년 간의 우수디자인 인증을 받은 창업기업(7년 이하)과 계속기업(7년 초과)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우수디자인 제품선정을 받은 기업 중 제조기업의 경영성과와 창업기업군 내에서의 제조기업에 대한 경영성과 또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2013년, 2014년, 2015년의 3개년 간의 우수디자인 인증을 받은 창업기업(7년 이하)과 계속기업(7년 초과)의 경영성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우수디자인 제품선정을 받은 기업 중 제조기업의 경영성과와 창업기업군 내에서의 제조기업에 대한 경영성과 또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수디자인 제품선정제도는 무엇인가? KIDP의 GD3) 사업보고서(2012년)에서 우수디자인 제품선정제도는 1985년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으며. 현재 국내외에서 판매 중이거나 판매 예정인 상품을 대상으로 조형성, 경제성, 편리성 등을 평가해 선정된 제품에 대하여 정부산하기관인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우수디자인 제품을 인증하여 GD 마크를 부여하는 제도로 정의하고 있다4).
디자인 부문에서 인증 제도를 활성화의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KIDP 경영개발보고서(2008년)에 따르면 런던의 증권거래소의 상장사를 기준으로 디자인경영이 핵심가치인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주가 변화를 10년간 확인한 결과 디자인 경영을 핵심가치로 하는 기업의 주가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더 높은 추세로 상승하였음을 <그림 1>에서 보여주고 있다. 런던 주식시장에서 시가총액이 대기업에 속하는 100위 내의 기업 평균주가와의 비교에서 디자인 경영을 핵심가치로하는 기업과의 시가총액은 조건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최소 2.5배에서 최고 4배까지의 차이가 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이 선진국에 비해 디자인 부문에서 경쟁력이 낮은 기업들의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우수디자인 제품선정과 같은 인증 제도를 더욱 활성화하는 노력이 있어야 하겠다.
창업에서 디자인은 무슨 의미를 갖는가? 창업은 아이디어가 중요한 핵심가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디자인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주어진 목적에 의거 결과를 위해 완성해 나아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창업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하겠다. 창업기업의 비즈니스가 결정되기 위해서는 계속기업과의 차별화된 창의적인 아이디어 탐색이 필요하다 하겠다(전기석, 2017; 이주헌,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Borja, D. M.(2003). Design management: using design to build brand value and corporate innovation. New York: Allworth. 

  2. Bae, B. Y., & Lee, J. H.(2015). A Study on the Regulatory Focu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6), 215-223. 

  3. Chatter. S. L.(2016).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ology, 4th Edition, Seoul; Korea. 

  4. Hertenstein, J. H., Platt, M. B., & Brown, D. R.(2001). Valuing design: Enhancing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design effectiveness, Design Management Review, 12(3), 10-19. 

  5. Jeon, K. S.(2017). Entrepreneurial Management, Seoul, Korea. 

  6. Kim, B. Y., & Jung, S. N.(2009). A Study on Critical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ful Design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2(3), 261-272. 

  7. Kim, H. G.(2011).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erform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Design Culture, 17(2), 135-144. 

  8. Lee, J. H.(2007).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Firm Characteristics, Human Resources and Investment Strategies of Korean Private Venture Capital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2(4), 1-17 

  9. Roy, R.(1994). Can the benefits of good design be quantified, Design Management Review, 5(2), 9-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