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ger-Expression and Ego-Resilience on Teaching Efficac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293 - 302  

강현영 (유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서현아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엄세진 (부산디지털대학교 아동보육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교수효능감을 알아본 후, 각 변인에 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더불어 예비유아교사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12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분노표현, 자아탄력성, 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한 후,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노표현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은 낮아지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 전체가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ger-expression, ego-resilience, and teaching efficacy;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three variables; and lastly, fou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anger-expression' and 'ego-resilience' on their 'teaching efficacy'. 312 pre-service teach...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분노표현이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더불어 예비유아교사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분노를 조절하는 수준이 높아지고 자아탄력성을 회복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하며 예비유아교사가 교수에 대한 신념을 높이고 교육의 질을 높이는 교사로 성장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유아교육과 재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분노표현, 자아탄력성, 교수효능감 설문지의 내용의 이해와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 특히,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분노표현, 스트레스와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융통성 있는 적응능력인 자아탄력성, 교수효능감의 세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이를 심도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분노표현, 회복탄력성 변인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이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더불어 그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래 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고, 교사양성프로그램 및 교직이수과정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pielberger 등[11]이 구분한 분노표현방 식 세 가지는 무엇인가? 유아교사가 역할수행 시 스트레스 상황에서 좌절과 갈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을 때 부정적인 감정인 분노감정이 생길 수 있다. Spielberger 등[11]은 분노표현방 식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는데, 분노를 표현하지 않고 자기 내부로 돌리거나 분노감정을 억누르는 분노억제(anger-in), 분노대상에게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방식의 분노를 표현하는 분노표출(anger-out), 분노감정을 조절하여 적절히 관리하고 표현하려고 노력하는 분노 조절(anger-control)이 그것이다. 분노표현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분노표현의 순기능인 분노조절을 많이 사용한다고 하였고[12], 분노표현에 따라 우울감에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분노억제 또는 분노표출행동이 많을수록 우울감 수준이 높았고, 분노조절행동이 많을수록 우울수준이 낮고 자아 효능감과 사회적 효능감에서는 높은 수준의 결과가 나타났다[13].
자아탄력성이란 무엇인가?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또 하나의 변인으로 자아탄력성을 들 수 있다. 자아탄력성 (ego-resilience)은 스트레스와 같은 문제에 융통성 있게 반응하는 능력[17]이라 볼 수 있으며, 내부와 외부의 스 트레스에 대한 융통성 있는 적응능력이자 자아통제력이라고 정의하였다 [18-19]. 즉, 자아탄력성은 역경이나 어려움 속에서 개인이 자의 힘과 능력을 잃었지만 이전의 적응 수준으로 돌아오고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20].
교사효능감은 유아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교수행위와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볼 때, 교사효능감 증진은 교육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들 중 하나로 제시될 수 있다[5-6].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7];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8]; 또한 교사효능감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이나 교사행동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9]. 교수효능감은 교사가 자신의 교사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직의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와 학습자와의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밝혀졌다[10]. 교사효능감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 직무만족에 관련된 연구이거나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들이 많았으며, 유아교사의 정서적 측면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 J. Kim & H. A. Seo. (2015). The meditating effect of instructional crea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flow in early childhood teacher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5(3), 157-170. 

  2. A. Bandur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US: W H Freeman. 

  3. B. J. Kang, & Y. S. Paik.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burn out and teacher-young children interactions in the mediating effects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eaching efficacy of day care center teachers. Journal of children's , vol. 12, no.1, pp.145-168. 

  4. S. S. Hwang. (2012). Relationship of achievement-goal orientation to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commitment among childcare teacher.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5. S. Song. (2010). Stud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6. H. S. Kim. (2017). The Effect of Infant Teacher's Self Elasticity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on Infant Teacher's Sense of Efficacy. Master's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Incheon. 

  7. M. S. Choi & D. H. Cho. (2015). The Effect of Happines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2(4), 239-256. 

  8. H. I. Hwang., J. H. Tak., & S. H. Hong. (2013). Impact of Resilienc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n Happines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 17(3), 411-432. 

  9. H. Y. Shin. (2004). Effects of teachers' job stress and belief of efficacy on the quality of teachers' interaction behaviors in child care.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Korea. 

  10. Y. R. Kwon., & Y. K. Moon. (2016). An Analysis on Meditating Effect between the Teacher Efficacy and the Job Stress with regard to Child Car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urnover.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 16(1), 99-119. 

  11. C. D. Spielberger., S. S. Krasner., E. P. Solomon.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s.).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 Springer Verlag, USA. 

  12. E. S. Kim. (2011).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anger express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3. J. Y. Han. (2007). The effects of anger expression mode of high school student 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Master's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eoul. 

  14. W. J. Kim. (2014). Influences of anger on social self-efficacy : mediating effects of anger-control and emotional clarification.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Bucheon. 

  15. H. S. Kim.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Anger Management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16. Y. M. Cho., & J. W. Lee. (2017).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nger Expression. 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rulum and Instruction , 17(3), 107-124. 

  17. J. Block. (1982). Assimilation, accommodation, and the dynamics of personnality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53, 281-295. 

  18. E. C. Klohnen.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70(5), 1067-1079. 

  19. M. J. Park. (2018).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Correlation between Child 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Turnover Intention.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20. J. Y. You. (2011). The Effects Ego-resilience and Occupational Stress on Professionalism Awarenes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21. S. J. Lee. (2014).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22. H. S. Lee. (2003). The influenc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ego-resilience on stress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3. S. J. Noh., & K. N. Lee (2015).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job stress, and efficacy of child care and teaching on sensitivity of infant teachers.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14(3), 92-113. 

  24. S. S. Kim. (2012).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s stress coping style and ego-resilience on their happines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3), 65-83. 

  25. D. I. Min. (2007).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s, School Life Health and Ego-Resilience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Korea. 

  26. J. H. Won., & S. B. Lee. (2015). A study on the effect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teachers' happiness.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14(3), 166-193. 

  27. S. R. Kim., & I. S. Choi. (2017).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on ego resilience and teacher efficacy.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12(1), 29-51. 

  28. D. W. Han., K. K. Chon., H. L. Chang., C. D. Spielberger. (1997).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 Anger and Blood Pressur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KPA, vol.2, no.1, pp.60-78. 

  29. O. Atsushi., N. Hitoshi., N. Shinji, & K. Motoyuki. (200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dolescent resilience Scale, Japanese Journal of Counseling Science, vol. 35, pp.57-65. 

  30. L. G., Enochs. & I. M. Riggs.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vol. 79, pp.63-75. 

  31. H. S. Kim. (2011).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Problem-Solving Style -Focused on Future Teacher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5(1), 533-554. 

  32. Y. M. Cho. & J. W. L (2017).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nger Express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3), 107-124. 

  33. M. J. Kim (2000).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degree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he kindergarten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