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 구강사정 도구개발
Development of an Oral Health Assessment Tool for Critically Ill Patient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3, 2018년, pp.12 - 22  

김진희 (두원공과대학교 간호학과) ,  박경숙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methodological study develops an oral health assessment tool for critically ill patients. Method : From February 15 to April 30, 201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 at two general hospitals and three medical and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 구강사정 도구개발 시 구강사정 도구에 관한 기존 문헌고찰과 함께 중환자실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10명을 대상으로 중환자의 구강사정 방법과 사정 시 어려운 점 등에 관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개별 인터뷰는 중환자실 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중환자 구강사정 경험과 요구도를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기존에 이미 많은 구강사정 도구들이 개발되었으나 임상에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중환자를 위한 구강사정 도구를 개발하기에 앞서 도구를 사용하게 될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구강사정 방법이나 구강사정 수행도에 대한 경험을 사전에 조사하여 구강사정 도구 개발 시 그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사료되어 실시하였다.
  • 그러므로 호흡기계 감염이 있는 중환자와 호흡기계 감염이 없는 중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 구강사정 도구를 사용한 구강사정 점수의 판별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예비 중환자 구강사정 도구의 변별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중환자실 입실 후 폐렴이 발생한 대상자의 입실 시 구강사정 점수와 폐렴 발생 시점의 구강사정 점수 간의 점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입실 시와 폐렴 발생 시의 중환자 구강사정 점수의 평균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t=-8.
  • 또한 중환자에게 투여되는 약물과 치료적 시술은 중환자의 구강상태를 수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 구강상태의 변화 가능성 때문에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지 못하고 관찰자 간 일치도와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관찰자 간 percent agreement가 모두 80% 이상으로 조사되었으며, Kappa statistics 또한 모든 항목에서 .
  • , 1995), Barnason 등(1998)의 구강사정 도구, OHAT (Charlmers, King, Spencer, Wright, & Carter, 2005), Oral Cavity Assessment Tool (Stout, Goulding, & Powell, 2009)의 6가지 구강사정 도구를 분석하여 입술, 점막, 치아, 타액의 총 4가지 사정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 구강사정 도구개발 시 구강사정 도구에 관한 기존 문헌고찰과 함께 중환자실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간호사 10명을 대상으로 중환자의 구강사정 방법과 사정 시 어려운 점 등에 관한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개별 인터뷰는 중환자실 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중환자 구강사정 경험과 요구도를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 마지막으로 개발된 중환자 구강사정 도구의 변별타당도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준거 타당도와 달리 변별타당도를 구하기 위한 정해진 실험설계 또는 통계방법은 따로 없다.
  • 본 연구는 중환자 구강사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2013년 8월 15일부터 10월 9일까지 기존 문헌고찰과 간호사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문헌고찰 시 지금까지 개발된 구강사정 도구들 중 본 연구의 대상자인 중환자나 이와 비슷한 취약군 환자인 노인과 암환자를 대상으로 1979년부터 2009년까지 개발된 도구 중 타 연구에서 신뢰도나 타당도가 분석된 적이 있는 구강사정 도구인 OAS (Beck, 1979), OAG (Eilers et al.
  • 본 연구는 질환이나 치료적 시술로 인해 의식수준이 저하된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구강사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도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 DeVellis (2003)가 제시한 도구개발 절차에 근거하여 설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스스로 구강관리가 불가능한 중환자의 구강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구강사정 도구를 개발하고 검정함으로써 객관화된 중환자 구강사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 특히 중환자의 구강상태는 다른 대상자들에 비해 매우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으므로 간호사에 의한 중환자의 구강사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스로 자신의 구강상태를 표현하거나 관리할 수 없는 중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객관화된 구강사정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의 상태적 특성을 고려한 중환자 구강사정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의 객관적인 검증을 통해 중환자의 구강건강 상태를 체계적으로 사정,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의 특징은? 중환자는 의식상태가 다양하고 질병의 중증도가 높아 간호요구도가 매우 높은 환자군이다. 특히 약물치료나 기관 내 삽관과 같은 치료적 시술을 받는 중환자의 경우, 가장 기본적인 위생간호부터 인공호흡기와 같은 생명유지 장치와 관련된 특수 간호에 이르기까지 간호사의 총체적인 간호 제공이 필요하다.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경우 불결한 구강상태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합병증은?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경우, 구강위생 상태가 청결하지 못하면 메티실린에 저항을 나타내는 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나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호흡기계 병원균들이 치태에 붙어 잠재적으로 집락을 이루고 있고, 이러한 균들이 기관 내 삽관과 같은 구강 내 장치를 따라 폐 내로 침입하여 VAP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를 초래한다(Choi et al., 2013; Munro et al.
불결한 구강상태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의식이 없거나 산소요법을 받는 환자, 기관 내 삽관환자, 경관영양을 하는 중환자들의 경우, 침 분비 자극이 줄어들고 정상적인 타액선의 작용이 일어나지 않아(Cho, 2004) 침에 의한 구강세척이 감소한다. 불결한 구강상태는 통증, 치은염과 같은 질환, 충치, 구취, 구강건조증과 관련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 호흡기계 감염과 폐렴으로 이어진다(Munro & Grap, 2004). 그러므로 중환자의 구강간호는 단지 안위를 제공하는 것 외에 구강 내 균주의 형성을 방지하고, 중환자의 재원 일수나 사망률 감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Munro, Grap, Jones, McClish & Sessler,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s, N. J. (2011). Evidence to support tooth brushing in critically ill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 (3), 242-250. 

  2. Barnason, S., Graham, J., Wild, M. C., Jensen, L. B., Rasmussen, D., Schulz, P., . . . Carder B. (1998). Comparison of two endotracheal tube securement techniques on unplanned extubation, oral mucosa, and facial skin integrity. Heart & Lung, 27(6), 409-417. 

  3. Beck, S. (1979). Impact of a systematic oral care protocol on stomatitis after chemotherapy. Cancer Nursing, 2 (3), 185-199. 

  4. Cason, C. L., Tyner, T., Saunders, S., & Broome, L.;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Nurses' implementation of guideline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6 (1), 28-36. 

  5. Chalmers, J. M., King, P. L., Spencer, A. J., Wright, F. A. C., & Carter, K. D. (2005). The oral health assessment tool-validity and reliability. Australian Dental Journal, 50 (3), 191-199. 

  6. Cho, Y. A., Gu, M. O., Eun, Y., Kim, K. S., Kwak, M. K., Kim, J. H., . . . Noh, H. K. (2015).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7. Cho, W. H. (2004). Comparison of water jet irrigation and gauze cleansing method on oral hygiene for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8. Choi, K. B., Mo, H. S., & Kim, J. S. (2009). Survey of oral health care practices for intubated patients by intensive care unit nurses. Health & Nursing, 21 (1), 1-12. 

  9. Choi, Y. H., Kim, E. K., Park, J. M., Kim, J. Y., Jung, Y. S., Kang, N. K., & Lee, H. K. (2013). The effect of oral care interventions on intensive care unit(ICU)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7 (1), 41-46. 

  10. Dale, C. M., Smith, O., Burry, L., & Rose, L. (2018).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difficulty accessing the mouths of intubated critically ill adults to deliver oral care: An observa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80, 36-40. 

  11. DeVellis, R. F. (2003).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2nd ed.).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2. Dudjak, L. A. (1987). Mouth care for mucositis due to radiation therapy. Cancer Nursing, 10 (3), 131-140. 

  13. Eilers, J., Berger, A. M., & Peterson, M. C. (1988). Development, testing, and application of the oral assessment guide. Oncology Nursing Forum, 15 (3), 325-330. 

  14. Furr, L. A., Binkley, C. J., McCurren, C., & Carrico, R. (2004).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oral care in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8 (5), 454-462. 

  15. Grant, J. S., & Davis, L. T. (1997). Selection and use of content experts in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 (3), 269-274. 

  16. Grap, M. J., Munro, C. L., Ashtiani, B., & Bryant, S. (2003). Oral care interventions in criticak care: Frequency and documenta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2 (2), 113-118. 

  17. Holmes, S., & Mountain, E. (1993). Assessment of oral status evaluation of three oral assessment guid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 (1), 35-40. 

  18. Kayser-Jones, J., Bird, W. F., Paul, S. M., Long, L., & Schell, E. S. (1995). An instrument to assess the oral health status of nursing home residents. The Gerontologist, 35 (6), 814-824. 

  19. Landis, J. R., & Koch, G. G. (1977). Measurement for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33 (1), 159-174. 

  20. Lee, E. O., Lim, N. Y., Park, H. A., Lee, I. S., Kim, J. I., Bai, J. I., & Lee, S. M.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21. Mori, H., Hirasawa, H., Oda, S., Shiga, H., Matsuda, K., & Nakamura, M. (2006). Oral carereduces incidence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ICU populations. Intensive Care Medicine, 32 (2), 230-236. 

  22. Munro, C. L., & Grap, M. J. (2004). Oral health and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State of the science.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3 (1), 25-33. 

  23. Munro, C. L., Grap, M. J., Elswick, R. K. Jr., McKinney, J., Sessler, C. N., & Hummel, R. S. (2006). Oral health status and development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 descriptive stud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5 (5), 453-460. 

  24. Munro, C. L., Grap, M. J., Jones, D. J., McClish, D. K., & Sessler, C. N. (2009). Chlorhexidine, toothbrushing, and preven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critically ill adul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8 (5), 428-437. 

  25. Park, M. H. (2012). Survey on the prevalence and intervention of oral mucositis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26. Polit, D. F., & Beck, C. T. (2004). Nursing research: Principles and methods (7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7. Stout, M., Goulding, O., & Powell, A. (2009).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oral care policy and assessment tool. Nursing Standard, 23 (49), 42-48. 

  28. White, R. (2000). Nurse assessment of oral health: A review of practice and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Nursing, 9 (5), 260-26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