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재가 호스피스완화 대상자의 증상 및 돌봄 요구도 분석 -부산광역시 보건소 중심 재가 호스피스사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ymptom and Care Needs of Home-Based Hospice Palliative Patients - Home-Based Hospice Business Centered on Community Health Centers in Busan-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2 no.4, 2018년, pp.173 - 190  

김정림 (부산광역시 호스피스완화케어센터) ,  최순옥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김숙남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ymptoms and care needs of home-based hospice palliative patients in Busan and to provide a basic reference for developing practical guidelines for their care. Methods: By examining the registration cards of 409 hospice palliative patients, who we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16개 보건소에 등록되어 있는 재가 호스피스완화 대상자의 증상과 돌봄 요구도를 분석하여 향후 표준화된 지역사회 호스피스완화 돌봄 서비스 실무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16개 보건소에 등록되어 있는 재가 호스피스완화 대상자 409명의 증상과 돌봄 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대상자의 특성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지역기반 호스피스완화 돌봄 서비스의 실무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된 대상자의 다양한 특성과 증상 및 돌봄 요구도 중에서 주목할 만한 자료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본 연구는 대상자의 특성에 부합된 표준화된 지역사회 호스피스완화돌봄 서비스 실무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16개 보건소에 등록되어 있는 재가 호스피스완화 대상자의 증상과 돌봄 요구도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결과 재가 호스피스완화 대상자는 대부분이 고령층이고, 소득이 낮은 취약계층이 많았으며, 활동상태는 스스로 거동이 가능한 대상자가 많았다.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16개 보건소에 등록되어 있는 재가 호스피스완화 대상자 409명의 증상과 돌봄 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대상자의 특성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지역기반 호스피스완화 돌봄 서비스의 실무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된 대상자의 다양한 특성과 증상 및 돌봄 요구도 중에서 주목할 만한 자료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 3차 암 관리 종합계획에서는 어떤 것을 강조하는가? 최근 보건복지부에서는 제 3차 암 관리 종합계획(2016-2020)을 발표하면서 암 예방과 암 생존자의 치료 뿐 아니라 말기암 환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를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의료보험에서 호스피스완화돌봄 비용을 지불하는 수가제도의 시행과 서비스 제공의 다양화를 위해 병동형에 집중되어 있던 호스피스완화돌봄 서비스를 가정형으로 까지 확대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1], 그 결과 2017년 8월 현재 가정형 호스피스가 병원을 중심으로 21개 기관에서 시범운영 되고 있다[2].
의료보험에서 호스피스완화돌봄 비용을 지불하는 수가제도의 시행과 서비스 제공의 다양화를 위해 병동형에 집중되어 있던 호스피스완화돌봄 서비스를 가정형으로 까지 확대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결과 어떤 시범운영이 가능해졌는가? 최근 보건복지부에서는 제 3차 암 관리 종합계획(2016-2020)을 발표하면서 암 예방과 암 생존자의 치료 뿐 아니라 말기암 환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를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의료보험에서 호스피스완화돌봄 비용을 지불하는 수가제도의 시행과 서비스 제공의 다양화를 위해 병동형에 집중되어 있던 호스피스완화돌봄 서비스를 가정형으로 까지 확대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1], 그 결과 2017년 8월 현재 가정형 호스피스가 병원을 중심으로 21개 기관에서 시범운영 되고 있다[2]. 그러나 가정형 호스피스는 호스피스병동에서 퇴원한환자를 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지역별 편차가 크고, 참여하는 인력도 아직 적은 상황이다.
보건소 재가암환자관리사업이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으로 통합 운영되면서 지역형 호스피스 서비스 팀의 역량 강화와 전문기관과의 연계 모색 등 돌봄 체계를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재가 호스피스완화 대상자에 대한 관리는 1999년부터 지역사회 암환자의 삶의 질을 증대시키고, 환자 간호에 따른 가족의 부담감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보건소 재가암환자관리사업의 한 부분으로 시행되어 왔다[4]. 그런데 2008년부터 재가암환자관리사업이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으로 통합 운영되면서 고혈압, 당뇨, 심뇌혈관질환 등의 만성질환과 함께 관리되어 다양한 질병단계와 증상, 복합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재가암환자에 대한 돌봄이 어려워졌다. 특히, 질병 악화에 따른 다양한 증상 관리와 임종준비 등 더욱 세분화된 돌봄이 필요한 재가 호스피스완화 대상자에 대한 체계적 관리는 더욱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었다. 따라서 재가 호스피스완화 대상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합하는 차별화되고 전문적인 재가 호스피스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말기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보건소가 중심이 되는 지역형 호스피스 서비스 팀의 역량 강화와 전문기관과의 연계 모색 등 돌봄 체계를 전문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34186&page1 

  2. National Cancer Center(2017), 2016 Hospice Palliative Supporting Project Status, National Cancer Center, pp.7-9. 

  3. H.S. Kim, K.J. June, Y.S. Son(2016), Home-Based Hospice Care Provided by a Free-Standing Hospice Center: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Service Conditions,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Vol.19(2);145-153.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1), 2011 Guidelines of home-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ject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p.14-29 

  5. S.N. Kim, S.O. Choi, S.H. Shin, J.S. Ryu, J.W. Baik(2016), Development of a Community-based Palliative Care Model for Advanced Cancer Patients in Public Health Center in Busan, korea, Cancer Res Treat, 2016;00:1-10. Epup 2016 Oct 18. 

  6. WHO(2014), Strengthening of Palliative Care as a Component of Comprehensive Care throughout the Life Course, WHA67.19;1-5. 

  7. S.O. Choi, S.N. Kim(2015),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in Home-based Hospice Palliative Care Patients Registered at Local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Vol.18(4);329-334. 

  8. S.J. Koh, K.S. Lee, Y.S. Homg, Y.S. Yoo, H.J. Park(2008), Clinical Change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t the End-of-life Time,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Vol.11(2);99-105. 

  9. S.J. Kim, D.H. Moon, C.S. Lee, J.H. Lee, T.G. Kim, J.C. Park, J.E. Lee(2007), Prognotic Factor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erminally Ill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Vol.10(14);178-183 

  10. W.J. Kim, M.Y. Kim, W.Y. Chang(2013), Analysis of Symptoms and Provided Services in Home-based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e, Vol.13(2);67-75. 

  11. J.S. Park, Y.J. Oh(2010), An Analysis of Cancer Symptom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Given Nursing Services for Community Dwelling Cancer Patients who are Registered in a Public Health Center, Journal Korean Oncology Nurse, Vol.10(1);48-58. 

  12. S.H Kwon, S.N. Kim, S.O. Choi, J.R. Kim, J.S Ryu, J.W. Baik(2016), A Need Analysis for Medical Supporting Service as a Part of Community-based Hospice Palliative Car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4);109-121. 

  13. J.H. Lee, J.I. Park, J.H. Kang, J.H. Youm, D.H. Koh, K.S. Kwon(2011), Needs Assessment for the Beneficiaries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Management Project, Journal Agric Med Community Health, Vol.36(4);238-250. 

  14. T.S. Kim, B.G. Yang, E.K. Jeong, N.R. Park, Y.S. Lee, Y.S. Lee, S.G. Lee, Y.T. Kim, Y.H. Yun, G.H. Huh(1999), Need Assessment of Home-based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Vol.2(1);36-45. 

  15. M.H. Kang, Y.S. Moon, Y.J. Lee, Y.S. Kang, H.G. Kim, G.W. Lee, W.S. Lee, J.H. Kang(2014), Physical Symptoms and Psychiatric, Social, Spiritual and Economical Care Needs of Patients under Home-based Cancer Service,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Vol.17(4);216-222. 

  16. National Cancer Center(2013), Hospice Palliative Care Manual, National Cancer Center, pp.7-259. 

  17. R.W. Jang, V.B. Caraiscos, N. Swami, S. Banerjee, E. Mak, E. Kaya, G. Rodin, J. Bryson, J.Z. Ridley, L.W. Le, C. Zimmermann(2014), Simple Prognostic Model for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based on Performance Status, Journal of Oncology Practice, Vol.10(5);335-341. 

  18. S.H. Kang, H.Y. Lee, J.S. Kim, J.K. Lee, H.K. Jung(2006), Home-based Hospice-palliative Care Service Administered by University-based Family Practic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7(11);889-894. 

  19. H.S. Lee, S.H. Park, Y.S. Chung, B. Lee, S.H. Kwon(2010), Evaluation of a Community-Based Cancer Patient Management Program: Collaboration between a Hospice Center and Public Health Centers,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Vol.13(4);216-224. 

  20. I.K. Kwon, M.S. Hwang, K.M. Kwon(2008),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Receiving Home Care Nursing,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4(2);103-114. 

  21. B.H. Kim, H.J. Kang(2014), Experience of Home-Based Hospice Care of Terminal-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Hospice Palliative Care, Vol.17(4);223-231. 

  22. D.H. Moon, W.S. Choe, M.A. Lee, I.S. Woo, J.H. Kang, Y.S. Hong, K.S. Lee(2004), Clinical Considerations about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ho Died in Hospice Unit,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67(4);341-348. 

  23. J.K. Cataldo, S, Paul, B. Cooper, H. Skerman, K. Alexander, B. Aouizerat, V. Blackman, J. Merriman, L. Dunn, C. Ritchie, P. Yates, C. Miaskowski(2013), Differences in the Symptom Experience of Older Versus Younger Oncology Outpatients: a Cross-Sectional Study, BMC cancer, Vol.13(6);1-16. 

  24. J.I. Kim((2013),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Korean Community Health Nurs, Vol.24(1);99-109. 

  25. J.S. Ryu, J.W. Baik, S.N. Kim(2015), Inquiring the Necessity of Social Work Intervention in Community-based End of Life Car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40(40);79-11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