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집중치료실 퇴실환자의 비계획성 재입실 예측 인자를 규명하기 위한 사례대조군 연구
Case Control Study Identifying the Predictors of Unplanned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 After Discharge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3, 2018년, pp.45 - 57  

박명옥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오현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unplanned intensive care unit (ICU) readmission. Methods : The study adopted a Rretrospective case control cohor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844 patients who had been discharged from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집중치료실로부터 퇴실한 환자들 중 비계획성 재입실이 이루어진 환자들을 사례군으로, 그리고 비계획성 재입실이 이루어지지 않은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계획성 재입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비계획성 재입실 예측모형 및 유의한 예측변수들의 기준점(cut-off)을 제시하여 집중치료실로부터의 표준화된 퇴실기준 및 간호중재 방안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집중치료실에서 일차 퇴실한 이후 발생한 비계획성 재입실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후향적 코호트 연구설계를 적용한 사례대조군 연구이다.
  • 따라서 비계획성 재입실이 이루어진 환자들과 비계획성 재입실이 이루어지지 않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동안의 연구들을 통해 제시된 포괄적인 영향요인들을 포함하여 비계획성 재입실의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 나무모형 분석을 통해 의료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집중치료실 재입실의 간명한 예측모형을 구축하는 한편, 재입실에 대한 예측변수들의 구체적인 기준점(cut-off)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집중치료실로부터의 안전한 퇴실기준 마련 및 비계획성 재입실 고위험 대상자를 위한 간호중재 방안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즉 본 연구 결과에서 집중치료실 재입실에 대한 유의한 예측변수로 제시된 것은 다른 변수들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이 개입된 상태에서 유의한 영향을 보인 변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치료실 재입실을 위한 간명한 예측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재입실에 대한 유의한 예측변수들의 기준점(cut-off)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중치료실은 무엇인가? 집중치료실은 특수 의료장비, 설비, 전문 인력 등 많은 자원이 필요로 되는 곳이며 이러한 자원은 무한정 투입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집중치료실의 효율적인 이용은 현대 의료체계에서 매우 중요한 관심사가 되어 왔다(Kim, Y. & Kim, K.
집중치료실로의 비계획성 재입실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단순히 집중치료실의 재원기간만 감축시켜 집중치료실의 효율성을 높이려 한다면 비계획성 재입실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Cho, 2014). 집중치료실로의 비계획성 재입실은 치료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조기퇴실, 퇴실 후 일반병동에서의 불충분한 치료, 환자의 예기치 못한 합병증 발생이나 상태 악화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러한 비계획성 재입실은 환자의 사망률, 집중치료실의 재원기간, 의료비용의 부담을 증가시키고 의료 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는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Choi, 2006; Han, Koh, & Lee, 2003; Kramer, Higgins, & Zimmerman, 2013; Rosenberg & Watts, 2000).
비계획성 재입실이 만드는 부정적인 결과를 막기 위한 국내외의 해결방안은? 이러한 이유로 외국에서는 집중치료실 재입실률을 의료기관의 질을 평가하는 공식적인 지표들 중 하나로 포함하는 등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고 있으며(Rhodeset al., 2012), 국내의 경우도 2014년 이후 48시간 이내의 집중치료실 재입실률을 집중치료실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항목 중 하나로 포함하고 있다(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6). 그 외 비계획성 재입실을 예방하기 위해 집중치료실 연계간호사 제도를 도입하여 집중치료실로부터 일반병동으로 전실 하는 환자들을 관리하고 일반병동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한편(Niven, Bastos, & Stelfox, 2014)조기 대응팀 제도를 적용하여 급격히 상태가 악화되는 환자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하게 치료 및 관리하는 전략들이 적용되고 있다(Linton, Grant, Pellegrini, & Davidso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thonisen, N. R. (2009). Retrospective studies. Canadian Respiratory Journal, 16 (4), 117-118. 

  2. Brown, S. E., Ratcliffe, S. J., Kahn, J. M., & Halpern, S. D. (2012). The epidemiology of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5 (9), 955-964. 

  3. Cho, J. (2014). What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 means.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2 (2), 83-84. 

  4. Choi, E. Y. (2006).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of readmission to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5. Choi, J. H., Kang, H. C., Kim, E. S., Lee, S. K., Han, S. T., & Kim, M. K. (2002). Prediction and excess of data mining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Seoul: SPSS Academy. 

  6. Elliott, M. (2006). Readmission to intensive car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ustralian Critical Care, 19 (3), 96-104. 

  7. Gajic, O., Malinchoc, M., Comfere, T. B., Harris, M. R., Achouiti, A., Yilmaz, M., & Farmer, J. C. (2008). The stability and workload index for transfer score predicts unplanned intensive care unit patient readmission: Initi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Critical Care Medicine, 36 (3), 676-682. 

  8. Han, D. W., Koh, S. O., & Lee, M. W. (2003). Clinical features and risk factors of patients readmission to ICU.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44 (1), 78-83. 

  9. Hardy, K. A., Bach, J. R., Stoller, J. K., Hill, N. S., Make, B., Celli, B. R., & Leger, P. (1994). A review of airway clearance: New techniques, indications, and recommendations. Respiratory Care, 39 (5), 440-455. 

  10.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ata. (2016). The quality assessment of ICU. Retrieved May 16, 2016, from https://www.hira.or.kr/download.do?src...14.pdf&fnm2016 _14.pdf.pdf 

  11. Hosein, F. S., Bobrovitz, N., Berthelot, S., Zygun, D., Ghali, W. A., & Stelfox, H. T. (2013). A systematic review of tools for predicting severe adverse events following patient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units. Critical Care, 17 (3), R102. 

  12. Huh, M. H., & Lee, Y. G. (2008). Data mining modeling and case (2nd ed.). Seoul: Hannarae. 

  13. Kim, K. S., & Kim, K. H. (2010). A prediction model for internet game addiction in adolescents: Using a 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3), 378-388. 

  14. Kim, S. E., & Kim, S. A. (2013). A predictive model of depression in rural elders-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 (3), 442-451. 

  15. Kim, Y. J., & Kim, K. S. (2013). Risk factors of unplanned readmission to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19 (2), 265-274. 

  16. Kim, B. Y. (2015). Predictors of protective factors for depression in adolescent using decision making tree analysi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 (5), 375-385. 

  17. Kramer, A. A., Higgins, T. L., & Zimmerman, J. E.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ICU readmission rate and outcomes. Critical Care Medicine, 41(1), 24-33. 

  18. Lee, J. Y. (2008).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for ICU readmission as a quality indicat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9. Linton, S., Grant, C., Pellegrini, J., & Davidson, A. (2009). The development of a clinical markers score to predict readmission to pediatric intensive care.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5 (6), 283-293. 

  20. Lin, W. T., Chen, W. L., Chao, C. M., & Lai, C. C. (2018). The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of the patients with unplanned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s. Medicine, 97 (26), e11124. 

  21. Niven, D. J., Bastos, J. F., & Stelfox, H. T. (2014). Critical care transition programs and the risk of readmission or death after discharge from an ICU: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ritical Care Medicine, 42(1), 179-187. 

  22. Ofoma, U. R., Chandra, S., Kashyap, R., Herasevich, V., Ahmed, A., Gajic, O., & Farmer, C. J. (2014). Findings from the implementation of a validated readmission predictive tool in the discharge workflow of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nnals of the Ame- rican Thoracic Society, 11(5), 737-743. 

  23. Ponzoni, C. R., Correa, T. D., Filho, R. R., Serpa Neto, A., Assuncao, M. S., Pardini, A., & Schettino, G. P. (2017). Re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Incidence, risk factors, resource use, and outcome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Annal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14 (8), 1312-1319. 

  24. Rhodes, A., Moreno, R. P., Azoulay, E., Capuzzo, M., Chiche, J. D., Eddleston, J., & Kuhlen, R. (2012). Prospectively defined indicators to improve the safety and quality of care for critically ill patients: A report from the task force on safety and quality of the european society of intensive care medicine (ESICM). Intensive Care Medicine, 38 (4), 598-605. 

  25. Rosenberg, A. L., & Watts, C. (2000). Patients Readmission to ICUs: A systematic review of risk factors and outcomes. Chest, 118 (2), 492-502. 

  26. Rosenberg, A. L., Hofer, T. P., Hayward, R. A., Strachan, C., & Watts, C. M. (2001). Who bounces back? Physiologic and other predictors of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 Critical Care Medicine, 29 (3), 511-518. 

  27. Song, D. H., Lee, S. G., Kim, C. G., Choi, D. J., Lee, S. I., & Park, S. K. (2003). Unplanned readmission to intensive care unit during the same hospitalization at a teaching hospit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10 (1), 28-41. 

  28. Wong, E. G., Parker, A. M., Leung, D. G., Brigham, E. P., & Arbaje, A. I. (2016). Association of severity of illness and intensive care unit readmission: A systematic review. Heart & Lung, 45 (1), 3-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