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재생에너지의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DPP시스템의 구성과 효율계산
Configuration and Efficiency Computation of the DPP System for Energy Harvesting of Renewable Energy 원문보기

전기학회논문지.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 v.67 no.3, 2018년, pp.137 - 142  

박승화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ity) ,  이현재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ity) ,  손진근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is drawing attention as a means of collecting various eco-friendly energy and accumulating residual energy. Recently,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DPP) is being developed as part of energy harvesting. This is being studied as a solution to the loss of power generation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DPP의 필요성과 효율 검토를 위해 집적 모듈 시스템과 DPP에 따른 출력 단 효율을 비교한다. PV패널이 생산하는 전력의 차이가 발생하였을 때와 컨버터의 효율을 변화시키며 출력 단 효율을 비교분석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풍력 발전 시스템 등 신재생 에너지의 에너지 하베스트 환경에서 DPP의 구성기법을 제시하고 DPP시스템의 구축 유무에 따라 발생하는 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는 DC/DC 컨버터 효율에 따른 기존의 전력변환 시스템과 DPP의 전력손실 비교하였고 또한 신재생에너지의 생산 전력 차이에 따라서 집적모듈 시스템과 DPP의 전력손실을 각각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그림 1은 집적모듈 시스템으로 태양광발전(PV)과 풍력발전(WP)을 에너지원으로 한 에너지 하베스트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PV는 DC로 전력을 공급하며 발전기 특성상 AC로 전력을 공급하는 WP는 AC/DC 정류기를 통하여 DC로 변환 후 전력을 공급 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회로를 구성하였다. WP와 PV에는 각각 DC/DC 컨버터가 연결되어 있으며 DC/DC 컨버터는 각각의 발전 모듈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전원부와 DC/DC 컨버터가 1:1로 연결되어 있는 집적 모듈끼리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 그림 2는 제안된 DPP가 적용된 시스템으로 태양광발전(PV)과 풍력발전(WP)을 에너지원으로 한 회로 구성도이며 집적모듈 시스템과 같이 PV는 DC로, WP는 정류기를 거쳐 DC로 전력을 공 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회로를 구성하였다. PV와 WP같은 전력을 생산하는 전원 부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WP와 PV에는 DPP의 역할을 하는 DC/DC 컨버터가 1:1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9, 10].
  • 이는 태양광 최대 전력점 추종(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을 이용하여 그늘짐 현상에도 최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MPPT로 인한 PV와 WP의 공급 전력 손실이 없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DPP를 사용하였을 때에 각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회로에 흐르는 전류 제어를 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이 때, PV와 WP가 생산하는 전력을 각각 PS1,PS2, PS3 라고 하였다.
  • 5로 고정된다. 또한 DPP를 사용한 구조에서 각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있는 직렬회로에서의 전류 제어를 하지 않았다고 가정하며 전원 모듈이 생산하는 전력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실이 없다고 가정한다.
  • 특히 PV에서는 그늘짐 현상(Shading Pattern)이며 V-I 곡선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이는 태양광 최대 전력점 추종(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을 이용하여 그늘짐 현상에도 최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MPPT로 인한 PV와 WP의 공급 전력 손실이 없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DPP를 사용하였을 때에 각 모듈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회로에 흐르는 전류 제어를 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 그림 4는 집적모듈 시스템에서 전력이 흐르는 방향을 도시한 그림이다. 집적모듈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모두 직렬 연결된 DC/DC 컨버터를 통과하게 된다. DC/DC 컨버터를 통과하면서 생기는 손실을 각각 PCL1, PCL2,PCL3라고 했을 때 출력단의 전력 PTotal은 식 (1)과 같으며, PCLk의 식은 식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너지 하베스팅이란? 에너지 하베스팅이란 주위환경 중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에너지원(태양광, 풍력, 진동, 열에너지 등)을 수확하여 축적한 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일련의 에너지 수집과정을 말한다. 이는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화석연료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전력수요의 급증으로 발생하는 전력난 등의 해소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술이다.
차동전력조절기(DPP)가 최근 사용되기 시작한 이유는? 이러한 구조는 기후 변화 등의 환경변화가 발생해도 각각의 전원부들을 집적 모듈 단위에서 제어하기 때문에 MPPT를 원활히 할 수 있게 한다[3, 4]. 그러나 이런 집적모듈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전원부가 생산하는 모든 전력이 DC/DC 컨버터를 지나므로 전체계통의 효율이 DC/DC 컨버터의 효율에 따라 결정되며 또한 DC/DC 컨버터의 소자들의 능력이 전원부에서 생산하는 모든 전력을 부담할 수 있을 정도로 설계해주어야 한다.
차동전력조절기란 어떻게 전력 불균형을 최소화 시키는가?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에 차동전력조절기(DPP)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5-10]. 차동전력조절기란 전원부와 병렬로 연결하여 전력 차의 발생 시 전력 간의 불균형으로 생기는 전력 손실 및 발전 모듈의 불균형으로 인한 소자의 용량 저감 및 소손을 감소하기 위하여 모듈 사이의 전력 차 만큼의 전력을 부담하고 공급하여 전력 불균형을 최소화 시키는 전력 조절기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Yuyi Mao, Guanding Yu, and Caijun Zhong, "Energy Consumption Analysis of Energy Harvesting Systems with Power Grid,"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Letters, vol. 2, no. 6, December 2013. 

  2. Maria Gorlatova, Aya Wallwater, and Gil Zussman, "Networking Low-Power Energy HarvestingDevices: Measurements and Algorithms," IEEE Transactions on Mobile Computing, vol. 12, no. 9, September 2013. 

  3. N. Femia, G. Lisi, G. Petrone, G. Spagnuolo, and M. Vitelli, "Distributed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of photovoltaic arrays: Novel approach and system analysis," IEEE Trans. Ind. Electron., vol. 55, no. 7, pp. 2610-2621, Jul. 2008. 

  4. Shibin Qin, Stanton T. Cady, Alejandro D. Dominguez-Garcia and Robert Carl Nikolai Pilawa-Podgurski, "A Distributed Approach to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for Photovoltaic Submodule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0, no. 4, April. 2015. 

  5. Shibin Qin, Christopher B. Barth and Robert C. N. Pilawa-Podgurski, "Enhancing Microinverter Energy Capture With Submodule Differential Power Precessing,"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1, no. 5, May 2016. 

  6. Yoash Levron, Daniel Russel Clement, Beomseok Choi, Carlos Olalla, and Dragan Maksimovic, "Control of Submodule Integrated Converters in the Isolated-Port Differential Power-Processing Photovoltaic Architecture," IEEE Journal of Emerging and Selected Topics in Power Electronics, vol. 2, no. 4, Dec. 2014. 

  7. Katherine A. Kim, Pradeep S. Shenoy and Philip T. Krein, Fellow, "Converter Rating Analysis for Photovoltaic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0, no. 4, April 2015. 

  8. Kyoungjun Kwon, Katherine A. Kim, "Efficiency Analysis for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Converter Configurations in Photovoltaic Electric Vehicles,"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Power Electronics Annual Conference, 215-216, 2 pages, Jul. 2016. 

  9. Carlos Olalla, Daniel Clement, Miguel Rodriguez and Dragan Maksimovic, "Architectures and Control of Submodule Integrated DC-DC Converters for Photovoltaic Application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8, no. 6, June 2013. 

  10. Pradeep S. Shenoy, Katherine A. Kim, Brian B. Johnson, and Philip T. Krein,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for Increased Energy Production and Reliability of Photovoltaic Systems,"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8, no. 6, June 2013.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