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BIM 표준의 현황과 특성에 관한 사례 분석
A Case Study of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IM Standard in China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8 no.3, 2018년, pp.20 - 30  

신규철 (계명대학교 건축토목학부 건축공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ndard for BIM in Construction of China was released in 2017. The Unified Standard for BIM of China also took effects on 2017. The BIM standards of China needs to be compared with those related guidelines of Korea to fin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for future development of BIM applicati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4장에서는 모델구조와 확장에 대하여 규정하는 내용은? 제4장에서는 모델구조와 확장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모델, 하위모델은 모델구조체계에 따라 데이터를 편집하고 저장할 것을 요구하여 모델데이터의 일치성과 정확성을 명확히 요구하고 있다.
BIM통일표준은 중국 BIM모델의 전 생애주기 각 단계에서의 무엇을 규정하나? BIM통일표준은 중국 BIM모델의 전 생애주기 각 단계에서의 모델링, 공유, 사용 등에 대하여 규정하였고 중국에서 첫번째 건축정보화의 표준으로서 기본요구를 제시한 표준으로써 건축정보화연구와 관련 표준제정의 근거로 될 수 있다고 하였다. 후속 건축정보화 관련 국가표준은 본 표준을 토대로 작성되어야 함을 의미하므로 핵심원칙만 규정되어 있고 세부사항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
P-BIM은 무엇인가? BIM통일표준으로서 BIM 활용 전체의 기반에 되는 용어와 개념에 대해서 정리를 하고 있는데 특히 2장의 용어정리 부분에 sub-BIM, P-BIM (Practice based BIM Model) 등의 용어를 제정하여 향후 다양한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리한 점이 유의할 점으로 보인다. P-BIM은 다른 나라와 달리 새로 제안된 개념으로서 공정실무 기반으로 건축정보모델응용방식이라는 뜻이며 중국 각 표준 및 법규 등 실정에 맞추어 나간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IK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6). BIM Guideline for Architectural Design Drawing. http://www.aikkbc.or.kr/ (Jun. 15. 2018). 

  2. Autodesk-Junglim Architects. (2016). BIM Guidebook-Architecture. http://http://www.bimguidebook.co.kr/ (Jun. 15. 2018). 

  3. China Academy of Building Research. (2016). Unified Standard for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GB/T 51212-2016),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p. 1-34. 

  4. China State Construction Engineering Corporation. China Academy of Building Research. (2017). Standard for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Construction(GB/T51235-2017),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pp. 1-44. 

  5. Chen, C., Kim, J. H. & Kim, J. J. (2016). Analysis of the Application Problems and Promotion of BIM in China for Successful use of BIM Technology, Journal of KIBIM, 6(1), pp. 81-82. 

  6. Kim, M. W. & Ock, J. H. (2014). A study on Frame the Build for BIM Guideline Development of Focus to Construction Delivery,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p. 265-266. 

  7. Kim, Y. H.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BIM Guidelines for Practical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pp. 1-75. 

  8.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16). Ex-BIM Guideline v.1.0, http://kibim.or.kr/ (Jun. 15. 2018). 

  9. Lee, J. S. & Ock, J. H. (2015). A Fundamental Study for Development of the Korea BIM Execution Guid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5(1), pp 481-482. 

  10. Li, T. (2011). Study on Strategic Directions for Developing BIM Guideline in China based on Comparison of BIM Standards and Guidelines among USA,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p. 1-59. 

  11. Lim, J. K. & Park, J. D. (2015). A Study on the LOD of Collaborative Process for Planning BIM Execu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50), pp. 158-165. 

  12.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0). BIM Application Guide for Architecture. http://kibim.or.kr/(Jun. 15. 2018). 

  13. Pan. T. & Wang X. (2017). Review on the research of BIM standards at Home and Abroad, Journal of Engineering Management, 31(1), pp. 1-5. 

  14. Peng, L., Cheng, C. T., Kim, J. H. & Kim, J. J. (2012).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hina BIM Guideline through the UK BSI BIM Guideline, Journal of KIBIM, 7(1), pp. 91-92. 

  15. Public Procurement Service. (2016). BIM Basic Guide for Facility Project. (V.1.31), http://www.pps.go.kr/ (Jun. 15. 2018). 

  16. Zhang, J. B. (2016). Application Status and development trend of BIM, Innov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91(1), pp. 83-86. 

  17. Zhang, M. & Huang Q. (2017). Introduction to the standard preparation work of the P-BIM series association, Standardization of Engineering Construction, Vol. 5, pp. 4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