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Current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f Emotional Support Services among Care Providers in Elderly Care Service Agencie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2 no.3, 2018년, pp.79 - 93  

김유미 (상지대학교) ,  유선주 (국립목포대학교) ,  전경숙 (국립목포대학교) ,  김묘경 (서울여자간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emotional support services among care providers in elderly care service organizations. Methods: A total of 87 elderly care service agencies nationwide were recruited for the survey. Agencies' characteristic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질적 연구가 동반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제한점으로 본 연구는 직무교육과 같은 교육 프로그램은 제외하였는데 본 연구의 목적은 돌봄제공자에 대한 일반적 교육보다 정서역량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향후 조사 표본의 확대를 통한 일반화 또한 필요하다.
  • 본 연구는 노인돌봄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관의 관련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먼저 조사대상 돌봄제공기관 87개소의 기관운영규정, 윤리행동강령, 사업운영계획 등 운영규정의 명문화 등 운영체계는 양호하였으나, 돌봄제공자의 이사회·운영위원회 참여율은 절반 정도에 그쳤고, 업무대체 매뉴얼을 갖추고 있는 기관도 70%에 못미쳐 돌봄제공자의 조직운영 참여 및 인력활용 수준은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 본 연구는 돌봄서비스 시장의 확대에 따라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돌봄제공자의 스트레스, 소진 등 정서적 문제를 지원하기 위해 돌봄제공기관에서 제공하는 활동 및 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다만 본 연구는 단면연구로 계량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질적 연구에 비해 조직 체계와 프로그램 운영 등 여러 단계의 인과관계를 기술하기가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돌봄서비스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분석하는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근로자에 대한 일차적인 스트레스 예방 활동은 스트레스로 인한 질병, 병적 상태가 발생하기 전단계에서 개별 근로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인식하여 조절하고, 작업장 내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물리적, 심리사회적 작업환경의 개선 등 조직 수준의 개선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직무 스트레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21].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돌봄제공기관의 조직 수준의 돌봄제공자 정서역량 모니터링 활동으로서 고충관리, 건강관리, 스트레스 관리, 정서지지 관련 항목 들을 조사하였다. 이 중 스트레스·소진자 조기선별 모니터링, 자조모임·소모임 지원은 상당히 저조한 수준이었으며, 기관의 특성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 즉 현재 국내 돌봄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에 대한 정서역량강화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돌봄제공 기관이 돌봄제공자의 정서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운영 형태 등 제반 여건과 관련 활동 및 프로그램 운영 실태 등 정서지원서비스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기관의 특성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국내 돌봄제공자의 정서역량강화 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학의 발전으로 발생한 이슈는? 의학의 발전으로 인한 수명연장으로 노령인구가 증가되고, 여성의 사회활동 증가로 인해 가족 돌봄이 어려워지면서 사회적 돌봄이 이슈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7년에 사회보장기본법에 의한 사회 서비스 전자바우처 제도가 도입되고 2008년에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가 시행되면서 전문 돌봄제공자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돌봄제공자들은 대부분 어떤 사람들인가? 그러나 돌봄제공자의 양적인 확대에 비해 이들의 근로 상황은 열악한 실정이다. 한국의 사회서비스에 종사하는 돌봄제공자들은 대부분 중장년층 여성이며, 비정규직으로 낮은 임금과 낮은 학력 그리고 낮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다른 직종에 비해 시간당 임금수준의 증가폭, 일자리 안정성, 사회보호 수준도 상대적으로 낮다.
돌봄제공자의 업무환경은 어떠한가? 다른 직종에 비해 시간당 임금수준의 증가폭, 일자리 안정성, 사회보호 수준도 상대적으로 낮다. 특히 돌봄제공자의 업무는 신체 노동강도가 높으며 초과 및 장시간 노동과 야간근무까지 요구되는 일이 흔하다. 뿐만 아니라 직접 대인 서비스의 특성상 감정노동 등 정신적 스트레스와 폭행 및 폭언, 성희롱 등의 위험 상황에 상시 노출되어 있다[2]. 돌봄제공자가 근무하는 조직체계도 관리감독에 의한 직무 수행이 아닌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수행함에 따라 역할이 모호하고 이에 따른 역할 갈등도 동반되며 근로조건도 일관되지 못한 경우가 많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OECD(2017), Health at a Glance 2017 OECD Indicators. Available online: http://www.oecd-library.org/social-issues-migration-health/health-at-a-glance-2017_health_glance-2017-en/ 

  2. J. Kim, E. Song, C.Y. Kim(2016), Health Risk and Intervention of Long-term Care Givers: Realist Review in Realist Perspectiv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6(2);421-453. 

  3.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2011), Job Stress Management Guideline for Long-term Care Givers, pp.2-5. 

  4. G.H. Lee, K.W. Cho(2016), The Influence of Job Stress of Care Workers on Customer Orientation: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Perceived Health Leve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3);173-184. 

  5. S. Kim, H. Woo(2013), Community Services Supporting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Lesson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Fam Environ Res, Vol.51(3);275-284. 

  6. B.R. Lee(2012), A Study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the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2(4);123-150. 

  7. C.I Park, S.R. Lee, J.Y. Yoon, H.K. Shin(2013), Industrial Accident and Protection Plan for Care Service Workers, Seoul: Korea Labor Institute, pp.287-322. 

  8. D.D. Cooke, L. McNally, K.T. Mulligan, M.J. Harrison, S.P. Newman(2001),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Aging & Mental Health, 5;120-135. 

  9. L.L. Northouse, M.C. Katapodi, L. Song, L. Zhang, D.W. Mood(2010), Interventions with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CA Cancer J Clin, Vol.60(5);317-339. 

  10. R. Schulz, J. Eden(2016), Families caring for an aging America,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pp.150-219. 

  11. J.H. Kang(2010), Effect of a Social Support Program on Caregivers of Elders with Dementia, J Korean Gerontol Nurs, Vol.12(2);142-153. 

  12. H.C. Kim, K.S. Kwon, D.H. Koh, J.H. Leem, S.G. Park, J.Y. Shin, Y.C. Lee, Y.K. Kim(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 Occup Envor Medicine, Vol.18(1);25-34. 

  13. I.S. Seo, J.S. Yong, J.Y. Park, J.H. Kim(2014). Spiritual and Psychosocial Effects of the Spirituality Promotion Program o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4(6);726-734. 

  14. E.J. Han, J.S. Lee, S.Y. Park, S.H. Park(2016), Operation and Evaluation of Counseling Support Project for Family Caregiver in Long-term car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pp.1-147. 

  15. Y. Chon(2012), An Exploratory Study on Home Support Service for the Elderly in Gyeonggi Province: Focusing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for the Servic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2(4);151-181. 

  16. M. Oh, P.R. Park, Y.M. Choi, J. Kim(2014), An Empirical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and its Determinants of the Home Support Service Center for the Elderly in Gyeonggi Province,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25(1);197-223. 

  17. Y. Kim, H. Kim(2013), Determinants of the Efficiency about the care service providing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Vol.15(4);61-86. 

  18. E.J. Kim(2014), Analysis on Social Service Quality Management Index,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ocial Service, Vol.5(2);5-37. 

  19. C.H. Seo, D.M. Kang, K.H. Kim, D.S. Kim, K.S. Lee(2014), Study on Development of Work Stress Prevention Activity Guideline for Workers, Ulsa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pp.20. 

  20. J.H. Yoon(2016), The Actual Condition of Care Voucher and Improvement Plan, Seoul Social Service Jobs Forum, Seoul: LW Convention, pp.10-15. 

  21. L. Delp, S.P. Wallace, J. Geiger-Brown, C. Muntaner(2011),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Home care workers in a consumer-directed model of care, Health Services Research, Vol.45(4);922-940. 

  22. K.M. Richardson, H.R. Rothstein(2008),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s: A meta-analysi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13(1);69-93. doi:10.1037/1076-8998.13.1.69 

  23. F.W. Bond, D. Bunce(2000), Mediators of change in emotion-focused and problem-focused worksite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1);156-163. doi:10.1037//1076-8998.5.1.156 

  24. Institute of Medicine (IOM) (US) Committee to Evaluate the State Long-Term Care Ombudsman Programs; J. Harris-Wehling, J.C. Feasley, C.L. Estes, editors(1995), Real People Real Problems: An Evaluation of the Long-Term Care Ombudsman Programs of the Older Americans Act,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US), pp.41-78.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231093/ 

  25. K.N. Park(2011), Policy for elderly care and the role of voluntary organizations in UK, Korea Social Policy Review, Vol.18(1);121-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