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산유체역학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도시가스 설비의 폭발위험성 예측
Prediction of Explosion Risk for Natural Gas Facilitie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5 no.3, 2018년, pp.606 - 611  

한상일 (창원대학교 화공시스템공학과) ,  이동욱 (부산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  황규석 (부산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업현장과 열병합발전 등 다양한 장소에 사용되는 도시가스는 산업안전보건법 정의에 따라 인화성 가스에 해당되며 한국산업표준 KS C IEC에 의해 가스 폭발위험장소가 설정되어 안전하게 관리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화학공장에 적용되는 KS C IEC 표준을 저압 도시가스 사용설비 폭발위험성 예측에 합리적으로 적용하기 위해누출공 크기, 환기 등급, 환기 유효성 등의 주요 변수를 도입하였다.CFD 시뮬레이션 적용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 (CFD) 시뮬레이션, 가스누출실험, KS C IEC 표준 계산 통해 얻어진 폭발하한계가상 체적을 이용하여 네 가지 다른 조건에서 폭발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ity natural gas is classified flammable hazardous gas and should be secured according to explosion risk assessment determined by Industrial Standard KS C IEC. In this study, leak size, ventilation grade and effectiveness were adopted to the KS C IEC for risk assessment in natural gas supply syst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9 kgf/cm2를 적용하였다(Table 1). CFD 결과를 실험과 KS 표준 예상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폭발 하한계 (LEL) [13]측정 높이를 기준으로 약 1,000 배 크게 계산된 구의 체적을 가상체적 [14]으로 적용하였다.
  • Table 2. Hazardous area classification by using CFD simulations.
  • 가상체적은 안전율을 적용하기 위해 실제 CFD 프로그램으로 계산된 부피가 아닌 폭발하한계 (LEL) 측정범위의 높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구의 체적을 적용하였다. 가장 높은 질량흐름속도를 가 지는 누출공 크기 2.
  • 5는 가스 누출 실험과 CFD 시뮬레이션에서 얻어진 LEL 100%의 가스 측정 거리를 비교하여 보여준다. 가스 누출 실험 데이터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참조하였으며[15], 실험 조건과 동일 하게 하기 위해 정압기 후단 1차 압력 조정기에 서 가장 높은 압력 0.9 kgf/cm2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하였으며, 누출율 1 g/s 미만으로 안전율 k=0.5는 소량 누출로 CFD 시뮬레이션 해석이 불가하여 k=1을 적용하였다. 누출공의 크기가 커질수록 가스 누출량이 증가하여 LEL 측정 높이 도 증가하였으며, 누출공의 크기가 0.
  • 누출 실험, KS C IEC 표준, CFD 시뮬레이션 방법을 사용하여 누출공 크기에 따른 가상체적을 비교하였다(Table 2).일반적으로 누출공 크기가 커질수록 가상체적은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가스 공급 시설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을 도입하여, KS 표준 방법과 실험을 통해 기존에 연구된 위험성 평가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또한 압연 공장 furnace 저압 도시가스 배관 시설의 폭발 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해 KS 표준에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누출공 크기, 환기 등급, 환기 효율 품질 계수, 환기 유효성 등의 주요 변수를 도입하여 폭발 위험성 [11]을 예측하고 그 결과에 따라 최종적으로 인화성 가스 또는 증기 발생 가능 장소를 0종 장소, 1종 장소, 2종 장소, 비위험 장소로 구분하고 0종, 1종 및 2종 장소에 해당될 경우 그 위험장소의 범위를 결정하였다.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개인용 PC에서 FLACS10.3 [12]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저압 도시가스 누출 조건에 대한 가상 체적을 계산하였다(Fig. 1). 설비 내부에서 누출된 도시가스는 체류되지 않고 자연 배기 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존재하는 조건이며 실험에 사용된 누출압력 0.
  • 2). 벽은 모두 밀폐된 것으로 하여 외풍을 모두 배제하고 도시가스 밀도차에 의해서만 유도되도록 geometry를 구성하였다. 정방형 박스 내부 바닥 면에 도시가스 누출 배관을 배치하였고, 누출공의 위치는 배관의 상부, 누출공은 진원으로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도시가스 공급 시설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을 도입하여, KS 표준 방법과 실험을 통해 기존에 연구된 위험성 평가 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또한 압연 공장 furnace 저압 도시가스 배관 시설의 폭발 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해 KS 표준에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누출공 크기, 환기 등급, 환기 효율 품질 계수, 환기 유효성 등의 주요 변수를 도입하여 폭발 위험성 [11]을 예측하고 그 결과에 따라 최종적으로 인화성 가스 또는 증기 발생 가능 장소를 0종 장소, 1종 장소, 2종 장소, 비위험 장소로 구분하고 0종, 1종 및 2종 장소에 해당될 경우 그 위험장소의 범위를 결정하였다.
  • 1). 설비 내부에서 누출된 도시가스는 체류되지 않고 자연 배기 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존재하는 조건이며 실험에 사용된 누출압력 0.5 kgf/cm2는 CFD 시뮬레이션 적용이 불가하여 정압기 후단의 저압 도시 가스 사용압력에서 가장 높은 1차 조정압력 0.9 kgf/cm2를 적용하였다(Table 1). CFD 결과를 실험과 KS 표준 예상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폭발 하한계 (LEL) [13]측정 높이를 기준으로 약 1,000 배 크게 계산된 구의 체적을 가상체적 [14]으로 적용하였다.
  • 압연공장 등 금속열처리 공장 가열설비의 도시 가스 사용압력 중 정압기 후단 1차 압력 조정기 에서 가장 높은 압력 0.9 kgf/cm2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하였으며, 누출율 1 g/s 미만으로 안전율 k = 0.5는 소량 누출로 CFD 시뮬레이션 해석이 불가하여 k = 1을 적용하였다. 안전율 k 값을 1 로 적용하였으나, CFD 시뮬레이션 및 도시가스 누출실험 결과 계산된 폭발하한계(LEL) 구성 범 위인 가상체적 Vz는 실제 cloud volume 값보다 최고 1,000배 넓은 범위로 해석되는 폭발하한계 측정범위 높이 값을 반지름으로 한 구의 체적을 계산하여 KS C IEC 값과 비교하였다.
  • 압연공장과 같은 제강 또는 철강공장의 대형 건물에서 사용되는 0.1 MPa 미만 저압 도시가스 배관시설의 폭발위험성 평가를 위해 KS C IEC 표준 방법, 도시가스 누출 실험 및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진 가상 체적을 구하고 위험성 등급을 비교하였다.
  • 벽은 모두 밀폐된 것으로 하여 외풍을 모두 배제하고 도시가스 밀도차에 의해서만 유도되도록 geometry를 구성하였다. 정방형 박스 내부 바닥 면에 도시가스 누출 배관을 배치하였고, 누출공의 위치는 배관의 상부, 누출공은 진원으로 고려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Fig. 3).

대상 데이터

  • CFD 시뮬레이션을 위한 가스 누출 설비는 3m x 3m x3m 부피의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상부는 자연배기를 위해 폭 15 cm 정도 개방하였다(Fig. 2). 벽은 모두 밀폐된 것으로 하여 외풍을 모두 배제하고 도시가스 밀도차에 의해서만 유도되도록 geometry를 구성하였다.

데이터처리

  • 5는 소량 누출로 CFD 시뮬레이션 해석이 불가하여 k = 1을 적용하였다. 안전율 k 값을 1 로 적용하였으나, CFD 시뮬레이션 및 도시가스 누출실험 결과 계산된 폭발하한계(LEL) 구성 범 위인 가상체적 Vz는 실제 cloud volume 값보다 최고 1,000배 넓은 범위로 해석되는 폭발하한계 측정범위 높이 값을 반지름으로 한 구의 체적을 계산하여 KS C IEC 값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가스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도시가스(City Gas)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LPG), 천연가스(Natural Gas : NG)의 세 가지로 구분되며 [1],LPG는 프로판과 부탄을 주성분으로 상온에서 압축하여 액화한 것이며, NG는 액화천연가스를 다시 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메탄가스를 주성분으로 한다.
외부 누출 시 폭발의 위험성이 큰 도시가스는 어떻게 관리해야하는가? 도시가스는 외부 누출 시 폭발의 위험성이 크므로 산업안전보건법의 안전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제 230조(폭발위험이 있는 장소의 설정 및 관리)에서 한국산업표준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가스폭발 위험장소를 설정·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에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법 및 도시가스사업법은 KGS GC201 “가스시설 전기방폭 기준”을 통하여 가스 사용시설의 전기설비 방폭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폭발위험장소 구분을 위한 기술기준은 별도로 제시하고 있지 않다[2].
KSC IEC 60079-10-1에서 제시하는 폭발위험장소의 구분과 누출 시의 예방법은? 국내·외적으로 폭발위험장소 구분을 위한 기술기준은 국내는 IEC와 부합하는 한국산업표준 KSC IEC 60079-10-1을 제시하고 있으며 국외의 경우 북미에서는 API 505, NFPA 505, NEC 505, 유럽에서는 EI part 15를 적용하고 있다 [4,5,6]. 한국산업표준은 국제 기준에 따라 폭발 위험장소를 0종 장소, 1종 장소, 2종 장소 및 비 위험장소로 구분하고 있으며, 위험장소에 해당되는 경우 위험물 누출 시 주변의 전기 기계·기구가 점화원이 되지 않도록 그 지역의 위험등급에 적합하게 선정된 방폭용 전기 기계·기구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KS C IEC 표준은 가스 폭발하한계 구성범위를 예측하기 위한 가스 누출률 계산 누출공 크기, 환기 등급을 위한 품질계수, 환기유효성 등에 대한 세부적인 기준 및 평가 방법은 제시되어 있지 않고 가장 기본적인 개념만 설명하고 있으며, 현장 특성에 따른 추가적인 사 항에 대해서는 전문가적인 접근이나 국가의 기술기준을 통하여 계산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Kumar, H. Kwon, K. Choi, W. Lim, J. H. Cho, K. Tak, I. Moon, "LNG: An Eco-friendly Cryogenic Fue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pplied Energy, Vol.88, No.12, pp.4264-4273, (2011). 

  2. Ha DM et al. Code for explosion-proof electrical equipment of gas facilities,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2018). 

  3. Ivings MJ, Klsey A. Technical Input on Ventilation Effectiveness for Area Classification Guidance EI15, Health and Safety Executive, (2014). 

  4. KS C IEC 60079-10-1, Explosive atmospheres-Part-10-1:Classification of areas, Korea Industrial Standard, (2012). 

  5. Energy Institute, Area classification code for installations handling flammable fluids, London: Energy Institute, (2005). 

  6. API RP 505, Classification of locations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at petroleum facilities classified as class 1, zone 0, zone 1 and zone 2,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1997). 

  7. J. P. Yim, C. B.Chung, "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Explosion Hazardous using Lighter than Air Ga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29, No.2, pp. 24-30, (2014). 

  8. Kwon, J.A Study on the Establishing of the Explosion-hazardous Area of Boiler Room on the City Gas-using Facility,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2014). 

  9. Ivings MJ, Clarke S, Gant SE. Area Classification for secondary releases from low pressure natural gas systems, Health and Safety Executive Research Report, RR630, (2008). 

  10. Gant SE, Ivings MJ. CFD Modelling of Low Pressure Jets for Area Classification, Health and Safety Executive Research Report, (2005). 

  11. R. Tommasini, E. Pons, "Classification of hazardous areas produced by maintenance interventions on N.G. distribution networks and in presence of open surface of flammable liquid," Proc. Of 58thIndustry Applications Society Annual IEEE Petroleum and Chemical Industry Conference, pp. 1-10, (2011). 

  12. S. Dharmavaram, S. R. Hanna, O. R. Hansen, "Consequence Analysis-Using a CFD Model for Industrial Sites", Process Safety Progress, Vol.24, No.4, pp. 272-316, (2005). 

  13. M. Vidal, W. J. Rogers, J. C. Holste, M. S. Mannan, "A Review of Estimation Methods for Flash Points and Flammability Limits", Process Safety Progress, Vol.23, No.1, pp. 47-55, (2004). 

  14. J. Yim, C. Chung, "Validity Review on Classification of Explosion Hazardous Area using Hypothetic Vol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29, No.6, pp. 68-75, (2014). 

  15. S. Han,D. Lee, K. S. Hwang,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Explosion Risk for the Low Pressure Natural Gas Facilities with Different Explosion Conditio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20, No.3, pp. 59-65,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