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방안
Using of Digital Textbook for the Cultivation of Digital Citizenship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111 - 119  

박상훈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학생들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시민성 관련 국내외 연구결과를 고찰하여 디지털 시민성의 정의 및 구성 요소를 분석하였고, 분석내용을 토대로 현장 교사, 교육전문가, 정부 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여 초·중등학생들을 위한 디지털 시민성의 구성 요소, 역량 모델,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수업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의사소통', '디지털 윤리', '디지털 책임감', '디지털 창의성 및 협력' 5가지 구성 요소를 도출하였고,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해 'Triangle competency model'을 구안하였으며, 도출한 디지털 시민성 요소별 디지털교과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중등학생들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use digital textbooks to cultivate digital citizenship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e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digital citizenship and analyzed the definition and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Based on the analysis, w...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제시한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해 초·중등학교에 보급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모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디지털 시민성의 개념 및 핵심 구성 요소를 파악하고 둘째, 학교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시민성 역량 모델을 구안하며, 끝으로 초·중등학생들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기능을 교사와 학생들이 함께 사용하면서 학생들은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자연스럽게 배양하게 된다. 또한 검색한 자료가 공신력을 갖춘 기관에서 제시한 자료인지, TV 뉴스 채널 또는 신문 기사 등이 믿을 수 있는 방송 매체의 자료인지, 전문가의 의견을 자료로 활용할 경우에는 해당 전문가가 충분한 자격을 갖추었는지 등의 기준을 제시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조사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이후 정확하고 신뢰하는 자료로 판단되었을 경우에도 자료를 제시할 때에는 출처와 생산 날짜를 반드시 명기하도록 교육하여 학생들의 디지털 시민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한 개념적 접근을 넘어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수업을 통해 실천할 수 있는 방법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안내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 디지털 시민성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별도의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아닌 학교 현장과 수업 내에서 자연스럽게 배양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더욱 의미 있는 결실을 맺기 위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더불어 제시한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해 초·중등학교에 보급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한 개념적 접근을 넘어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수업을 통해 실천할 수 있는 방법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안내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 디지털 시민성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별도의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아닌 학교 현장과 수업 내에서 자연스럽게 배양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중점을 두었다.
  •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디지털 시민성의 정의와 요소를 토대로 한국의 초·중등학생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시민성의 요소와 현장 적용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시민성 관련 국내외 연구결과를 고찰하여 디지털 시민성의 정의 및 구성 요소를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현장 교사, 교육전문가, 정부 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여 초·중등학생들을 위한 디지털 시민성 구성 요소와 역량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 S. Kim et al. (2017). Exploring the Digital Citizenship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su report RM 2017-6, Daegu: Korean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 S. H. Lee & S. D. Kim. (2009). Preliminary Discussion on the Internet and Digital Civility: Internet Using Pattern and Online-Political-Particip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2(1), 31-58. 

  3. Y. E. Kim. (2010). Information Literacy and Information Ethics,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Information Ethics. Daegu: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4. NIA (2016). Paradigm Shift and Response Strategies in the Age of Intelligentization, IT & Future Strategy, 11. 

  5. ISTE (2016). ISTE Standards for Students, on line: http://iste.org/standard. 

  6. K. M. Park et al. (2018). Why Digital Citizenship Now? National Assembly Education Hope Forum, Daegu: Korean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7. JISC & Helen Beetham. (2016). Developing Student' Digital Literacy, on line: http://www.jisc.ac.uk/guides. 

  8. E. M. Kim & S. E. Yang (2013). The New Citizenship of Digital Natives and the Influence of Network, Korean Journal of Jourlism & Communication Studies, 57(1), 305-334. 

  9. M. Choi. (2015).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Digital Citizenship among Young Adults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10. S. M. Ribble & D. Gerald. (2004). Digital Citizenship Focus Questions for Implementation, Learning & Leading with Technology. 32(2), 12-15. 

  11. M. L. Jones & J. K. Mitchell. (2015). Defining and measuring youth digital Citizenship, New Media & Society, 18(9), 2063-2079. 

  12. Common Sense Media. (2009). Digital Literacy and Citizenship in the 21st Century. A Common Sense Media Write Paper. Common Sense Media. 

  13. H. Jenkins et al. (2009). Confront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MIT press. 

  14. H. J. Song & E. T. Jeong. (2018). A Study on the Copyright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Digital Imag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303-308. 

  15. H. S. Lee. (2019). Educational Implications of Media Education in the Digital Era in Fra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6), 140-145. 

  16. S. H. Park. (2018). Research on Instructional Design Models for Cross-Cultural Collaborative Online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1-9. 

  17. https://st.edunet.net/viewCntl/dtIntro?in_divnedu 

  18. http://mn.kbs.co.kr/news/view.do?ncd413573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