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설계모형 탐구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Cross-Cultural Collaborative Online Learning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1 - 9  

박상훈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첨단 ICT의 활용도를 높이고 국가 간 교육 교류협력 활성화에 기여하는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살펴보고, 유형별 수업 설계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관련 시범사업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은 첨단 ICT를 기반으로 언어적,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학생, 교사, 현장전문가가 상호작용하고 협력함으로써 지식을 탐구하고 구성해가는 구성주의 기반의 교육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유형으로는 원격 화상 수업 중심의 실시간 교류학습과 웹사이트 기반 과제 중심의 비실시간 교류학습이 있었고, 이러한 유형별 특징을 고려한 PPIE(Plan-Preparation-Interaction-Evaluation) 수업 설계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s and types of cross-cultural collaborative online learning that enhance the utilization of advanced ICT in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educational exchanges between countries, and suggest exchange learning design models necessary f...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은 ICT를 기반으로 언어적,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학생, 교사, 현장전문가 간의 상호작용과 협력을 촉진함으로써 지식을 탐구하고 구성해가는 구성주의 학습 원리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개념 및 특징, 국내외 사례, 유형을 고찰하여 이를 토대로 현장에서의 손쉬운 활용을 돕고자 수업 설계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수업 설계모형의 활용도를 높이고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을 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앞서 언급했듯이 비실시간 수업모형의 수업계획과 수업평가는 실시간 수업모형과 같은 내용이므로 앞에서 언급한 실시간 모형의 내용으로 대체하고, 달라지는 부분인 수업준비와 수업교류의 내용만을 제시하고자 한다.
  • 앞에서 살펴본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개념 및 특징, 유형, 수업 진행 시 고려사항 등을 바탕으로 PPIE(Plan-Preparation-Interaction-Evaluation) 수업 설계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PPIE 수업 설계모형은 Chen,S.
  • 이 보고서는 정부가 전국 10개 초·중등학교를 선정하여 미국과 호주의 학교와 자매결연을 하고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교류방법을 활용하여 1년간 공동으로 수업을 진행한 현황 및 성과를 담고 있다.
  • 따라서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에 적합한 수업 설계모형이 제공된다면, 일선 학교현장에서 이러한 교류학습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 고찰을 통해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개념 및 특징을 알아보고, 국내외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유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유형별 수업 설계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 첫째 문화 정체성 영역은 학생들이 문화교류를 통해 얼마만큼 자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고,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실천하려고 노력하며, ‘나’, ‘우리’라는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실시간 교류란? 비실시간 교류는 시차가 커서 실시간 교류를 하기 어려운 국가 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류 방법으로 학생과 학생이 개별적으로 1:1 또는 1:2로 연결되어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학생들은 교류학습을 위해 별도로 만들어진 웹사이트에 등록하고 그곳에서 상대국 학생과 함께 주어진 과제나 문제를 해결해 나가게 되는데, 그과정에서 자료를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하는 등의 활발한상호작용과 협력학습이 일어난다.
CMC의 장점은? 먼저, 원격 화상 수업은 ICT를 활용한 원격화상회의(Videoconference) 형태로 진행되는 실시간 수업방법으로 화상을 통해 이루어지는 면대면 상호작용을 지원하므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학생과 현장 전문가 간의 협력을 지원한다[6,7].CMC(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는 컴퓨터를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일대일, 다대다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다[8,9]. 학생과 교사는CMC를 통해 지식과 정보를 쌓고, 토론을 통해 의견을교환할 수 있다[10].
첨단 ICT와 교육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수업의 장점은 무엇인가?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한 방향 수업에서 첨단 ICT와 교육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쌍방향 수업으로 변화를 촉진하였다. 그로 인해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더욱 생생한 교육 현장과 상황을 경험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수업에서 학생의 역할이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전달받는 지식수용자 입장에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발표 및 토론하는 능동적인 학습자로 바뀌고 있다[1]. 이러한 교육 환경과 학습자의 역할 변화는 언어, 인종, 역사, 종교 등의 문화적 배경이 서로 다른 학생들이, 온라인을 통해 자유롭게 소통하고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온라인 국제교류 협력학습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 M. Reigeluth & R. Joseph. (2002). Beyond technology integration: The case for technology transformation. Educational Technology, 42(4), 9-13. 

  2. S. J. Chen, C. Hsu & E. Caropreso. (2005, October). Cross-cultural collaborative online learning: When the west meets the east.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2(1), 17-35. 

  3. J. Y. Lee et al. (201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the development of tele-collaborative international exchanges for learning. Daegu: Korean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4. S. H. Park. (2015).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influencing learning outcomes of tele-collaborative international exchange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5. J. Y. Lee, Y. M. Koo, M. J. Chei & S. H. Park.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the outcome and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within tele-collaborative international learning exchange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1(4), 149-175. 

  6. C. I. Lim. (2011). The understanding of utilization about distance education and cyber education. Paju: Kyoyookbook. 

  7. O'Rourke, B. (2005). Form-focused interaction in online tandem learning. CALICO journal, 433-466. 

  8. S. C. Herring. (Ed.). (1996).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Linguistic, social, and cross-cultural perspectives (Vol. 39). John Benjamins Publishing. 

  9. I. C. Kim. (2002).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n english education: Future and prospects. The Journal of KACELLS, 7(1), 45-69. 

  10. K. A. Ryu. (2009). The ef ects of cross-cultural videoconferencing on improving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S. J. Kwon. (2008). Effects of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on scripts for building collaborative knowledge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2. J. Y. Won. (2013). Analysis of the students interaction activity system in the CSCL environment. Doctoral dissert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13. S. Y. Kim. (2013). Educational ef ects of connecting classrooms project and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14. H. Y. Jeon & H. W. Lim. (2013). The effects of Korean-Taiwanese students' telecollaboertion on Korean students'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English speaking ability. English Language Teaching, 25(3), 365-386. 

  15. S. K. Yeom & H. Jim. (2009). A case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learning through e-learning international exchange cooperation project: Flying time capsule project. English Language Teaching, 21(3), 263-284. 

  16. T. K. Lee. (2018). Analysis of demands o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of regional governm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4), 201-208. 

  17. http://www.iearn.org. 

  18. http://www.skoolaborate.or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