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양집중지원에 따른 결과 비교 - 내과계 중환자실 대상으로 -
Effect of Nutrition Support Team Management - Focusing o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3, 2018년, pp.108 - 119  

임완순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  이윤미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evaluated the nutritional status and effect of nutritional support team (NST) management in critically ill patients. Methods : From January 2015 to August 2017, the study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128 patients aged above 19 years admitted to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의 무기록을 검토하여 영양집중지원 유무에 따른 영양상태 평가, 욕창 위험도 및 욕창 발생률,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내과계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의 영양집중지원 현황을 파악하고 NST의 영양집중지원 유무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여 NST의 역할 및 영양집중지원의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의 영양상태를 파악하고 영양집중지원팀의 영양집중지원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의 영양상태 평가, 욕창 위험도 분류 및 욕창 발생률,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여 NST의 역할 및 영양집중지원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 중환자의 특성상 중증질환으로 인해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비정상적인 영양소 손실, 대사율이 증가하여 에너지와 단백질의 요구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Ziegler, 2009). 본 연구에서는 알부민과 총 단백질에서 NST군과 Non-NST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 NST군이 Non-NST군 보다 감소율이 적어 중환자에게 영양집중지원의 관심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영양집중지원 유무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양집중지원팀 수가 적용 이후를 기점으로 내과계 중환자실(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집중지원팀의 지원 유무에 따른 영양상태평가, 임상적 결과, 욕창위험도 사정과 욕창발생률을 비교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유는 내과계와 외과계를 포함한 전체 중환자실을 대상으로 영양집중지원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Kim & Yi, 2014; 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환자실 입원한 환자의 영양불량이 미치는 영향은? 이처럼 입원환자의 영양불량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영양공급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특히 중환자실 입원한 환자의 영양불량은 여러 장기의 기능을 저하시켜 약물의 대사 및 상처의 치유에도 변화를 일으키며 면역기능을 약화시켜 감염 발생률을 증가시킨다(Woien & Bjork, 2006). 또한 호흡근의 약화로 인공호흡기의 의존도를 높여 중환자실 재실 기간에 영향을 주게 되며 이로 인해 합병증의 발생이 높아지고 질병의 악순환은 계속되어 결국 의료비 상승과 연관된다(Correia & Waitzberg, 2003; Woein & Bjork, 2006).
주치의의 영양공급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필요한 이유는? 이는 Lee (2016)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로 영양집중지원을 통해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량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에너지와 단백질 공급량의 부족은 중환자의 영양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임상적인 예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줌으로 영양지원의 공급률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중환자의 영양불량은 43~88%까지도 보고되고 있다(Barr, Hecht, Flavin, Khorana, & Gould, 2004). 따라서 중환자의 경우 담당 주치의에 의해 영양집중지원 처방되므로 주치의의 영양공급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필요하겠다.
중환자의 영양지원 경로 중 경장영양의 장점은? 경장영양은 정맥영양보다 고도의 의료기술이 덜 요구되며, 보다 생리적이고, 경제적이다(Prittie & Barton, 2004). 또한 중환자에게 장관 휴식은 장의 구조와 기능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경장영양을 통해 환자의 소화기관을 이용하게 함으로써 소화기관의 완전성을 유지하고, 항체 생성과 관련한 면역학적인 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어 경장영양을 권장하고 있다(Prittie & Barton, 2004). 따라서 영양집중지원팀이 에너지와 단백질 공급만이 아닌 환자에게 맞는 영양공급 방법도 고려함으로 그 역할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berda, C., Gramlich, L., Jones, N., Jeejeebhoy, K., Day, A. G., Dhaliwal, R., & Heyland, D. K.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intake and clinical outcom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Results of an international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Intensive Care Medicine, 35 (10), 1728-1737. 

  2. Bak, S. J., Yun, S. J., Kang, E. H., & Hong, S. K. (2010, August). Enteral nutrition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supply statu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Seoul. 

  3. Barr, J., Hecht, M., Flavin, K. E., Khorana, A., & Gould, M. K. (2004). Outcom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an evidencebased nutritional management protocol. Chest, 125 (4), 1446-1457. 

  4. Braden, B. J., & Maklebust, J. (2005). Preventing pressure ulcers with the braden scale: An update on this easy-to-use tool that assesses a patient's risk.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5 (6), 70-72. 

  5. Correia, M. I., & Waitzberg, D. L. (2003). The impact of malnutrition on morbidity, mortality, length of hospital stay and costs evaluated through a multivariate model analysis. Clinical nutrition, 22 (3), 235-239. 

  6. Do, Y., Cho, M., Kim, M., Kim, J., & Lee, S. (2010). Parenteral nutrition support and NST management in ICU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 Enteral Nutrition, 3 (1), 54-60. 

  7.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4). Coverage standards of therapy by nutrition support team. Retrieved September 1, 2018, from http://www.hira.or.kr/rd/insuadtcrtr/InsuAdtCrtrPopup.do?mtgHmeDd20140730&sno3&mtgMtrRegSno0044 

  8. Kawai, M., Hirono, S., Okada, K., Sho, M., Nakajima, Y., Eguchi, H., . . . Yamaue, H. (2016).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ancreaticojejunostomy versus stapler closure of the pancreatic stump during distal pancreatectomy to reduce pancreatic fistula. Annals Surgery, 264 (1), 180-187. 

  9. Kim, B. H., Kim, H., & Kwon, O. (2018). A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by intensive nutritional support in enteral nutrition patient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1 (2), 132-139. 

  10. Kim, S. J., & Lee, Y. M. (2015). Effect of nutrition support team (NST) management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7 (5), 2647-2660. 

  11. Kim, S. M., & Yi, Y. H. (2014). Nutritional status and support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of Chungbuk C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 (5), 2695-2709. 

  12. Kim, Y. K., Min, J. Y., Song, S. J., Yang, J. A., Park, S. H., Hur, J. W., . . . Kim, K. M. (2014). Characteristic of malnutrition risk patients who admitted in intensive care unit.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Seoul. 

  13. Kitson, A. L., Schultz, T. J., Long, L., Shanks, A., Wiechula, R., Chapman, I., & Soenen, S. (2013).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weight loss in an acute tertiary care setting: Protocol for a pragmatic stepped wedge randomized cluster trial (the PRoWL project).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3, 299-307. 

  14. Korean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2013). Guidelines for nutrition support in the adult critically ill patient. Seoul: Korean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15. Kyle, U. G., Genton, L., & Pichard, C. (2005). Hospital length of stay and nutritional status. Current Opinion in Clinical Nutrition & Metabolic Care, 8 (4), 397-402. 

  16. Lee, Y. J. (2016). Results comparison of nutritional interventions by nutrition support team of ICU enteral nutrition patients (Unpublish mas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7. Lee, J. S., Cho, M. R., & Lee, G. J. (2010). Validation of the developed nutritional screening tool for hospital patient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3 (2), 189-196. 

  18. Lee, S. M., Kim, S. H., Kim, Y. R., Kim, E., Baek, H. J., Lee, H., . . . Shin, C. S. (2012). Nutrition support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6 Korean tertiary teaching hospitals: A national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7 (3), 157-164. 

  19. Lee, S. M., Lee, S. M., & Sin, S. J. (2006, September). The effect of cumulative energy and protein balances on lengths of ventilation and ICU stay in critically ill patient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Seoul. 

  20. Moon, S. S., Lim, H., Choi, J. W., Kim, D. K., Lee, J. W., Ko, S., & Kim, D. C. (2009). Analysis of nutritional support status in the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4 (3), 129-133. 

  21. Pablo, A. R., Izaga, M. A., & Alday, L. A. (2003).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on hospital admission: Nutritional score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7 (7), 824-831. 

  22. Park, K. W., Son, H. R., Kim, J. H., Kim, M. H., & Choi, E. J. (2016). The Effects of early enteral nutrition in patients: A role of nutrition support team.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 (2), 66-70. 

  23. Prittie, J., & Barton, L. (2004). Route of nutrient delivery. Clinical Techniques in Small Animal Practice, 19 (1), 6-8. 

  24. Reuben, D. B., Greendale, G. A., & Harrison, G. G. (1995). Nutrition screening i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43 (4), 415-425. 

  25. Takashi, H., Akihiro, I., Toshio, I., Miyo, M., & Shugo, M. (2005, June). Nutritional support team; The present status of nutritional support team in Japa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Seoul. 

  26. Weijs, P. J., Stapel, S. N., de Groot, S. D., Driessen, R. H., de Jong, E., Girbes, A. R., . . . Beishuizen, A. (2012). Optimal protein and energy nutrition decreases mortality in mechanically ventilated, critically ill patient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cohort study.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36 (1), 60-68. 

  27. Woien, H., & Bjork, I. T. (2006). Nutrition of the critically ill patient and effects of implementing a nutritional support algorithm in ICU.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 (2), 168-177. 

  28. Ziegler, T. R. (2009). Parenteral nutrition in the critically ill patient.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1 (11), 1088-10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