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청소년의 돈내기 게임 경험과 문제도박의 관계에서 성별 및 학교급별 차이 비교
Comparisons by gender and school type in the association between betting games and problem gambling among adolesc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0, 2018년, pp.523 - 530  

이재경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예방홍보부 연구개발팀) ,  이래혁 (순천향대학교 향설나눔대학) ,  장혜림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돈내기 게임과 문제도박의 관계를 검증하고, 성별 및 학교급별 차이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5년 청소년 도박문제 실태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중 지난 3개월 동안 돈내기 게임 경험이 있는 3,653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온라인 돈내기 게임 경험은 중위험 도박 수준과 문제성 도박 수준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온라인 돈내기 게임이 문제도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성별 차이를 살펴보면, 남학생 집단의 문제도박 가능성이 여학생 집단보다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별 차이의 경우 고등학생 집단이 중학생 집단보다 온라인 돈내기 게임의 경험으로 인한 문제도박의 가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온라인 돈내기 게임과 문제도박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 전략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betting games and problem gambling among adolescents, with attention paid to comparisons by gender and school lev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 sample of 3,653 adolescents from the 2015 Survey on Youth Gambling Problems. The main findi...

Keyword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사회환경의 영향을 강조한 것으로 온라인 접근성이 높은 청소년 도박을 이해함에 있어 온라인이라는 매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매체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개입을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문제도박에 대한 온라인과 비온라인 도박 유형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온라인 매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청소년의 일탈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전략과 대책이 요구되는 바,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돈내기 게임 경험이 문제도박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 및 학교급별 차이를 규명하고 온라인 도박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 도박문제의 예방과 개입을 위한 실천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온라인 돈내기 게임과 문제도박의 관계를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가 성별 및 학교급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있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인터넷도박은 합법으로 시작할지라도 병적 도박과 불법 도박 확산의 가능성이 높고[17], 청소년의 불법 도박 사이트 방문경험은 도박문제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8].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에 대한 불법 온라인 도박의 노출을 차단하고, 청소년의 온라인 돈내기 게임 참여를 제한하는 접근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청소년 온라인 돈내기 게임이 사이버일탈의 문제로 볼 수 있는 만큼 인터넷 중독문제와 도박문제를 포괄하는 사이버일탈에 관한 예방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국가차원에서 도박문제의 발생을 예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청소년 도박행동의 연령차이는 차이가 없다는 연구[22]와 연령차이가 있다는 연구[13] 등 선행연구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지점에서 본 연구는 온라인 돈내기 게임과 문제도박의 관계에 대한 것으로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하기 어렵지만 연령이 높은 집단인 고등학생의 문제성 도박 수준이 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중학생에서도 온라인 돈내기 게임이 문제도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도박문제의 저연령화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돈내기 게임을 경험한 청소년의 문제도박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온라인 돈내기 게임 경험은 문제도박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온라인 돈내기 게임 경험이 문제도박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넷째, 온라인 돈내기 게임 경험이 문제도박에 미치는 영향은 학교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 첫째, 본 연구는 돈내기 게임 경험 및 문제도박에 대해 자기기입방식으로 조사되었기에 과대 또는 과소 추정의 가능성이 있다. 둘째, 도박과 같은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그 원인이 다양하다. 하지만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사용하였기에 청소년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원인을 확인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방식의 돈내기 게임이란 무엇인가? 온라인 방식의 돈내기 게임은 온라인 도박, 인터넷 도박, 사이버 도박, 원격도박 등과 혼용된 용어로 현실 공간 혹은 오프라인에서 도박으로 간주되는 행위가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이라는 가상공간에서 전자화폐나 전자금융 거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4]. 선행연구에 의하면 청소년이 인터넷을 통한 여가활동을 하면서 내기를 하게 되면 인터넷 공간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도박행동임을 인지하지 못한 채 행위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문제성 도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6].
현대의 청소년이 문제도박의 위험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그 범위는 음란물의 노출부터 사이버폭력에 이어 도박까지 확대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2]. 특히, 현대의 청소년은 디지털 세대로서 온라인 도박의 노출 및 온라인 돈내기 게임에 대한 접근이 수월하여 문제도박의 위험이 높다[3]. 본 연구에서 문제도박은 중독으로의 진행이 의심되는 중위험 수준 도박과 높은 중독 수준인 문제성 도박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박문제는 심각도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도박문제는 도박의 심각도에 따라 세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심각도가 낮은 순서대로 유희성 도박(recreational gambling) 혹은 사교성 도박에서 문제성 도박 혹은 습관성 도박(habituational gambling)으로 발전되며, 최종적으로는 병적도박 단계에 이르게 된다[9]. 청소년의 도박 문제는 국내외에서 그 수준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는데, 국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도박이 사교성 도박이 아닌 문제성 도박비율이 성인보다 4배 이상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 연구에서도 돈내기 등 도박을 경험한 청소년의 비율이 50%를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Munhwailbo. (2018. 06. 22). Over 190,000 youths use internet or smartphones.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06220071221326001 

  2. S. R. Bae, N. S. Park, K. H. Baek & E. H. Go. (2017). A study on the types of cyber-deviations in youth. Sejong: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3. J. D. Parker, R. N. Taylor, J. M. Eastabrook, S. L. Schell & L. M. Wood. (2008). Problem gambling in adolescence: Relationships with internet misuse, gaming abuse and emotional intelligence. Personality & Individual Dif erences, 45(2), 174-180. DOI: 10.1016/j.paid.2008.03.018 

  4. K. H. Kim, S. J. Kwon & S. J. Kim. (2010). Problems and issues of Internet gambling.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2), 187-202. DOI: 10.17315/kjhp.2010.15.2.001 

  5. R. E. Denton & C. M. Kampfe.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ariables and adolescent substance abuse: A literature review. Adolescence, 29(114), 475-495. 

  6. M. D. Griffiths. (2003). Internet gambling: Issues concerns, and recommendations. Cyberpsychology & Behavior, 6(6), 557-568. DOI: 10.1089/109493103322725333 

  7. H. J. Shaffer & M. N. Hall. (2001). Updating and refining prevalence estimates of disordered gambling behaviour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Journal of Public Health, 92(3), 168-172. 

  8. J. Y. Chang. (2011). Evaluating the SOGS-RA and identifying influential factors. Doctoral dissertation, Bucheon: The Catholic University. 

  9. H. J. Shaffer, M. N. Hall & J. Vanderbilt. (1999).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disordered gambling behavior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 research synthesi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9(9), 1369-1976. 

  10. T. L. MacKay. (2005). Betting on youth: Adolescent Internet gambling in Canada. Niagara Falls, ON: Discovery. 

  11. T. G. Ladd & N. M. Petry. (2002). Disordered gambling among university-based medical and dental patients: A focus on Internet gambling.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16(1), 76-79. 

  12. H. Breen & S. Gainsbury, (2013). Aboriginal gambling and problem gambling: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11, 75-96. 

  13. Y. K. Kim. (2012).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gambling behavior.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23(2), 31-55. 

  14. Korea Center on Gambling Problems. (2015). 2015 survey on youth leisure and culture. 

  15. J. Tremblay, R. Stinchfield, J. Wiebe & H. Wynne. (2010). Canadian Adolescent Gambling Inventory(CAGI): Phase III Final Report, Canadian Consortium for Gambling Research. 

  16. S. Bae, N. Park, K. Beak & E. Ko. (2017). A study on juvenile cyber devianc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17. S. Kwon, C. Lee, K. Kim & S. Kim. (2010). Dysfunction of legalized internet gambling: Exploring the risk of pathological gambling and possibility of spread to illegal gambling.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2), 215-225. DOI: 10.17315/kjhp.2010.15.2.003 

  18. S. J. Kwon, K. Kim, H. Seong, M. Lee & S. Kang. (2007). Illegal internat gambling: Problems, risk factors, and prevention strategi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1), 1-19. DOI: 10.17315/kjhp.2007.12.1.001 

  19. J. Y. Cho. (2010). Rethinking the regulation of suggestive advertising for juvenile protection: Focusing on the meaning of 'suggestive advertis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145-150. DOI: 10.15207/JKCS.2018.9.2.145 

  20. W. J. Lynch, P. K. Maciejewski & M. Potenza. (2004). Psychiatric correlates of gambling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grouped by age gambling onset.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1, 1116-1122. DOI: 10.1001/archpsyc.61.11.1116 

  21. S. Ellenbogen & J. Derevensky. (2007). Gender differences among adolescents with gambling-related problems. Journal of Gambling Studies, 23, 133-143. DOI: 10.1007/s10899-006-9048-y 

  22. H. J. Kim. (2009). A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3. T. K. Hyun. (2018). A study on the effects of early adolescents' developmental environment on their delinquent behavior: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a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4), 271-283. DOI: 10.15207/JKCS.2018.9.4.27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