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on of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1 no.1, 2012년, pp.46 - 54  

이안생 (원광대학교병원) ,  윤치근 (원광대학교 복지.보건학부) ,  이정미 (원광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on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9 nurses in a hospital. We used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 assess the level of ego-resilience, soc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사회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간호사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직무 스트레스 반응으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영향을 파악하고, 간호사의 업무 관련 스트레스 및 정신적 긴장으로 인한 우울에 대한 대처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과 사회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간호사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직무 스트레스 반응으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영향을 파악하고, 간호사의 업무 관련 스트레스 및 정신적 긴장으로 인한 우울에 대한 대처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우울 측정도구는 Radloff (1997)에 의해 개발된 우울척도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를 Chon, Kwon과 Kim (1999)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임상에서 진단이나 치료과정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일반인들이 경험하는 우울증의 증상을 보다 용이하게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이다. 개발 당시 Cronbach's ⍺=.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우울,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는 어떻게 측정하였는가? 사회적 지지는 대상자가 지각하는 조직의 지지와 상사의 지지, 동료의 지지로 측정하였다. 조직의 지지는 Eisenberger, Huntington, Hutchison와 Sowa (1986)에 의해 개발된 측정도구를 Yoon과 Lim (1999)이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개인의 자아탄력성이 높은 경우의 특징은? 최근 이러한 간호사의 업무 관련 스트레스와 정신적 긴장으로 인한 우울을 대처하고 극복하도록 하는 것이 그 상황과 환경에 처한 개인의 심리적 자원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라고 알려지고 있다. 즉, 개인의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매사에 긍정적이고, 호기심이 많으며, 활동적이고 즐거운 감정을 자주 경험하며,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감정은 덜 경험하고 평정심을 잃지 않는다고 하였다(Kim & Min, 2011).
자아탄력성과 사회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 대상자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우울 수준을 파악한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우울 수준을 파악한다. • 대상자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에 따른 우울 수준의 관계를 파악한다. • 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lock, J.,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Development (Vol. 13, pp. 89-10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 Block, J. H.,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2), 349- 361. 

  3. Cho, S. Y., & Lee, J. H. (2010). The effect of ego-resilience and directors' and fellow teachers' social support 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 (4), 29-42. 

  4. Chon, K. K., Kwon, G. D., & Kim, S. G. (1999). An attempt to revise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CES-D: I.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6 (1), 429-451. 

  5.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s stres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 , 99-125. 

  6. Eisenberger, R., Huntington, R., Hutchison, S., & Sowa, D. (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 (3), 500-507. 

  7. Han, Y. M. (2010). The mediation effect of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style on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trengths, ego-resilience and depres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8.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ion-Wesley 

  9. Iacovides, A., Fountoulakis, K. N., Kaprinis, S., & Kaprinis, G.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clinical depression. Journal of Affect Disorder, 75 (3), 209- 221. 

  10. Jung, K. Y., Lee, H. J., Lee, Y. I., Kim, J. L., & Kim, Y. G. (2007). The effects of job stress for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6 (2), 158-167. 

  11. Kawano, Y. (2008). Association of job-related stress factors with psychological and somatic symptoms among Japanese hospital nurse: Effect of departmental environment in acute care hospital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50 (1), 79-85. 

  12. Kim, A. S. (2011). The relationship of hospital employee's job stress,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13. Kim, B. N., Oh, H. S., & Park, Y. S. (2011).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1), 14-23. 

  14. Kim, H. J., & Kim, J. H. (2011).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and depressive symptoms of clinical nurses in a province, Korea.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3), 308-318. 

  15. Kim, H. S., Yim, H. W., Lee, J. Y., Cho, H. Ju., Jo, S. J., & Lee, W. C. (2007). Influence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on state of some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19 (2), 125-134. 

  16. Kim, J. H., & Hyun, M. Y. (2005).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staff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4 (2), 108-117. 

  17. Kim, J. H., Hyun, M. Y., & Kim, S. Y. (2009).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ies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2), 219-231. 

  18. Kim, J. H., Hyun, M. Y., Kim, Y. S., Kim, J. S., Nam, S. O., Song, M. S., et al. (2010). Psycho-social wellbeing, health perception and behavior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 (1), 26-36. 

  19. Kim, J., & Shin, K. R. (2004). A study on depress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adul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 352-361. 

  20. Kim, S. A., & Min, G. H. (2011). Comparison of three resilience scales and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 (2), 223-243. 

  21. Kim, Y. H., & Suh, K. C. (2011).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es, ego-resilience, stress responses, and quality of service among hospital employee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 (2), 329-344. 

  22. Lee, J. H., & Cho, S. Y. (2009). Moderating effects of the childcare teacher's ego-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 (4), 559-570. 

  23. Lee, M. (2011).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f construction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3), 279-288. 

  24. Lee, S. J. (1993). Supportive care activity in hemodialysis patients, depending on how you cope with depression and the effect on quality of lif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5. Min, H. Y., & Gwon, G. N. (2009).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support from social network, ego-resilience, and role conflict of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 (5), 91-99. 

  26. Ock, W. H., & Kim, S. Y. (2001). A study on job stress and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local public service.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5 (4), 355- 373. 

  27. Radloff, L. S. (199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 385-401. 

  28. Seo, M., Kang, H. S., & Lee, H. J. (2004). Relationship among english competency anxiety, burden, and social support in Korean nurses preparing for the NCLEX-R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 (3), 257-264. 

  29. Yoon, J., & Lim, J. C. (1999).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workplace: The case of Korean hospital employees. Human Relations, 52 (7), 923-945. 

  30. Yoon, S. H. (2009).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clinical nurses -Using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5 (3), 463-4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