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만성질환 유무별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주관적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n the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of the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Chronic Illnesse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2 no.2, 2018년, pp.113 - 123  

박순미 (진주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계열) ,  문수열 (진주보건대학교 사회복지계열)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n the subjective health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groups with and without chronic diseases. Methods : Data were used from the "2014 the Korean Elderly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10,45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 유무에 따라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주관적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두 집단 간 주요 영향 요인 차이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고령 사회 노인의 삶의 질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건강만족도를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선행 요인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제시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대부분 노인의 삶의 질 또는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으로 설명되는 연구가 대부분인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노인의 주관적 건강만족도 수준을 높이는 방안으로 사회활동 참여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나아가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 집단과 만성질환이 없는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 사회활동 참여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 이에 2014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집단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만성질환 유무별 노인의 주관적 건강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각각의 유의미한 변수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8%를 차지하면서[15] 본격적으로 고령사회(aged society) 진입을 앞두고 있다. 고령사회 진입으로 우리 사회는 한층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노년기 삶의 여러 수준에서 사회적 지원방안 모색이 강구되고 있다. 노인은 다른 연령집단에 비해 일반적으로 삶의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노인들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는 성공적 노화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사회활동은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관련성이 있다는 선행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신체 활동은 노인의 건강에 매우 중요한데[23],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사회활동은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Ko[2]의 연구 역시 장애노인의 사회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아지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Eo, et al.[10]연구에서도 사회활동 참여가 높을수록 노인의 주관적 건강 수준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Reicks, et al.[24], Hsu[19]의 연구 에 따르면 노년기에 노인들의 기능상태가 감소하더라도 이들의 정신건강과 주관적 안녕감은 기능 장애에 따른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 유지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듯이, 노화에 따른 건강상태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노인의 건강상태와 관련된 영향 요인을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8]. 즉, 노인에게 적절한 사회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다면, 신체적, 사회적, 그리고 인지적으로 활발한 삶을 살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22].
2017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몇 명인가? 2017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707만 6천명으로 전체 노인 인구의 13.8%를 차지하면서[15] 본격적으로 고령사회(aged society) 진입을 앞두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S. Kang, J. Shin(2016), The Effects of Leisure Welfare Facilities on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2016 The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Spring Conference, pp.541-542. 

  2. M.S. Ko(2015), The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on Daily Life Satisfaction in Elderly with Disabilities: Medi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3);221-232. 

  3. Y.S. Kim, W.Y. Ha(2015), A Study of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roductive Leisure Activities on the Suicide Ideation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Living Alon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5(4);344-374. 

  4. Y.H. Kim, B.H. Lee(2006), Effects of Leisure Type on Health Status and Obesity Index of Senior Citizens in Suwo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21(3);344-350. 

  5. J.H. Kim(2016),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Health Behavior on the Disparity in Self-rated Health in Later Life : The Comparison of Self-rated Health Trajectory between the Elderly in Low-income Household and Their Counterpar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71(1);9-32. 

  6. H.R. Kim, K.W. Lee(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the Female Elderly in the Leisure Activity, and Physical Health and a Sense of Happiness, Journal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Vol.34(1);671-680. 

  7. J.H. Min(2013), Effect of Social Engagement on Self-rated Health Trajectory among Korean Older Adul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4);105-123. 

  8. S.M. Park(2011), Effects of Health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Focusing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ctivities and economic activiti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53;291-318. 

  9. S.M. Park, J.A. Son, S.W. Bae(2009),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prospectiv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Focusing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25(3);1-24. 

  10. Y.G. Eo, I.T. Kim, S.H. Hong, S.E. Kim(2016),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f Healthy Old Age:Multilevel Modeling of Social Capital, 2016 The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Spring Conference, pp.147-166. 

  11. J.U. Lee(2010),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S. Korea:Differences by Education Level,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0(3);709-726. 

  12. B.W. Lim, K.H. Ju, S.E. Cho(2009), A Comparative Study of on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of the Community Care Services Elderlies and General Elderlie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43;353-379. 

  13. H.N. Lim(2010), The Effect of the types of Leisure Participation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ental health in Elderly,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an, Vol.24(3);27-37. 

  14. G.H. Jung, Y.H. Oh, E.N. Kang, J.H. Kim, D. Sunwoo, M.A. Oh, Y.G. Lee, N.H. Hwang, G.R. Kim, S.H. Oh, B.M. Park, H.G. Shin, G.R. Lee(2014), Report of 2014 the Korean Elderly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1-727 

  15. Statistics Korea(2017), 2017 Statistics on the Aged. 

  16. C.K. Ha, H.S. Kim(2013), The Effects of Physical Self-efficacy of Elderly People in attending the Leisure Facilities and Programs on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Vol.37(1);1-12. 

  17. L. Behm, K. Wilhelmson, K. Falk, K. Eklund, L. Ziden, S. Dahlin-Ivanoff(2014), Positive Health Outcomes Following Health-Promoting and Disease-Preventive Interventions for Independent Very Old Persons: Long-Term Results of the Three-Armed RCT Elderly Persons in the Risk Zone,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58(3);376-383. 

  18. G. Cristina, L.R. Dumitrache, R.H. Ramona(2017),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Aging & Mental Health, Vol.21(7);751-757. 

  19. H. Hsu(2008), Does Disability Affect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Aging? Physical Function Trajectories, Depressive Symptom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The Gerontologist, Vol.48(Oct);11. 

  20. W.M. Looman, I.N. Fabbricotti, R. Huijsman(2014), The Short-Term Effects of an Integrated Care Model for the Frail Elderly on Health, Quality of Life, Health Care Use and Satisfaction with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grated Care, Vol.14(5);1-11. 

  21. L. Lu, C.J. Chang(1999), Social Support, Health and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with Chronic Conditions in Taiw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2(4);471-480. 

  22. B.D. McPherson(1994),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Aging and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Vol.2(4);329-353. 

  23. M.E. Nelson, W.J. Rejeski, S.N. Blair, P.W. Duncan, J.O. Judge, A.C. King(2007),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in Older Adults, Recommendation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116 online. 

  24. C. Reicks, K. Wallace(2002), Life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Control in Rural Elderlymen, The Gerontologist, Vol.42(1);19. 

  25. P. Steca, A. Greco, D. Monzani, A. Politi, R. Gestra, G. Ferrari, G. Malfatto, G. Parati(2013), How Does Illness Severity Influence Depression, Health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The Mediating Role of Illness Perception and Self-Efficacy Beliefs, Psychology & Health, Vol.28(7);765-7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