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버찌, 아로니아, 마키베리의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비교 연구
Comparison of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erry, Aronia, and Maquiberr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5, 2018년, pp.729 - 736  

이기원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제해종 (삼육대학교 신학과) ,  정태환 (삼육대학교 보건바이오융합학과 대학원) ,  이유림 (삼육대학교 식품생명산업학과 대학원) ,  최재환 (삼육대학교 식품생명산업학과 대학원) ,  황효정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경옥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acilitate development of new food materials by comparing general components,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erry, aronia, and maquiberry. Cherry revealed higher content of water (6.71%), crude protein (4.61%) and crude protein (5.33%) than aronia an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산 버찌가 수입산인 아로니아와 마키베리의 일반성분과 항산화 활성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함으로써 새로운 식품소재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버찌는 수분이 6.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열매임에도 불구하고,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도가 낮은 버찌가 수입산인 아로니아와 마키베리의 일반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함으로써 새로운 식품소재 개발에 도움을 주어 버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찌란? 벚나무(oriental flowering cherry) 열매인 버찌(Prunus pauciflora Bunge)는 검붉은 빛을 띤 핵과의 하나로 한방에서는 야앵화(野櫻花)라고 부리우는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Prunus) 벚나무아속(Cerasus)에 딸린 벚나무․신양벚나무․양벚나무․왕벚나무 등 여러 식물의 열매를 구분하지 않고 부르는 이름이다(Kim 등 2011). 항균, 항염, 항암, 신경통 및 천식에 효과가 있으며, 버찌를 주로 버찌주(酒)로 만들어 먹거나, 효소로 담가서 물에 희석시켜서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ung & Chung 2015).
베리류의 장점은? 또한, 국내에 재배되는 베리류는 복분자, 오디, 블루베리, 블랙베리 및 아로니아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 기능성 베리류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국적으로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있다(Choi 등 2017). 베리류에는 안토시아닌 색소,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탄닌 및 유기산 등이 풍부하여 항산화, 항암, 항염 및 심혈관계 질환 등에 도움을 준다고 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Seeram 등2006; Lee 등 2015). 따라서 소비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각종 과실에서 항산화 활성 등과 같은 생리활성을 가지는 화합물을 얻고자 하는 관심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과실이 바로 베리류이다(Shin 등 2006; Ju 등 2007; Jeong 등 2008).
마키베리 열매의 특징은? 칠레에서는 매년 12~3월 사이 열매를 채취하며, 열매는 보라색이고, 지름이 4~6 mm 정도이다(Daum dictionary 2018). 열매는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델피니딘, Delphinidin)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 슈퍼푸드의 하나로 알려졌다(Chung HJ 2016). 마키베리의 기능으로는 지질생성 억제, 항염증, 항산화 등이 보고되고 있다(Rojo 등 2012; Chung HJ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exander B, Browse DJ, Reading SJ, Benjamin IS. 1999. A simple and accurate mathematical methods for calculation of the $EC_{50}$ . J Pharmacol Toxicol Methods 41:55-58 

  2. Choi KS, Kim YH, Shin KO. 2016. Effect of mulberry extract on the lipid profile and liver function in mice fed a high fat diet. Korean J Food Nutr 29:411-419 

  3. Choi SR, Song EJ, Song YE, Choi MK, Han HA, Lee IS, Shin SH, Lee KK, Kim EJ.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berry powder obtained by various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Nutr 30:609-617 

  4. Chung GY, Chung KK. 2015. Herbal Medicine. pp.386-387. Globooks 

  5. Chung HJ. 2014. Comparison of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black chokeberry and blueberry cultivat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349-1356 

  6. Chung HJ. 2016. Comparision of bioactive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onia, blackcurrant, and maqui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1122-1129 

  7. Connor AM, Luby JJ, Tong CBS, Finn CE, Hancock JF. 2002. Genotyp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hocyanin content among blueberry cultivars. J Am Soc Hortic Sci 127:89-97 

  8. Daum Dictionary. 2018. Maqui Berry. Available from http://100. daum.net/encyclopedia/view/47XXXXXd1271 [cited 5 September 2018] 

  9. Horszwald A, Julien H, Andlauer W. 2013. Characterisation of aronia powders obtained by different drying processes. Food Chem 141:2858-2863 

  10.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375-1381 

  11. Jeong CH, Jang CW, Lee KY, Kim IH, Shim KH. 2012.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oysen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450-455 

  12. Ju IS, Kim BC, Lee WS, Kim MJ, Lee BG, An BJ, Kim JH, Kwon OJ, Cho YJ. 2007.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Appl Biol Chem 50:198-203 

  13. Kim HR, Lee JH, Kim YS, Kim KM. 2007.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nzyme activities of Icheon Ge-Geol radish, Ganwha turnip, and Korean radish. Korean J Food Sci Technol 39:255-259 

  14. Kim KH, Jo JE, Lee SA, Yook HS. 2011.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thanolic extracts from flowering cherry(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with various doses of gamma radi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378-1383 

  15. KMFDS [Korea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Analysis report for annual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 in 2016. pp.1-12 

  16. Kwak YH, Kim HS, Choi SJ, Kim DJ. 2010. Substantial estimated availability and NDF-bound trace minerals (Fe, Zn, Cu, and Mn) contents of seven different seaw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078-1082 

  17. Lee JH, Choi JE.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aroni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1071-1076 

  18. Lee KS, Kwon YJ, Lee KY. 2008.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vitamin, mineral and antioxidative effect of the lotus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622-1626 

  19. Lee KW, Kim YH, Shin KO. 2017.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otus (leaf, stem, and seed pod) extracts. Korean J Food Nutr 30:771-779 

  20. Lee Y, Lee JH, Kim SD, Chang MS, Jo IS, Kim SJ, Hwang KT, Jo HB, Kim JH. 2015. Chemical composition funtional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erry fruits produc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1295-1303 

  21. Moyer RA, Hummer KE, Finn CE, Frei B, Wrolstad RE. 2002. Anthocyanins,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diverse small fruits: Vaccinium, Rubus, and Ribes. J Agric Food Chem 50:519-525 

  22. Nam JS, Han YJ, Yeo SM. 2015.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berry juices. Korean J Food Nutr 28: 328-334 

  23. Pulido R, Bravo L, Saura-Calixto F.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dietary polyphenols as determined by a modified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ssay. J Agric Food Chem 48:3396-3402 

  24.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a. Food composition table I. 7 revision. pp.184-186.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DA 

  25.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b. Food composition table II. 7 revision. pp.460-462.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DA 

  2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 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1231-1237 

  27. Rojo LE, Ribniky D, Logendra S, Poulev A, Rojas-Silva P, Kuhn P, Dun R, Grace MH, Lila MA, Raskin I. 2012. In vitro and in vivo anti-diabetic effects of anthocyanins from maquiberry(Aristotelia chilensis). Food Chem 131:387-396 

  28. Seeram NP, Adams LS, Zhang Y, Lee R, Sand D, Scheuller HS, Heber D. 2006. Blackberry, black raspberry, blueberry, cranberry, red raspberry, and strawberry extracts inhibit growth and stimulate apoptosis of human cancer cells in vitro. J Agric Food Chem 54:9329-9339 

  29. Shin DB, Lee DW, Yang R, Kim JA. 2006. Antioxidative properties and flavonoids contents of matured Citrus peel extracts. Food Sci Biotechnol 15:357-362 

  30. Thaipong K, Boonprakob U, Crosby K, Cisneros-Zevallos L, Byrne DH. 2006.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 Anal 19:669-675 

  31. Waterhouse AL. 2002. Wine phenolics. Ann N Y Acad Sci 957:2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