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위생학교육평가·인증체계 정립을 위한 학습성과기반 치위생 핵심역량에 관한 조사
A study on core competence of dental hygiene based on learning outcomes for establishing dental hygiene educa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9, 2020년, pp.65 - 72  

이선미 (동남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장경애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정화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위생학교육평가·인증체계 정립을 위한 학습성과기반 치위생 핵심역량을 파악하고자 치위생(학)과 전임교수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핵심역량별 세부영역에서 전문가적 행동 및 윤리적 의사결정 능력(1영역)과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임상치위생과 임상치과업무의 지식과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2영역)의 전체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사소통 능력 정도(3영역)는 4.48점, 근거중심의 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정도(5영역)는 4.35점으로 나타났다. 핵심역량 세부영역들은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보건의료서비스 직종간의 핵심역량 파악과 임상 실무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e competency of dental hygiene based on learning outcomes for establishing an educational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dental hygiene. The sub-categories of core competencies, the overall score of professional behavior and ethical decision-making...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관평가 인증을 위한 평가의 목적은 대학이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본요건 충족 여부와 교육의 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키고, 기관평가 인증을 통해 지속적인 대학의 질 관리와 학습성과 평가 결과로 인해 교수방법, 학습방법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3]. 이러한 대학평가원인증제도 변화는 치위생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치과의료 현장에서 요구하는 치과위생사를 배출하기 위하여 성과기반 교육 체제를 바탕으로 치위생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치위생학교육평가 인증제도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되었다[5,6].
  • 본 연구는 전국 치위생(학)과 82개 대학의 전임교수를 대상으로 치위생학교육평가 인증체계 정립을 위한 학습성과기반 치위생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체계적인 근거 마련을 위하여 조사하였다. 207명의 치위생(학)과 전임교수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82개 대학 치위생(학)과 전임교수를 대상으로 핵심역량별 세부역량정도와 세부영역별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치위생교육 평가인증을 위한 학습성과기반 치위생 핵심역량의 체계적 근거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평가인증을 위한 학습성과기반 치위생 핵심역량의 체계적 근거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의 목적은?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은 2004년 2월에 설립되어 간호대학의 책무를 다하고 현장에서 요구하는 업무 수행능력과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 양성을 목적으로 간호교육기관 인증평가를 수행하고 있다[3]. 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은 2007년 12월에 설립되어 치의학교육의 질 향상과 치의학교육의 국제적인 상호인정을 목적으로 국제적인 인증 시스템 및 평가를 구축하고, 치과진료의 질을 보장하며, 치과대학의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하여 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의 교육목표를 포함한 각 기관의 교육적 기준, 사회적 맥락과 영향력을 고려하여 다양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4].
치위생학교육평가·인증체계 정립을 위한 학습성과기반 치위생 핵심역량을 파악하는 연구의 결과는? 치위생학교육평가·인증체계 정립을 위한 학습성과기반 치위생 핵심역량을 파악하고자 치위생(학)과 전임교수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핵심역량별 세부영역에서 전문가적 행동 및 윤리적 의사결정 능력(1영역)과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임상치위생과 임상치과업무의 지식과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2영역)의 전체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사소통 능력 정도(3영역)는 4.48점, 근거중심의 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정도(5영역)는 4.35점으로 나타났다. 핵심역량 세부영역들은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보건의료서비스 직종간의 핵심역량 파악과 임상 실무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기관평가 인증을 위한 평가의 목적은? 기관평가 인증을 위한 평가의 목적은 대학이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본요건 충족 여부와 교육의 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키고, 기관평가 인증을 통해 지속적인 대학의 질 관리와 학습성과 평가 결과로 인해 교수방법, 학습방법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한다[3]. 이러한 대학평가원인증제도 변화는 치위생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치과의료 현장에서 요구하는 치과위생사를 배출하기 위하여 성과기반 교육 체제를 바탕으로 치위생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치위생학교육평가 인증제도의 필요성을 제기하게 되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 Y. Kim, Y. S. Kim, S. H. Jung & J. W. Shin. (2014). The necessity for the korean dental hygiene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4(6), 789-794. 

  2. Y. R. Hur & K. H. Lee. (2013). Are medical students being properly cared for a question for the current student advisory advisory program. Journal of Korean Med Educ, 25(3), 221-228. 

  3. H. S. Chang & S. H. Lee. (2012). Establishment, present conditio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new korean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7(S), 61-69. 

  4. B. Y. Park, W. I Bhang, J. Y. Lee, J. J. Ihm & H. B. Kwon. (2019). A studyon the Korean dental education system. J Korean Acad Oral Health, 43(2), 83-91. 

  5. C. H. Kim, M. G. Seong & S. M. Lee. (2018). Determining priorities for evaluation accreditation to assess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8(5), 643-652. DOI : 10.13065/jksdh.20180055 

  6. J. W. Shin & Y. S. Kim. (2014). The present condition,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dental(hygiene)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bstract of the 36th general academic symposium of korean dental hygiene, 61-65. 

  7. J. Y. Lee. (2013). 21st Century learner's core competencies and challenges for korea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hysical Society, 22(4), 13-16. DOI : 10.3938/PhiT.22.014 

  8. M. S. Jung & H. J. Kwon. (2015).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2), 256-265. DOI : 10.5977/jkasne.2015.21.2.256 

  9. Institute of Korean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Evaluation. (2017). Korea Dental Hygiene Education Evaluation Certification Work Manual. 2017. 

  10. L. G. Landry et. al. (2011). Responding to demands to change nursing education: Use of curriculum mapping to assess curricular cont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0(10), 587-590. DOI : 10.3928/01484834-20110630-02 

  11. C. G. Mailloux. (2011). Using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as a framework for curriculum revision,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7(6), 385-389. DOI : 10.1016/j.profnurs.2011.04.009 

  12. J. A. Kim & J. K. Ko. (2015). Modeling core competencies in the competency-based nursing curriculum. J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635-7647. DOI : 10.5762/KAIS.2015.16.11.7635 

  13. Y. I. Park, J. A. Kim, J. K. Ko, M. S. Chung & K. S. Bang. (2013). An Identification Study on Core Nursing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663-674. DOI : 10.5977/jkasne.2013.19.4.663 

  14. J. A. Kim, M.S. Chu, K. J. Kwon, H. K. Seo & S. N. Lee. (2017). Core competencies for new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3(1), 40-53. DOI : 10.22650/JKCNR.2017.23.1.40 

  15. S. K. Lee, S. N. Park & S. H. Jeong. (2012). Nursing core competencies needed in the fields of nursing practice for graduate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n, 18(4), 460-473. DOI : 10.11111/jkana2012.18.4.460 

  16. O. S. Lee & M. O. Gu.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skill, clinical competence &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6), 2749-2759. DOI : 10.5762/KAIS.2013.14.6.2749 

  17. J. Y. Kang & H. S. Kim. (2019). The effect of nursing managers leadership type perceived by nurses on the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through a latent class analysi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JCCT), 5(1), 193-203. DOI : 10.17703/JCCT.2019.5.1.193 

  18. S. Y. Kwak. (2017). Influence of nursing informations competenci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on nursing performance ability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23(2), 146-155. DOI : 10.5977/jkasne.2017.23.2.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