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일란성 쌍생아와 이들 모친의 가족적 위 운동성 장애와 한방치료가 쌍둥이의 임상증상과 위 운동성에 미친 영향
Familial Gastric Dysmotility in Monozygotic Twins with Functional Dyspepsia and Their Mothers and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on Symptoms and Gastric Dysmotility in Twins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9 no.4, 2018년, pp.772 - 783  

윤상협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use the Rydoraku test, electrogastrography, and enterotachography to examine the presence of familial gastric dysmotility among monozygotic twins and their mother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ptoms and the indexes of the Rydoraku test, electrogastro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래서 이번 연구에서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호소한 일란성 쌍생아 자매와 이들 모친을 대상으로 양도락, 위전도 및 장음 측정을 사용해서 위 운동성 장애에 대한 가족적 병태생리의 공유현상을 조사하고자 했고 아울러 임상증상과 양도락, 위전도, 장음 지표 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유전적이고 가족적인 위 운동성 장애에 대해 한약단독 및 한약과 침의 병용의 반응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변화를 통해서 유전적인 위 운동성 장애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위 운동성 장애의 기능성 소화불량증을 호소한 일란성 쌍생아 자매와 모친을 대상으로 첫째, 유전에 의한 위 운동성 장애의 가족적 공통현상을 한방검사인 양도락, 위전도, 장음분석을 통해서 살펴보고, 둘째 임상증상과 양도락, 위전도, 장음 지표간의 상관성을 조사하며, 셋째 구분되는 한방치료법(한약단독 및 한약과 침의 병용)을 자매에게 6주간 적용한 후, 유전적 위 운동성 장애에 대해 이것의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 이것은 아마도 동일 유전자에 의한 공유현상으로 생각되며 자매의 이 부분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수단의 무반응성도 유전성에 기인되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본 연구의 이러한 자료는 향후 위 운동성 장애형 소화불량증을 접함에 있어서 환자의 증상이 유전성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속발성에 의한 것인지를 구분해야 한다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와 김 등40의 결과는 2차적인 위 유문부 기능장애에 대해 한약단독 보다는 침 또는 침과 한약의 병용이 더 신속한 효과를 나타내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으나, 이것에 대한 평가는 추가적인 연구에서 다시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또한 유전적이고 가족적인 위 운동성 장애에 대해 한약단독 및 한약과 침의 병용의 반응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변화를 통해서 유전적인 위 운동성 장애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유감스럽지만, 본 연구는 이들 자매와 모친의 GNβ3 C825T 유전자를 조사하지는 않았다.
  • 이러한 공유현상은 알츠하이머병9, 정신분열증10, 조울증11, 알콜리즘12, 당뇨13, 고혈압14, 자폐증15 등의 질환에서 뚜렷하다. 한편, 위 운동성을 결정하는 유전자에 관해 알려진 내용이 많지 않은 상태이지만, 만약 부모의 위 운동성을 특정하는 유전자가 자녀에게 전달되어서 자녀의 위 운동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면, 이들 사이에는 가족적 발병의 공유성이 있을 수 있고, 어쩌면 위 운동성의 병태생리도 유전에 의한 가족적 양상을 띨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국내유병률은?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국내 유병률은 25%로 추정되며 위 내 특별한 기질적 병변이 없이 상복부 중심의 통증 및 불쾌감을 호소할 때 진단되어진다1. 이 질환의 병태생리에는 위 운동성 장애(위 배출능지연, 위저부 이완장애), 내장 감각 과민성, 위산분비장애, 정신사회적 문제2 등이 관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유전성에 관해서 알려진 사실은 많지 않다3.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병태생리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국내 유병률은 25%로 추정되며 위 내 특별한 기질적 병변이 없이 상복부 중심의 통증 및 불쾌감을 호소할 때 진단되어진다1. 이 질환의 병태생리에는 위 운동성 장애(위 배출능지연, 위저부 이완장애), 내장 감각 과민성, 위산분비장애, 정신사회적 문제2 등이 관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유전성에 관해서 알려진 사실은 많지 않다3.
기능성 소화불량증은 어떻게 진단되어지는가?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국내 유병률은 25%로 추정되며 위 내 특별한 기질적 병변이 없이 상복부 중심의 통증 및 불쾌감을 호소할 때 진단되어진다1. 이 질환의 병태생리에는 위 운동성 장애(위 배출능지연, 위저부 이완장애), 내장 감각 과민성, 위산분비장애, 정신사회적 문제2 등이 관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유전성에 관해서 알려진 사실은 많지 않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Talley NJ, Walker MM, Holtmann G. Functional dyspepsia. Curr Opin Gastroenterol 2016;32(6) :467-73. 

  2. Stanghellini V, Chan FK, Hasler WL, Malagelada JR, Suzuki H, Tack J, et al. Gastroduodenal Disorders. Gastroenterology 2016;150(6):1380-924. 

  3. Sarnelli G, D'Alessandro A, Pesce M, Palumbo I, Cuomo R. Genetic contribution to motility disorder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World J Gastrointest Pathophysiol 2013;4(4):65-73. 

  4. Saito H, Tsutsumi O, Noda Y, Ibuki Y, Hiroi M. Do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have effects on the demography of monozygotic twinning? Fertil Steril 2000;74(1):178-9. 

  5. Silventoinen K, Jelenkovic A, Sund R, Hur YM, Yokoyama Y, et al. Gene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body mass index from infancy to the onset of adulthood: an individual-based pooled analysis of 45 twin cohorts participating in the COllaborative project of Development of Anthropometrical measures in Twins (CODATwins) study. Am J Clin Nutr 2016;104(2):371-9. 

  6. Kourikou A, Karamanolis GP, Dimitriadis GD, Triantafyllou K. Gene polymorphisms associated with functional dyspepsia. World J Gastroenterol 2015;21(25):7672-82. 

  7. Oshima T, Toyoshima F, Nakajima S, Fukui H, Watari J, Miwa H. Genetic factors for functional dyspepsia. J Gastroenterol Hepatol 2011;26 Suppl 3 :83-7. 

  8. Tahara T, Arisawa T, Shibata T, Wang F, Nakamura M, Sakata M, et al. Homozygous 825T allele of the GNB3 protein influences the susceptibility of Japanese to dyspepsia. Dig Dis Sci 2008;53(3):642-6. 

  9. Breitner JC, Welsh KA, Gau BA, McDonald WM, Steffens DC, Saunders AM, et al. Alzheimer's disease in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National Research Council Registry of Aging Twin Veterans. III. Detection of cases, longitudinal results, and observations on twin concordance. Arch Neurol 1995;52(8):763-71. 

  10. Kendler KS, Robinette CD. Schizophrenia in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National Research Council Twin Registry: a 16-year update. Am J Psychiatry 1983;140(12):1551-63. 

  11. Kieseppa T, Partonen T, Haukka J, Kaprio J, Lonnqvist J. High concordance of bipolar I disorder in a nationwide sample of twins. Am J Psychiatry 2004;161(10):1814-21. 

  12. Hrubec Z, Omenn GS. Evidence of genetic predisposition to alcoholic cirrhosis and psychosis: twin concordances for alcoholism and its biological end points by zygosity among male veterans. Alcohol Clin Exp Res 1981;5(2):207-15. 

  13. Hyttinen V, Kaprio J, Kinnunen L, Koskenvuo M, Tuomilehto J. Genetic liability of type 1 diabetes and the onset age among 22,650 young Finnish twin pairs: a nationwide follow-up study. Diabetes 2003;52(4):1052-5. 

  14. Carmelli D, Cardon LR, Fabsitz R. Clustering of hypertension, diabetes, and obesity in adult male twins: same genesor same environments? Am J Hum Genet 1994;55(3):566-73. 

  15. Smalley SL, Asarnow RF, Spence MA. Autism and genetics. A decade of research. Arch Gen Psychiatry 1988;45(10):953-61. 

  16. Kim SY, Yoon SH, Kim YB, Jung SK. Study of Ryodoraku Parameters for Diagnosing Gastric Dysmotility in Functional Dyspepsia.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8; 29(2):401-12. 

  17. Yoon SH. Bowel Sound Recording for Structural Deformity in the Pylorus-Duodenum: Report of 3 Cases.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5;36(3):276-83. 

  18. Kim HK, You JM, Jang SY, Lee JS, Um KH, Kim JS, et al. Association of Skin Sympathetic Tone or Cardiovascular Reactivity on the Fatigue Index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5;26(2):390-7. 

  19. You JM, Jang SY, Kim HK, Lee JS, Yum KH, Lee SR, et al.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Therapy on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in Patient with Functional Dyspepsia.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5;26(2) :360-8. 

  20. Yoon SH. Postprandial Epigastric Fullness and Pyloric Valve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nalysis of Bowel Sounds and Electrogastrography.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7;28(4):769-78. 

  21. Kyung Hee Medical Center. Kyung Hee Hanbang Prescription. Seoul: Twin Print Agency; 1997, p.410. 

  22. Saito YA, Mitra N, Mayer EA. Genetic approaches to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Gastroenterology 2010;138(4):1276-85. 

  23. Shuli L, Shengli Z, Ying Y. Research progress of regulatory mechanism of DNA methylation in complex traits using monozygotic twins. Yi Chuan 2016;38(12):1043-55. 

  24. Sparks TN, Norton ME, Flessel M, Goldman S, Currier R. Observed Rate of Down Syndrome in Twin Pregnancies. J Obstet Gynecol 2016; 128(5):1127-33. 

  25. Hicks BM, Johnson W, Iacono WG, McGue M.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on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f School Grades Helps to Explain Sex Differences in Scholastic Achievement. Eur J Pers 2008;22(3) :247-68. 

  26. Song YZ, You HY, Zhu ZH, Wen ZD, Xu HY, Chen BC, et al. The C825T Polymorphism of the G-Protein $\beta$ 3 Gene as a Risk Factor for Functional Dyspepsia: A Meta-Analysis. Gastroenterol Res Pract 2016;2016:5037254. 

  27. Morris-Yates A, Talley NJ, Boyce PM, Nandurkar S, Andrews G. Evidence of a genetic contribution to functional bowel disorder. Am J Gastroenterol 1998;93(8):1311-7. 

  28. Saito YA, Petersen GM, Locke GR 3rd, Talley NJ. The genetic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5;3(11):1057-65. 

  29. Uhm JH. Update on Genetic Studies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Kr Pediatr Gastroenterol Hepatol Nutr 2010;13 suppl 1:25-31. 

  30. Pallotta N, Pezzotti P, Corazziari E. Relationship between antral distension and postprandial symptoms in functional dyspepsia. World J Gastroenterol 2006;12(43):6982-91. 

  31. Szarka LA, Camilleri M. Methods for measurement of gastric motility.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09;296(3):G461-75. 

  32. Kim SY, Yoon SH. A Selective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Electroacupuncture at Zusanli(ST36), Manual Acupuncture, and Pyengwi-san in Function Dyspepsia Patients with Pyloric Valve Disturbance and Hypoactivity of Gastric Vagus Nerv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9;30(1) :191-9. 

  33. Kim YS, Yoon SH. Combination Effects of Zusanli(ST36) Electroacupuncture and Manual Acupuncture of other Acupoints on Gastric Vagal Nerve Activity and Pyloric Valve Function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8; 29(3):621-8. 

  34. Lee JS, Kim JS, Ryu BH, Yoon SH. Effect of Banhasasimtang Granule on Gastric Emptying in Rats.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6;27(2):471-9. 

  35. Yoon SH, Ryu BH, Ryu KW, Kim JS. Evaluation for Therapeutic Effectiveness of Banwhasashim-tang in Functional Dyspepsia.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3;24(2):329-36. 

  36. Hong JH, Kim JS, Ryu BH, Yoon SH. Effect of Sojukgunbihwan granule on Gastric Motility in Rats.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6;27(1):276-87. 

  37. Kim JJ, Choi YT, Lim JG, Lee YH. The Newest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tudy. Seoul: Seongbosa; 1979, p. 190-2. 

  38. Iwa M, Nakade Y, Pappas TN, Takahashi T. Electroacupuncture improves restraint stress-induced delay of gastric emptying via central glutaminergic pathways in conscious rats. Neurosci Lett 2006 May 15;399(1-2):6-10. 

  39. Hong IA, Yoon SH. Effect of Zusanli (ST36)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on Delayed Gastric Emptying in Rats with Partial Pyloric Obstruction.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9;30(1):1-8. 

  40. Shiotani A, Tatewaki M, Hoshino E, Takahashi T.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on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in healthy humans. Neurogastroenterol Motil 2004;16(3):29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