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Resilience of the North Korean Adolescents on their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9, 2017년, pp.395 - 402  

이하원 (총신대학교 산업교육학부) ,  채경희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이 자신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야 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적응유연성이 탈북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남한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청소년(10세-25세)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탈북청소년의 적응 유연성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적응유연성은 자아존중감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탈북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이 특히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청소년 지도사 및 상담사 등의 전문가를 활용하여 전문적인 보호 및 지원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the adaptive flexibility of North Korean adolescent defectors in order to examine how they should see themselves and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and analyzedthe effect of their resilience on their self-esteem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The study subjects were 223 Nor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남한사회 적응 및 학교적응에 관련된 것들이며, 탈북청소년들이 사회적 관계망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한사회에서 다양한 문제를 겪고 살아갈 탈북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문제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이론적 기여점이 있다 하겠으며, 이러한 변인 들이 탈북청소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해냄으로써 탈북청소년들의 적응에 있어 보다 새로운 지원방향 및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의 적응문제를 별도로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가족단위로 탈북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탈북자 가운데 청소년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탈북자 정부지원정책은 대부분 성인 탈북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상황으로[2]. 아직까지 탈북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또한 대부분의 탈북청소년에 대한 연구들이 실태조사에 그치거나 포괄적인 영역으로 그 주제를 다루다 보니 탈북청소년이 남한에 정착하기 위한 정확한 대책이나 지원정책이 없이 적응하게 되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이다. 따라서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의 적응문제를 별도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자아존중감이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하여 가치 있다고 믿는 유능 함과 중요함의 감정, 느낌과 생각 등을 의미한다. 즉, 자아존중감은 자기에 대한 가치 평가로써 살아가는 데에 있어서 삶을 긍정적으로 만들어주는 원천이 될 수 있다.
적응유연성과 보호 요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적응유연성은 흔히 보호요인의 개념과 중복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적응유연성이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것을 의미한다면, 보호요인은 적응유연성 결과가 나오도록 영향을 미치는 과정요인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호요인은 위험상황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영향력을 중재하거나 완화시켜 문제행동이 유발될 수 있는 확률을 낮추는 변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inistry of Unification, North Korean defectors' policy, http://www.unikorea.go.kr/(Search date: July 20, 2017) 

  2. Y. L. Jung, S. H. Yoo,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Thinking Changes Experienced by North Korean Youth Refugees during the Adjustment to South Korean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vol. 7, no. 1, pp. 51-75, 2014. DOI: https://doi.org/10.14328/MES.2014.03.31.051 

  3. N. H. Oh, Case Study about Adjustment in South Korea of Youth Defector.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3. 

  4. Y. S. Park,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djustment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n South Korea. Doctoral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of Korea, 2006. 

  5. R. R. Greene, C. Galambos, Y. Lee, "Resilience theory: Theoretical and professional conceptualization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ol. 8, no. 4, pp. 75-91, 2004. DOI: https://doi.org/10.1300/J137v08n04_05 

  6. E. J. Anthony, B. J. Cohler, The invulnerable child. Guilford Press., 1987. 

  7. M. Stewart, G. Reid, C. Mangham, "Fostering children's resilience",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vol. 12, no. 1, pp. 21-31, 1997. DOI: https://doi.org/10.1016/S0882-5963(97)80018-8 

  8. D. Saleebey, "Community development, neighborhood empowerment, and individual resilience",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vol. 3, pp. 228-246, 2002. 

  9. S. H. Oh, "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ce in Poverty: Exploration of Resil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vol. 21, pp. 181-205, 2006. 

  10. S. Coopersmith,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Consulting Psychologists Pr., 1967. 

  11. S. J. Kang, Self-Power Program Developement To Empower Saeteomins. Doctoral Thesis, Hongik University of Korea, 2009. 

  12. J. A. Park,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resilience, job stressor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organization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of Korea, 2012. 

  13. H. J. Kim,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sreem on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of north Korean youths in South Korea.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of Korea, 2008. 

  14. J. A. Park,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resilience, job stressor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organization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of Korea, 2007. 

  15. J. S. Kim, A study on factors that effecting social integration of north Korean immigrant.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of Korea, 2006. 

  16. R. E. Mayer, M. C. Wittrock, "Problem solving",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 pp. 287-303, 2006. 

  17. H. H. Perlman, Social casework: A problem-solving proces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 

  18. T. J. D'Zurilla, A. M. Nezu, "Social problem solving", Advances in Cognitive-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vol. 1, pp. 201-274, 1982. DOI: https://doi.org/10.1016/B978-0-12-010601-1.50010-3 

  19. K. N. Eum, A Study about the adjustment of the North Korean Teenagers in South Korea: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of Korea, 2001. 

  20. C. H. Jang, "Social Work Approach for the Adjustment of children and Youth from Nor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vol. 5, pp. 203-235, 2001. 

  21. T. J. D'Zurilla, A. M. Nezu, "Problem-solving therapy", Handbook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ies, vol. 3, pp. 197-225, 2010. 

  22. M. S. Kim, A study on the resilience as influential factors to juvenile delinquents' stress.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of Korea, 2002. 

  23. M. S. Park,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Immigrant Women's Self-Esteem and Resilience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y Happines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1, no. 5, pp. 393-402, 2011. DOI: https://doi.org/10.5392/JKCA.2011.11.5.393 

  24. B. Y. Baeck,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esteem, Sociality, School resilience to create the social capital of adolescence. Doctoral Thesis, Han Young Theological University of Korea, 2012. 

  25. S. M. Moon, Y. S. Hwang, "Effects of internal developmental assets program on school resilience in high school girl students", Korean Journal of Touth Studies, vol. 13, no. 3, pp. 49-77, 2006. 

  26. H. A. Kim, S. H. Kim, "Development of a Resilience Scale for Dislocated North Koreans in South Korea",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8, no. 1, pp. 63-83, 2007. DOI: https://doi.org/10.15703/kjc.8.1.200703.63 

  27. H. Lee, H. I. Jo, "A Study for Development of the Resilience Scale of Korean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vol. 16, no. 2, pp. 161-206, 2005. 

  28. M. Rosenberg,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DOI: https://doi.org/10.1515/9781400876136 

  29. J. H. Kim, A study on how the spinal cord injury family function influences the self-esteem of their adolescent.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of Korea, 2001. 

  30. A. Maydeu-Olivares, T. J. D'Zurilla, "A factor-analytic study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Inventory: An integration of theory and data",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 20, no. 2, pp. 115-133, 1996. DOI: https://doi.org/10.1007/BF02228030 

  31.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 1173, 1986.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