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치위생학 교육 평가인증제도의 필요성
The necessity for the Korean Dental Hygiene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4 no.6, 2014년, pp.789 - 794  

김지연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재)치의학교육평가원) ,  김영숙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한국치위생교육평가원) ,  정순희 (대한치과위생사협회, 한국치위생교육평가원) ,  신제원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재)치의학교육평가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creasing cross-border mobility of dental school or dental hygiene students, educators, practitioners, programs and providers takes challenges for existing national quality assurance and accreditation frameworks and bodies, as well as for the systems for recognizing foreign qualification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평원은 2년간의 예비평가를 거친 후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에 걸쳐 국내 11개 치과대학(원)의 치의학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1주기 인증평가를 완료하였다. 1주기 인증평가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의학교육 인증평가제도가 국제적으로 호환 가능한 평가 및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고, 치과진료의 질을 보장하며, 치과대학의 개선을 장려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그 외 보건의료계 평가기구로 간호교육평가원6) 은 간호전문직의 자율조정기구로서 사회가 요구하는 간호의 책무를 다할 수 있는 능력 있는 간호사 양성 및 간호서비스의 질적 보장을 목적으로 2004년 2월에 법인으로 설립되어 간호교육 기관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증평가를 수행하고 있고, 의학교육평가원7)은 2004년 2월에 법인으로 설립되어 의과대학 교육 평가인증을 위한 국제기준 준수 및 국제적 평가제도 도입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 대학에서 제출한 자체평가보고서의 기술을 통해 교육목적 달성에 적합한 제도를 갖추고 합리적이며 타당하게 운영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 13).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평가인증제의 해외사례와 국내 평가기관의 현황을 살피고 분석하여 치위생학 평가인증제의 발전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또한 인증을 위한 평가의 목적은 평가를 통해 인증 혹은 불인증으로 판정한 결과에 목적을 두지 않고 교육의 질적 수준을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격상하고 유지,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 제도는 평가인증기관에서 만든 인증기준(standards)을 사용하여 자체 평가(self-review)와 동료평가를 통해 각자가 평등하게 책임을 지는 합의 절차를 거쳐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질 개선(Continuing Quality Improvement)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평가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게 되면 인증받은 대학의 졸업생은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성취하였음을 공개적으로 보장(Competency-based Assurance) 받게 된다2).
  • 이를 위해서는 먼저 역량중심 인증체제를 구축하여 평가기준을 만들고 어떤 절차와 방법으로 평가하였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치의학교육 기관의 교육여건과 교육과정의 질적 수준을 고르게 향상시키고 치의학교육의 질 관리와 보장을 위해 노력한 치의학교육평가원에 관하여 살펴보면서 치위생 교육 평가인증제도의 현황 및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이 인증제도의 성공을 위해서 국내외 인증 기구의 인증기준 변화 동향을 파악하고 구성원의 요구와 전문 학회 의견을 수렴하여 국제적 동등성을 보장하는 인증기준 제정과 공표를 통해 효과적인 인증활동을 경험하고 정착시켜야 한다. 치위생학 교육, 연구의 활성화 및 치평원을 비롯한 국내 인증평가원들과의 정보 교류를 통해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여 한다. 인증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홍보와 졸업생에 대한 혜택과 사회적 지원을 증대하고 국가 간 치과위생사 교류에서도 혜택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료평가은 어떤 평가인가? 치위생 교육평가인증제란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가 국가 면허를 취득한 후 실무현장에서 대상자에게 직접 치과의료 직무를 수행할 때 전문직으로서의 실무 역량을 키우는 표준 교육과정과 이를 지원하는 운영체계에 대한 질 보장을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제도적 장치이다. 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는 인증평가는 관련 평가기관이 주관이 되어 상호 동등한 입장과 지위에서 평가하는 동료평가(peer assessment)방식으로 교육의 질에 대한 사회적 공신력을 부여하는 전문적인 평가활동이다1). 또한 인증을 위한 평가의 목적은 평가를 통해 인증 혹은 불인증으로 판정한 결과에 목적을 두지 않고 교육의 질적 수준을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격상하고 유지,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치위생 교육평가인증제는 무엇인가? 치위생 교육평가인증제란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가 국가 면허를 취득한 후 실무현장에서 대상자에게 직접 치과의료 직무를 수행할 때 전문직으로서의 실무 역량을 키우는 표준 교육과정과 이를 지원하는 운영체계에 대한 질 보장을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제도적 장치이다. 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는 인증평가는 관련 평가기관이 주관이 되어 상호 동등한 입장과 지위에서 평가하는 동료평가(peer assessment)방식으로 교육의 질에 대한 사회적 공신력을 부여하는 전문적인 평가활동이다1).
교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는 인증평가는 어떤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인가? 또한 인증을 위한 평가의 목적은 평가를 통해 인증 혹은 불인증으로 판정한 결과에 목적을 두지 않고 교육의 질적 수준을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격상하고 유지,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이 제도는 평가인증기관에서 만든 인증기준(standards)을 사용하여 자체 평가(self-review)와 동료평가를 통해 각자가 평등하게 책임을 지는 합의 절차를 거쳐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질 개선(Continuing Quality Improvement)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평가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게 되면 인증받은 대학의 졸업생은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성취하였음을 공개적으로 보장(Competency-based Assurance) 받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ndaranayake RC. Editorial. Institutional accreditation: a long overdue process. Bulletin of the Kuwait institute for medical specialization 2007; 6: 51-4. 

  2. Chang HS, Lee SH. Establishment, present conditio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new korean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J Korean Med Sci 2012; 27: S61-9. 

  3. Korean law center. the law, higher education act section 2 of Article 11[Internet]. [cited 2014 Aug 18].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A%B3%A0%EB%93%B1%EA%B5%90%EC%9C%A1%EB%B2%95%20%EC%A0%9C2%EC%A1% B0#liBgcolor0. 

  4. Korean law center. the law, medical service act Article 5[Internet]. [cited 2014 Aug 18].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C%9D%98%EB%A3%8C%EB%B2%95#liBgcolor6. 

  5. Korean Institute of Dental Education and Evaluation. Accreditation[Internet]. [cited 2014 Aug 18]. Available from: http://www.kidee.org. 

  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Nursing Education Accredication[Internet]. [cited 2014 Aug 18]. Available from: http://www.kabon.or.kr. 

  7.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Internet]. [cited 2014 Aug 18]. Available from: http://www.kimee.or.kr/new2009. 

  8.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Education & Evaluation. Accreditation[Internet]. [cited 2014 Aug 18]. Available from: http://www.ikmee.or.kr. 

  9. George DK, Peter TE. The state of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in the United States. Higher Education management and Policy 2010; 22(1): 9-28. 

  10.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Handbook on Evalu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2014; 51-79. 

  11. Shin JW, Kim YS. The present conditio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korean dental(hygiene)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bstract of the 36th general academic symposium of korean dental hygiene 2014; 61-5. 

  12. Won BY, Jang GW, Hwang MY, Kim SA, Jang JH.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 dental hygiene curriculum proposal.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1): 1-12. 

  13. Won BY, Hwang MY, Chun SY. The actual condition of operating dental hygiene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America.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6): 1061-71. 

  14. Eaton JS. An overview of U.S. accreditation. Council for Higher Education Acceditation. 2011. 

  15. South East Asia Association for Dental Education (SEAADE). About us, Objectives[Internet]. [cited 2014 Aug 18]. Available from: http://www.seaade.org/. 

  16. Commission on Dental Accreditation(CODA). Accreditation [Internet]. [cited 2014 Aug 18]. Available from: http://www.ada.org/coda. 

  17. International Society of Dental Regulators(ISDR). Events,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verview[internet]. [cited 2014 Aug 18]. Available from: http://isdronline.org/. 

  18. KIDEE. The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dental education accreditation. Kor J Dent Educ 2009; 2(1): 5-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