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4 no.2, 2018년, pp.80 - 87  

이경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안지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다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문승연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홍진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n North Korean defectors (NKD).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300 NKDs registered in the multi-regional adaptation center (Hana Center), within t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3년 이내에 남한으로 입국한 300명의 북한 이탈 주민을 대상으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와 관련된 외상사건의 특성 및 정신상태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 북한 이탈 주민의 평생 유병률은 15.
  • 본 연구는 표준화된 진단 도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PTSD 유병률을 산출하여 남한일반인구와 비교한 첫 번째 연구이며, 경험한 외상 사건의 빈도 및 유형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발병과의 관계를 파악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PTSD 유병률이 15.
  •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적으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진단 도구인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이화 CIDI)를 이용하여 북한이탈주민에서도 정신건강실태를 평가하고, 같은 연도에 이루어진 2016년 정신질환실태역학조사 결과와 직접 비교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PTSD 유병률을 산출하여 남한일반인구와 비교해 보고, 경험한 외상 사건의 빈도 및 유형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발병과의 관계, 정신건강 관련 특성 및 공존질환 위험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 직접 비교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PTSD 유병률을 산출하여 남한일반인구와 비교해 보고, 경험한 외상 사건의 빈도 및 유형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발병과의 관계, 정신건강 관련 특성 및 공존질환 위험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북한에서 정신적 외상, 탈북 과정과 정착이라는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에 노출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의 특징을 이해하고, 남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정책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Unification Ministry of Korea. North Korean Defectors Government Policy. Seoul: Unification Ministry of Korea, Department of Settlement Support;2018. 

  2. Jeon WT. Review of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of refugees and perspectives and counterplots in Korean reunification proces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7;36:3-18. 

  3. Ju JN, Young LW, Seok NM, Yip PSF. The impact of indiscriminate media coverage of a celebrity suicide on a society with a high suicide rate: Epidemiological findings on copycat suicides from South Kore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156:56-61. 

  4. Hollifield M, Warner TD, Lian N, Krakow B, Jenkins JH, Kesler J, et al. Measuring trauma and health status in refugees: a critical review. JAMA 2002;288:611-621. 

  5. Kinzie JD, Boehnlein JK, Leung PK, Moore LJ, Riley C, Smith D. The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among Southeast Asian refugees. Am J Psychiatry 1990;147:913-917. 

  6. Lee Y, Lee MK, Chun KH, Lee YK, Yoon SJ. Trauma experience of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01;20:225-229. 

  7. Kim Y, Jeon W, Cho Y.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Recent Migrant North Koreans: A Focus on 2007 Entrants. Unification Policy Research 2010;19:141-174. 

  8. Lee Y, Lee M, Park S. Mental health statu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and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 10-year review of the literature. European Journal of Psychotraumatology 2017;8:1369833. 

  9. Hong CH, Jeon WT, Lee CH, Kim DK, Han M, Min SK.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North Korean Refugee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714-720. 

  10. Robins LN, Wing J, Wittchen HU, Helzer JE, Babor TF, Burke J, et al. The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An epidemiologic Instrument suitable for use in conjunction with different diagnostic systems and in different cultures. Arch Gen Psychiatry 1988;45:1069-1077. 

  11. Lee T, Ahn M-H, Jun JY, Han JM, Lee SH, Hahm B-J, et al. Development of North Korean Version of the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15;54:228. 

  12. Radloff LS. The CES-D Scale.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85-401. 

  13.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3;32:381-399. 

  14. Park SJ, Lee SH, Jun JY, Lee TY, Han JM, Ahn M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orth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NK) Anxiety and Mood 2015;11:54-60. 

  15. Kim H, Lee SH, Jun JY, Lee TY, Han JM, Ahn M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North Korean version (AUDIT-NK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2016;20:68-73. 

  16. Kim JS, Oh MK, Park BK, Lee MK, Kim GJ. Screening criteria of alcoholism by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in Korea. J Korean Acad Fam Med 1999;20:1152-1159. 

  17. Weiss DS. The Impact of Event Scale: Reviseded). In: Wilson JP, Tang CS-k, editors. Cross-Cultural Assessment of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Boston, MA: Springer US;2007, p.219-238. 

  18. Horowitz M, Wilner N, Alvarez W.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 1979;41:209-218. 

  19. Won S-D, Lee SH, Hong JP, Jun JY, Han JM, Shin MN, et al.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North Korea (IES-R-NK).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97-104. 

  20. Eun HJ, Kwon TW, Lee SM, Kim TH, Choi MR, Cho SJ.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5;44:303-310. 

  21. Blake DD, Weathers FW, Nagy LM, Kaloupek DG, Gusman FD, Charney DS, et al. The development of a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J Trauma Stress 1995;8:75-90. 

  22. Kim OS.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J Nurs Acad Soc 1997;27:871-879. 

  23. Connor KM, Davidson JR.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 Anxiety 2003;18:76-82. 

  24. Baek HS, Lee KU, Joo EJ, Lee MY, Choi K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Psychiatry Investigation 2010;7:109-115. 

  25.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The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2016.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2016. 

  26. Fazel M, Wheeler J, Danesh J. Prevalence of serious mental disorder in 7000 refugees resettled in western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Lancet 2005;365:1309-1314. 

  27. Kim SR. Development of trauma scale for North Korean refugee. Seoul: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0. 

  28. Kim S, Kim H, Kim J, Cho S, Lee Y.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Illness and Depression in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011;19:20-27. 

  29. Jeon B-H, Kim M-D, Hong S-C, Kim N-R, Lee C-I, Kwak Y-S, et 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one year. Psychiatry Investigation 2009;6:122-130. 

  30. Kim H. Difference on Complex PTSD and PTSD symptoms according to types of traumatic events in North Korean Refugee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2;31:1003-1022. 

  31. Seo YS, Cho HC, Ahn HY, Lee JS. Traumatic Events Experienced by South Koreans: Types and Prevalenc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2;24:671-701. 

  32. Sack WH, Seeley JR, Clarke GN. Does PTSD Transcend Cultural Barriers? A Study From the Khmer Adolescent Refugee Project.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997;36:49-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