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ed factors of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 self-leadership and academic performanc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5, 2018년, pp.51 - 58  

정인숙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일반적 자기효능감사회적 자기효능감을 포함하는)과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9.0으로 분석한 결과, 적성에 맞추어 입학한 집단, 주관적 학교성적이 높은 집단, 외향적인 집단과 리더십이 높은 집단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연령이 낮은 집단, 외향적인 집단과 리더십이 높은 집단이 유의하게 높았다. 적성에 맞추어 입학한 경우 셀프리더십이 높았고, 여학생과 주관적 학교성적이 높은 집단의 학업수행이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셀프리더십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수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성별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자기 효능감은 학업수행을 10.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반복연구 후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을 돕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related factors of nursing students' self-efficacy(including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self-leadership and academic performa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The general self-efficacy scores of the subjects in who're admitted acco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의 두가지 속성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으로 구분하여 관련요인을 확인하였고, 상호작용개인교수법을 적용한 학과목의 학업수행도를 활용한 점이 다른 연구들과 다른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부 간호대학생만을 대상으로 적용한 학습법의 결과인 학업수행도 만을 다룬 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다.
  • 또한 이론과 실습을 겸하는 복합적인 간호학과정의 목표달성을 위해, 자기 자신에 대한 동기부여를 함과 동시에. 자기 스스로에 대한 통제를 적절히 가하면서 자기주도적인 삶에 임하도록 하는 셀프리더십의 발휘가 필요하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일반적 자기효능감 관련요인은 입학동기, 학교성적, 성격유형 및 리더역량이었고, 연령과 성격유형은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부 임상실습에 임하기 전인 간호학과 2학년 학생들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 관련요인들을 조사함으로써 외부 임상 실습에 임하기 전 간호교육중재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보편적으로 수동적이면서도 의존적이었던 고등학교 때와는 달리 엄청난 변화를 겪게 되는 간호대학생들이 적어도 외부임상실습에 임하기 전에 필요한 노력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는 개인의 신념인 동시에, 상황적이거나 구체적인 자신감이라고 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과, 스스로의 목표성취를 위해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통제하면서 주도적으로 삶을 이끌어가는 셀프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1,4].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및 학업수행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일반적 자기효능감 관련요인은 입학동기, 학교성적, 성격유형 및 리더역량이었고, 연령과 성격유형은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셀프리더십에의 영향요인은 입학동기였으며, 성별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상호작용개인교수법 적용한 학업수행도에 10.
간호대학생들은 어떠한 부분에서 스트레스를 겪을 수 있는가? 간호대학생들은 대학 입학 후, 4년간의 교육과정을 통해 간호중재의 근거를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한 방대한 이론학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간호학과 입학 전 고등학교 과정에서 화학이나 생물과목의 이수여부와 관계없이 입학 직후부터 기초간호과학들을 이수해야 할 뿐 아니라, 다수의 간호학전공과목들을 이수하는 과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과도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한다. 특히 간호학과 3학년 과정에서부터는 간호학 이론학과목과 외부 임상실습 학과목을 병행해야 하고, 임상현장에서는 학생신분으로 대상자에 대한 실제적인 중재와 다학제간 의료팀과의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어야 하는 부담을 갖게 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J. S. Yi & K. A. Kim. (2012).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e Employment Strategie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6(2), 19-39. 

  2. M. A. Kim, K. H. Lee, H. J. Park, E. J. Kim, & I. H. Lee. (2016). Relationships among Irrational Beliefs,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with Four-Year-Course Nursing Freshmen: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2), 1163-1178. http://uci.or.kr/G704-000930.2016.18.2.017 

  3. I. S. Jung.. (2016). The Converging Effects of Complete Science Subjects in High School on the Grades of Basic Nursing Sciences and Major Nursing Subjects of Nursing Students of one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5), 97-106. http://www.riss.kr/link?idA102406554 

  4. A. Bandura. (1994). Self-efficacy, in Ramachaudran(Eds.),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 (4), New Yo가 : Academic Press. 

  5. K. H. Lee. (2014). Effect of REBT counsel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CHA University, Pocheon. 

  6. H. A. Kang & A. Y. Kim.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ocial Self-efficacy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7(2), 263-283. http://www.kepa.re.kr/ 

  7. D. J. Kim & J. S. Lee. (2014).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in major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 244-254.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2.244 

  8. Y. H. Kim & Y. A. Kim. (2016).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9), 589-598. http://dx.doi.org/10.5762/KAIS.2016.17.9.589 

  9. M. J. Kim. (2007). An Inquiry into learner factors influencing the self-leadership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10. J. Y. Choi. (2016).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Eulji University, Daejeon. 

  11. H. Y. Hong. (1995).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2. Y. H. Kim, I. S. Kweon, K. D. Kim, K. M. Park, H. S. Park, H. S. So, W. S. Lee, K. s. Chang, B. R. Jeong & E. H. Choi. (2016).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 Cases in nursing education. Seoul : Fornurse. 

  13. S. Y. Lee & Y. Y. Kim. (2016).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309-318. http://www.policy.or.kr 

  14. H. K. Cho & I. S. Jung. (2018).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freshme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45-52.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331760 

  15. M. O. Kim. (2016). Study 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6), 609-617. http://data.riss.kr/sam_lod/resource/DomesticArticle/103299328 

  16. J. Kim & O. B. kim. (2016). Gender Difference in Academic Achivement, Perceived Learning Outcomes, Self-directed Learning Engagements, and Social Interactions among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10), 63-72. www.sersc.org/journals/AJMAHS/vol6_no10_2016/6.pdf 

  17. J. Y. Park. (2017). Prediction of students' self-leadership on learning satisfaction :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flow.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