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자의 고용상태가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n the Unmet Needs of Medical Utilization in Worker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2 no.4, 2018년, pp.31 - 41  

최재우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보건경제사회약학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whether employment status is associated with the experience of unmet care need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 Health Panel data from 2012 to 2016. A total of 4,083 workers were selected as baseline subjects in 2012 and were followed for fou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에 정규직의 경우 실업자나 비정규직보다 상대적으로 긴 근로시간으로 인해 필요한 의료이용을 하기 어려워 시의적절한 진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고용 상태에 따라 미충족 의료에 미치는 영향을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미충족 의료가 발생하는 이유 중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주요 이유인 경제적 부담과 시간적 이유 등으로 구분하여 세부적인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5년간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근로자의 고용상태가 미충족 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정규직과 자영업자, 실업자가 정규직에 비해 경제적 부담으로 인한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확률이 높았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근로자를 대상으로 고용상태가 미충족 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 4,083명 중 12.
  • 이 연구는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근로자를 대상으로 고용상태가 미충족 의료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첫 연구이다. 비록 이 연구와 유사한 선행연구들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단면연구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고용상태와 미충족 의료 경험 발생 간의 역 인과관계를 반영하지 못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충족 의료로 인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OECD 가입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상대적으로 높은 건강보험 본인부담률은 의료이용 시 미충족 필요를 야기할 수 있다[3]. 미충족 의료는 의료서비스 접근도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로서 미충족 의료는 의료서비스 이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와 실제 이용한 의료서비스 간의 차이로 정의되며[4] 미충족 의료로 인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 의료이용자의 정신적 또는 신체적인 건강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5].
미충족 의료란? OECD 가입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의 상대적으로 높은 건강보험 본인부담률은 의료이용 시 미충족 필요를 야기할 수 있다[3]. 미충족 의료는 의료서비스 접근도를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로서 미충족 의료는 의료서비스 이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와 실제 이용한 의료서비스 간의 차이로 정의되며[4] 미충족 의료로 인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 의료이용자의 정신적 또는 신체적인 건강상태가 악화될 수 있다[5].
우리나라 건강 보험 보장률이 감소하는 이유는? 2%로 오히려 감소하였다. 이는 지속적인 보장성 강화정책에도 불구하고 비급여와 같은 본인부담률이 더 크게 증가한데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W. Choi, J.W. Jeong, J.H. Kim, J.R. Kim, E.C. Park(2015), The Equity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ntribution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5(3);199-221. 

  2. OECD(2017), Health at a glance 2017: OECD indicator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3. S.J. Kim, S.I. Huh(2011), Financial burden of health care expenditures and unmet needs by socioeconomic statu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Vol.24(2);83-106. 

  4. W. Carr, S. Wolfe(1976), Unmet needs as sociomedical indicators, Int J Health Serv, Vol.6(3);417-430. 

  5. H.J. Yoon, S.I. Jang(2017), Unmet health care needs status and trend of Korea in 2015,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27(1);80-83. 

  6. Y. Jang, H. Yoon, N.S. Park, D.A. Chiriboga, M.T. Kim(2014), Dental care utilization and unmet dental needs in older Korean American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Vol.26(6);1047-1059. 

  7. A. Singhal, A. Chattopadhyay, A.I. Garcia, A.B. Adams, D. Cheong(2014), Disparities in unmet dental need and dental care received by pregnant women in Maryland,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Vol.18(7);1658-1666. 

  8. L.J. Heaton, L.A. Mancl, D. Grembowski, J.M. Armfield, P. Milgrom(2013), Unmet dental need in community-dwelling adults with mental illness: results from the 2007 Medical Expenditure Panel Survey,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Vol.144(3);e16-23. 

  9. H.Y. Song, J.W. Choi, E.C. Park(2015), The Effect of Economic Participatory Change on Unmet Needs of Health Care among Korean Adult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25(1);11-21. 

  10. M.H. Kim, C.Y. Kim, J.K. Park, I. Kawachi(2008), Is precarious employment damaging to self-rated health? Results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using longitudinal data in South Korea,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7(12);1982-1994. 

  11. S.Y. Lee, C.W. Kim, J.H. Kang, N.K. Seo(2015), Unmet healthcare needs depending on employment status, Health policy, Vol.119(7);899-906. 

  12. P.W. Newacheck, D.C. Hughes, Y.Y. Hung, S. Wong, J.J. Stoddard(2000), The unmet health needs of America's children, Pediatrics, Vol.105(4 Pt 2);989-997. 

  13. E. Feinberg, K. Swartz, A. Zaslavsky, J. Gardner, D.K. Walker(2002), Family income and the impact of a children's health insurance program on reported need for health services and unmet health need, Pediatrics, Vol.109(2);E29. 

  14. M. Cavalieri(2013), Geographical variation of unmet medical needs in Italy: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t J Health Geogr, Vol.12;12-27. 

  15. S.J. Huh(2010), Factors influencing unmet needs for health care by income groups, Seoul National University. 

  16. J.G. Kim(2007), Study on determinant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behavior of the poor, Korean J Soc Welf Stud, Vol.34;29-53. 

  17. G.S. Song(2011),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s for health care, Korea University. 

  18. J.Y. Yang(2010), The longitudinal trend and association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 Korea University. 

  19. T.M. Song(2013), An Anderson model approach to the mediation effect of stress-vulnerability factors on the use of outpatient care by the elderly, Health Soc Welf Rev, Vol.33(1);547-576. 

  20. OECD(2012), Health at a glance 2012.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1. S.I. Sohn, Y.J. Shin, C.Y. Kim(2010), Factors influencing household catastrophic health expenditure of the poor, Health Soc Welf Rev, Vol.30(1);92-110. 

  22. M.S. Kim, J.B. Park, K.B. Min, K.J. Lee, K. Kwon(2014), Presenteeism among self-employed workers: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26(32);1-7. 

  23. Y.J. Kim, S.J. Choi, B.D. Hwang(2018),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health care needs according to household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2(2);39-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