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위생교육인증평가를 위한 평가인증 우선순위 결정
Determining priorities for evaluation accreditation to assess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8 no.5, 2018년, pp.643 - 652  

김창희 (충청대학교 치위생과) ,  성미경 (마산대학교 치위생과) ,  이선미 (동남보건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systems used to evaluate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to establish priorities for the evaluation index for accreditation to enhance competitiveness and facilitate quality control of dental hygiene education. Methods: A survey of priorities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청회 과정에서 치위생교육의 질 보장을 위한 시스템 구축의 의견수렴에서 평가지표의 객관성과 체계적인 지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위생 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치위생학교육평가원의 평가인증의 지표를 재정립하고 평가인증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자 한다. 이에 평가인증 기준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제고함으로써 치위생학교육평가인증 체계에 대한 정책적 합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평가인증의 지표를 재정립하고 평가인증 항목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의 양질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2017년 11월부터 1개월 동안 치위생(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를 통하여 치위생학 교육이 체계화된 교육과정과 환경을 마련하고 사회적 책무를 갖고 사회가 요구하는 질 높은 치과위생사를 배출하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치위생(학)과의 모든 대학에 설문을 보냈으나 일부 조사가 되지 않는 대학도 있어서 모든 교수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위생 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치위생학교육평가원의 평가인증의 지표를 재정립하고 평가인증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자 한다. 이에 평가인증 기준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제고함으로써 치위생학교육평가인증 체계에 대한 정책적 합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평가인정제도는 무엇인가? 고도로 정보화된 사회에서 고급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고등교육 분야의 개혁과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는 더욱 커지고 대학의 사회적 책무도 증대하여 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하나가 대학평가원인정제도이다[2]. 대학평가인정제도는 고등교육 기관들 간의 질적 차이를 줄이고 교육의 질을 일정한 수준까지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색된 평가제도이다[3].
각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운영주체인 인증원에서는 어떤 일을 하고 있는가? 2009년에 고시된 「고등교육 평가.인증 인정기관 지정기준(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26호)」에 따라 이제 각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운영주체인 인증원 등은 인정기관으로 지정받아[4] 하나의 직역에서 대학교육에 대한 평가원을 만들고 같은 직역을 교육하는 국내의 모든 대학교육의 질을 일정 정도 수준 이상으로 표준화하여 자신의 직역에 대한 질 관리를 하고 있다[5]. 우리나라에서 직역별 평가인정을 하는 분야는 의료학문분야에서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 한국간호교육평가원, 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 한국한의학교육평가원, 한국수의학교육인증원이 있고, 일반학문분야에서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 한국경영교육인증원,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한국무역교육인증원, 한국교육개발원이 있다[6].
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의 2007년 설립 이후 운영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은 치의학 기본교육프로그램 인증평가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2007년도에 설립되었다. 2009년 2월 1주기 인증평가 시작 전에 서울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과 강릉대학교 치과대학의 협조를 얻어 예비 인증평가를 실시하였으며, 2010년부터 2012년까지 1주기 국내 11개 전체 치과대학(원)에 대한 인증평가를 모두 마쳤다. 2015년 1월 프로그램 평가·인증 인정기관 심사를 통해 교육부로부터 치의학 프로그램(치과대학, 치의학전문대학원)의 교육역량을 심사하여 인증해 주는 역할을 담당할 [치의학 프로그램 평가 · 인증기관]으로 지정받았다[9]. 이러한 운영과정 중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간호사는 2017년부터는 평가인증을 받은 대학 출신에 대해서만 면허시험을 제한하는 법안을 2012년 발표하여 실제로는 의료인이 되고 싶은 사람은 반드시 평가인증을 받은 대학의 졸업생이어야 한다는 것을 교육법이 아닌 의료법으로 강제화하고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KJ, Shin DE. A study on the criteria of six academic discipline evalution areas based on the system theory. J Ped Edu 2012;19(1):157-81. 

  2. Yang EB. A study on the validity of accreditation standards for medical schools in Korea [Doctor dissertation]. Seoul: Univ. of Yonsei. 2000. 

  3. Gelmon SB. Can educational accreditation drive interdisciplinary learning in the health professions?. J on Quality Improvement 1996;22(3):213-22. 

  4. Park NG. Suggestions for the program acceditation system. J Edu Admin 2003;21(1):269-90. 

  5. Chae SH, Noh HJ, Jeong GW, Kim HN, Maeng HM, Cho YS, et al. Research on dental hygieniests' clinical skill proficiency in core dental hygiene competency. J Korean Soc Dent Hyg 2016;16(5):651-60. https://doi.org/10.13065/jkdhs.2016.16.05.651. 

  6. Song GH. Prospect of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and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ertification. The Korean Acad Soc Nurs Edu 2013;7-14. 

  7. Seo DJ.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000;2(1):57-69. 

  8. Jung KJ, Chin YR, Kim HG, Kim CM, Song YY, Kim SY, et al. Direction of the community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focusing on the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criteria. J Korean Acad Comm Health Nurs 2016;27(2):183-92.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2.183. 

  9. Kim KN, Kim YJ, Kim JA, Kim JY, Kim KK, Lee JI, et al. The present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the Korean dent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present and future. J Korean Dent Assoc 2015;53(3):201-15. 

  10. Ahn DS. Improvement measures and present condition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 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5;13(2):38-44. 

  11. Lim KY, Kim MG, Kim YC, Park WK, Ahn DS, Lee JA. Improvement measures of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Seoul: Korean Med Assoc; 2011: 1-166. 

  12. Lee YM, Yoon TY, Kim SY, Roh HR, Park SY, Park JY, et al. Development of outcome measurement toolkits in basic medical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Seoul: Korean Medical Associaton; 2018: 1-185. 

  13. Kim MJ. Critical review of the influence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n nursing education. Korean Soc Nurs Sci 2011:9-31. 

  14. Commission on Dental Associtation(CODA). [Cited 2018 Jun 30]. Availiable from: http://www.ada.org/en/coda. 

  15. Bae SM, Shin SJ, Jang JH, Chung WG, Mun SJ. Implementation of assesment in a competency-based dental hygiene science education. Cheonan: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2014: 1-118. 

  16. Lee MS, Yeon DY, Shin KR,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Public hearing for Korean dental hygiene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Seoul: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2014: 1-65. 

  17. Satty, Thomas L. Decision marking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s Sciences 2008;1(1):83-98. 

  18. Hong IS. A study on the priority analysis of environmental assessment indicators for road route alignment [Master's thesis]. Suwon: Univ. Ajou, 2010. 

  19. Lee JI, Kim HH. A study on the prioritization of SNF(Spent Nuclear Fuel) management policy by AHP analysis. J Korean Policy Analysis Evaluation 2015;25(3):133-70. 

  20. Kim KH. Faculty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and effort for the achievement of quality in nursing programs.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2011;13(2):59-68. 

  21. Ha YW, Kim YG, Hawang KJ.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nd AOL evaluation system. Korean Business Review 2011;14(3):251-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