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판내부 지진기록을 사용한 국내 지반의 지반운동 증폭특성 규명 및 토사지반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의 제안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Overseas Intraplate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Korean Soil and Standard Horizontal Design Spectrum for Soil Sites 원문보기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22 no.7, 2018년, pp.391 - 399  

이진호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김정한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 ,  김재관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ite coefficients in the common requirements for seismic design codes, which were promulgated in 2017, were reevaluated and the standard design spectrum for soil sites were newly proposed in order to ensure the consistency of the standard design spectra for rock and soil sites specified in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7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는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2] 중이 연구와 연관된 사항에 대해 현황을 서술하고자 한다. 우선 공통적용사항에서는 우리나라의 지반을 Table 1과 같이 6종류로 분류하고, Table 1의 지반종류 중 암반지반에 해당하는 S1 지반에 대하여 Fig.
  • 하지만, 내진설계 공통적용사항에서 제시하고 있는 암반지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형상에서 이미 평균+표준편차로 고려되어있으므로 지반증폭계수에서도 평균+표준편차의 값을 사용하면 보수성이 과도해 질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사항에 대해서는 내진공학 전문가, 공무원, 설계 및 시공회사 등 이해 당사자들의 합의를 통해 결정할 사항으로 판단되어, 이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는 포함하지 않고자한다.
  • 암반지반과 토사지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의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암반지반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을 도출할 때 사용된 판내부 지진운동 기록 55개[3]를 사용하여 토사지반의 지반증폭계수와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을 도출하고자 한다. 사용된 55개 지진의 규모와 거리 분포, 그리고 각 지진기록의 응답스펙트럼, 중앙값(median) 또는 50 백분위수(50th percentile) 응답스펙트럼, 84.
  • 하지만, 2017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은 암반지반과 토사지반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간의 일관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암반지반과 토사지반에서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의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토사지반에서의 지반증폭계수를 재산정하고 이를 토대로 토사지반에서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을 새로이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지반운동기록으로는 2017년 암반지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을 도출할 때 사용된 국내외 판내부 지진기록 55개를 사용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암반지반과 토사지반에서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의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토사지반에서의 지반증폭계수를 재산정하고 토사지반에서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작성 방법을 새로이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반운동기록으로는 2017년 암반지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을 도출할 때 사용된 국내외 판내부 지진기록 55개를 사용할 것이다.
  •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2017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은 암반지반과 토사지반에 대하여 일관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토사지반에서의 지반증폭계수를 재산정하여 암반지반과 토사지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의 일관성을 확보하도록 하고자 한다. 지반증폭계수의 재산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라 이루어졌다.

가설 설정

  • 이 때, 표준관입시험 시 단단한 암질에 도달하여 N치가 50에 이르러도 30 cm 깊이를 관입하지 못할 경우 50타수 이상의 N치는 선형적인 비례관계를 토대로 30 cm 두께 관입 시 N치로 환산하여 사용하였고, 이때 환산 N치는 300까지 적용하였다. 만약, 시추주상도에는 연암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N치가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거나 표준관입시험이 기반암까지 수행되지 않고 풍화토 또는 풍화암에서 종료되었을 때에는 시추 종료 하부 지반의 전단파 속도를 연암의 전단파 속도인 760 m/s로 가정하였다 [10, 11]. 엄밀한 부지응답해석을 위해서는 공학적 기반암까지 조사를 완료한 시추주상도를 사용하여야 할 것이지만, 이 연구에서는 기존시설물의 기초 및지반 내진성능 평가 및 향상요령[11]에 근거하여 전술한 가정을 사용하였고 이는 현재로서는 가장 합리적인 가정이라고 판단된다.
  • 만약, 시추주상도에는 연암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N치가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거나 표준관입시험이 기반암까지 수행되지 않고 풍화토 또는 풍화암에서 종료되었을 때에는 시추 종료 하부 지반의 전단파 속도를 연암의 전단파 속도인 760 m/s로 가정하였다 [10, 11]. 엄밀한 부지응답해석을 위해서는 공학적 기반암까지 조사를 완료한 시추주상도를 사용하여야 할 것이지만, 이 연구에서는 기존시설물의 기초 및지반 내진성능 평가 및 향상요령[11]에 근거하여 전술한 가정을 사용하였고 이는 현재로서는 가장 합리적인 가정이라고 판단된다. 한편, 식 (1)을 사용하여 지층 구성 시, 이 연구에서는 상부 시험 심도부터 그 아래 시험 심도까지 동일 강성의 지층으로 구성하였다.
  • 여기서 Rsoil과 Rrock은 각각 토사지반과 암반지반에서의 진원거리를 의미하는데, 원거리 지진을 가정하여 이 두 거리는 동일하다고 가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지반증폭계수를 산정하기 위해 식 (2)에서 사용한 적분구간은 조형익 등[12]의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적분구간과는 차이가 있는데, 이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안한 것은? 하지만, 2017년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은 암반지반과 토사지반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간의 일관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암반지반과 토사지반에서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의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토사지반에서의 지반증폭계수를 재산정하고 이를 토대로 토사지반에서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을 새로이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지반운동기록으로는 2017년 암반지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을 도출할 때 사용된 국내외 판내부 지진기록 55개를 사용하였다.
다양한 시설물의 내진설계를 위해 시설물에 작용하는 지진하중을 산정할 때 필요한 것은? 다양한 시설물의 내진설계를 위해서는 시설물에 작용하는 지진하중을 산정하기 위한 설계응답스펙트럼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내진설계기준연구(II)에서 내진설계를 위한 설계응답스펙트럼을 최초로 제안하였고[1], 이를 보완한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이 2017년 7월 1일부터 사용되고 있다[2-5].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간의 일관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을 확인하는 방법은? 하지만, 다수의 지진공학자들에 의하여 지적되었듯이 2017년 표준설계 응답스펙트럼은 암반지반과 토사지반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 간의 일관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단주기 지반증폭계수 Fa와 장주기 지반증폭계수 Fv를 1로 가정하였을 때 토사지반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이 암반지반의 표준설계응답스펙트럼과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을 통해 쉽게 확인이 가능하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EESK, KICT. The Research of Seismic Design Code(II).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1997. 37 p. 

  2.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Common Requirements for Seismic Design Codes [Internet].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2017 Apr 17 [cited 2018 Sep 30]. Available from: http://www.mpss.go.kr/home/policy/policy/dataBoard/0001/?boardIdbbs_0000000000000041&cntId8636&modeview&category%EC%9E%AC%EB%82%9C%EA%B4%80%EB%A6%AC%EC%8B%A4. 

  3. Kim JK, Kim JH, Lee JH, Heo TM.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 horizontal design spectrum based on the domestic and overseas intraplate earthquake record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6;20(6):369-378. 

  4. Kim JK, Kim JH, Lee JH, Heo TM.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 vertical design spectrum based on the domestic and overseas intraplate earthquake record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6;20(6):413-424. 

  5. Heo TM, Kim JH, Lee JH, Kim JK. A Study on the Damping Correction Factors for the Korean Standard Design Spectrum.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7;21(1):1-14. 

  6. Kim JK, Kim JH, Lee JH, Heo TM. Response Spectra of 2016 Gyeongju Earthquake and Comparison with Korean Standard Design Spectra.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7;21(6):277-286. 

  7. Heo TM, Kim JH, Lee JH, Kim JK. Response Spectra of 2017 Pohang Earthquake and Comparison with Korean Standard Design Spectra.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8;22(3):129-137. 

  8. Geotechnical Information DB system. Available from: http://www.geoinfo.or.kr 

  9. Sun CG, Kim HJ, Chung CK. Deduction of Correlations between Shear Wave Velocity and Geotechnical In-situ Penetration Test Data. EESK J. Earthq Eng. 2008;12(4):1-10. 

  10. Cho HI, Satish M, Kim DS. Site Classification and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Code Provisions - (I) Database and Site Response Analyse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6;20(4):235-243. 

  11. Guidelines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s of Soils and Foundations Supporting Existing Structures. Korea Infrastructure Safety & Technology Corporation. c2012. 

  12. Cho HI, Satish M Kim DS. Site Classification and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Code Provisions - (II) Proposal.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6;20(4):245-256. 

  13. User's Manual for ProShake. EduPro Civil Systems, Inc. 

  14. ASCE. Minimum Design Loads and Associated Criteria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ASCE/SEI 7-16. c201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