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산 시판 머루 와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Domestic Commercial Meoru Win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5, 2018년, pp.703 - 711  

박혜진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와인연구소) ,  박정미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와인연구소) ,  한봉태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와인연구소) ,  최원일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와인연구소) ,  노재관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와인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domestic commercial meoru wines, 8 kinds of wines were purchased from the Korea Wine Festival in 2016 and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8 domestic w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며, 2016년 충북 영동에서 개최한 대한민국 와인축제장에서 판매된 제조원이 다른 8개의 머루 와인을 구입하여 와인의 일반적인 품질 특성과 기능성 성분 및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보고하여 과학적인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아황산은 주로 와인을 만들 때 항산화제이고, 항균제로 사용되며(Graham HF 1993), 발효 중 포도 머스트에 존재하는 물질들의 추출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Jackson RS 2008). 와인의 아황산에는 유리 아황산과 결합 아황산이 있으며, 유리 아황산이 acetaldehyde, pyruvicacid, 폴리페놀류 등과 결합하여 결합 아황산이 되는데, 결합 아황산은 효모의 생육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미생물에 대한 저해활성도 거의 없다. 따라서 미생물의 저해활성은 유리 아황산량과 관련 있는 것이다(Graham HF 199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레드 와인의 주요 파이토케미컬은 무엇인가? 국내의 1인당 연간 와인 소비량은 1 L 정도로 레드 와인이 70% 이상을 차지하는데 약 80%를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레드 와인의 주된 phytochemicals로서 proanthocyanidin, resveratrol, flavonol 등의 폴리페놀 물질이 밝혀진 바 있다(Frankel 등 1993). 국내에서도 Campbell Early, MBA(Muscat Bailey A)와 같은 적포도 품종으로 제조한 레드 와인의 품질특성에 관하여 보고된 바 있지만(Yook 등 2008, Hwang &Park 2009), 머루 와인의 전반적인 품질 특성에 관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머루란 무엇인가? 머루(Korean wild grape, Vitis cognetiea)는 포도과에 속하는 넝쿨성 목본식물로 한국, 일본 등지에 야생으로 많이 자라고있으며, 최근 머루 가공품 생산을 위해 이를 재배하는 농가가 늘고 있다. 성숙한 머루 열매는 크기가 8 mm 내외로 포도보다 작고, 짙은 흑자색을 띄며, 신맛이 강한 편이나, 다량의 무기질과 유기산, 비타민류가 풍부하여 머루즙이나 머루주형태로 음용되고 있다(Hwang & Ahn 1975).
시판 머루와인의 향기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98%가 분석되었다. 머루 와인의 향기 성분 분석 결과, 검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총 35종이며, 알코올류는 7종, 에스테르류는 16종, 산류는 5종, 테르펜류는 3종, 기타 화합물은 4종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merin MA, Roessler EB, Ough CS. 1965. Acid and the acid taste. I. The effect of pH and titrable acidity. Am J Enol Victic 16:29-37 

  2. Amerine MA, Ough CS.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pp.176-180. John Wiley & Sons 

  3. Bauer R, Dicks LMT. 2004. Control of malolactic fermentation in wine: A review. S Afr J Enol Vitic 25:74-88 

  4. Beelman, RB, Gallander JF. 1979. Advance in Food Research. vol. 25. pp.1-2. Academic Press Inc 

  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81:1199-1200 

  6. Chang EH, Jeong ST, Park KS, Yun HK, Roh JH, Jang HI, Choi JU. 2008a. Characterisitcs of domestic and imported red wines. Korean J Food Preserv 15:203-208 

  7. Chang EH, Jeong ST, Roh JH, Yun HK, Park KS, Choi JU. 2008b. Effect on wine quality of pre-treatment of grapes prior to alcohol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5:824-831 

  8. Chang EH, Jeong ST, Yoh JH, Jeong SM, Lee HC, Choi JU. 2010. Wine quality properties with reference to the temperature of grape-must prior to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7:608-615 

  9. Chang EH. 2010. Deacidification effect of Campbell Early wine by carbonic maceration treatment.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 Daegu. Korea 

  10. Cheng GW, Breen BJ. 1991. Activity of phenylalanyl ammonialyase (PAL) and concentrations of anthocyanins and phenolics in developing strawberry fruit. J Am Soc Hortic Sci 116:865-869 

  11. Cheong C, Rhee IS, Lee SK, Kang SA. 2008. A study on the qualitative properties of traditional sake using allbangga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784-791 

  12. Choi SH, Kwak EJ. 2012. Volatile flavor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of Yakju fermented with different contents of Meoru (Vitis coignetia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2:642-648 

  13. Choi SJ. 2010. The difference of anthocyanin pigment composition and color expression in fruit skin of several grape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7:847-852 

  14. Choi SY, Cho HS, Kim HJ, Ryu CH, Lee JO, Sung NJ. 2006a.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juice and its wine. Korean J Food Nutr 19:311-317 

  15. Choi Y, Yu KW, Han NS, Koh JH, Lee J. 2006b.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commercial red w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1286-1290 

  16. Drinkine J, Lopes P, Kennedy JA, Teissedre PL, Saucier C. 2007. Ethylidene-bridged flavan-3-ols in red wine and correlation with wine age. J Agri Food Chem 55:6292-6299 

  17. Frankel EN, German JB, Kinsella JE, Parks E, Kanner J. 1993. Inhibition of oxidation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by phenolic substances in red wine. Lancet 41:454-457 

  18. Garde-Cerdan T, Ancin-Azpilicueta C. 2007. Review of quality factors on wine aging in oak barrels. Trends Food Sci Technol 17:438-477 

  19. Graham HF. 1993. Sulfur dioxide and wine microorganisms. In Wine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pp.373-393. Harwood Academic Publishers 

  20. Heo JY, Um NY, Jeong ST, Park YS.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wine from 'Cheongsan (Vitis amurensis)' grape cultivar. J Korean Soc Int Agric 28:237-242 

  21. Hwang JK, Ahn SY. 1975. Studies on the anthocyanins in wild vines. J Korean Agric Chem Soc 18:183-193 

  22. Hwang SW, Park HD. 2009. Characteristics of red wine fermentation of freeze-concentrated Campbell Early grape juice using various wine yeasts. Korean J Food Preserv 16:977-984 

  23. Jackson RS. 2008. Chemical constituents of grapes and wine. In: Wine Science: Principles and Applications, Jackson RS (Ed), Academic Press, Burlington, MA, USA, pp.270-331 

  24. Kang BT, Yoon OH, Lee JW, Kim SH. 2009. Qualitative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having different aging periods. Korean J Food Nutr 22:548-553 

  25. Kim EJ, Kim YH, Kim JW, Lee HH, Ko YJ, Park MH, Lee JO, Kim YS, Ha YL, Ryu CH. 2007.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366-370 

  26. Kim SK. 1996. Deacidification of new wild grape wine. Korean J Food Nutr 9:265-270 

  27. Kim SY, Kim SK. 1997. Winemaking from new wild grape. Korean J Food Nutr 10:254-262 

  28. Lee AR, Park HD. 2011. Effects of roasted Korean oak chip addition on the aging of red wine. Korean J Food Preserv 18:891-897 

  29. Lee HS, Lee TS, Noh BS. 200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593-599 

  30. Lee JE, Shin YS, Sim JK, Kim SS, Koh KH. 2002.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64-169 

  31. Lee JY, Chae SK. 2010. Studies on the changes in the extraction of phenolics and color characteristics by the enzyme treatment of red grape (Muscat Bailey A) win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23:324-331 

  32. Lee NR, Choi SJ. 2009. Contents of resveratrol in different parts of various grape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6:959-964 

  33. Lee SY, Park JD. 2004. Effects of heating temperatures and times on anthocyanin pigments in grape juice. Korean J Food Preserv 11:336-341 

  34. Losada MM, Lopez JF, Anon A, Andres J, Revilla E. 2012. Influence of some oenological practices on the aromatic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of white Verdejo wines. Int J Food Sci Technol 47:1826-1834 

  35. Malacarne M, Bergamo L, Bertoldi D, Nicolini G, Larcher R. 2013. Use of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to create models forecasting the tartaric stability of wines. Talanta 117:505-510 

  36. Matthews A, Grimaldi A, Walker M, Bartowsky B, Grbin P, Jiranek V. 2004. Lactic acid bacteria as a potential source of enzymes for use in vinification. Appl Environ Microb 70:5715-5731 

  37. Moreira JL, Santos L. 2004. Spectroscopic interferences in Fourier transform infrared wine analysis. Anal Chim Acta 513:263-268 

  38. Noh BS. 2005.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using electronic nose and its application in food industry. Korean J Food Sci Technol 37:1048-1064 

  39. Park HS. 2011. The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wi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68-73 

  40.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2002.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590-596 

  41. Yair M. 1997. Concepts in Wine Chemistry. pp.20-27. Wine Appreciation Guild 

  42. Yook C, Seo MH, Lee JW, Kim YH, Lee KY. 2008. Quality properties of wines fermented with domestic new different gra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633-642 

  43. Yoon HS, Park JM, Park H, Jeong C, Choi W, Park J, Kim S.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domestic commercial white wines. Korean J Food Nutr 29:538-5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