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AV를 활용한 초분광 영상의 하천공간특성 분류 연구
The Study on Spatial Classification of Riverine Environment using UAV Hyperspectral Imag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10, 2018년, pp.633 - 639  

김영주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  한형준 (주식회사 네이처앤휴먼) ,  강준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복잡하고 다양한 인자의 특성에 따라 공간을 세밀하게 분류하기 위해서는 원격탐사(RS)를 통해 고해상도의 영상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하천공간을 대상으로 환경 특성에 따른 공간 분류를 수행하기 위해 드론을 활용하여 취득한 고해상도 초분광 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분류 결과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에서 획득한 초분광 영상은 노이즈로 인한 영향을 줄이고자 MNF와 PCA 기법으로 차원축소를 수행하였으며, MLC(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와 SVM(Support Vector Machine), SAM(Spectral Angle Mapping) 감독분류기법을 적용하여 하천환경특성에 따른 공간분류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MNF기법으로 차원 축소한 영상을 적용하여 MLC 감독분류를 수행하였을 때 가장 높은 분류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으나, 일부 클래스 및 수역의 경계와 그림자 공간에서 주로 오분류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앞으로 드론과 초분광센서를 적용한 원격탐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보다 광범위한 하천환경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resolution images using remote sensing (RS) is importance to secure for spatial classific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and various factors that make up the river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results and to sugg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저수로, 하상재료, 식생, 수변 생물 서식처 및 하천시설물 등 다양한 탐사대상체가 혼합된 분광특성을 나타내는 하천 환경 공간을 대상으로 보다 세밀한 분류를 위해 고해상도 초분광 영상의 획득 및 분석을 통해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드론으로 획득한 초분광 영상을 MNF 차원 축소법을 적용하여 하천환경 인자에 따른 MLC 감독분류를 수행하였을 때, 가장 높은 분류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하천공간특성에 따른 영상분류와 더불어 각 인자의 분광반사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태양복사에너지의 영향으로 인한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반사율 개념을 적용하여야 하며[10], 복사휘도 값에서 대기의 영향을 제거하는 대기보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Fig.
  • 따라서 드론 기반 초분광 영상의 하천환경인자 분석을 통해 보다 세밀한 공간분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실제 이를 수행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하천환경조사를 위해 소형 UAV를 활용하여 고해상도 초분광 영상을 취득하였으며, 차원축소법과 분류기 적용에 따른 공간 분류 정확도 평가를 통해 초분광 영상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초분광 자료를 활용한 영상분류는 공간을 정해진 등급으로 분류하는 것을 넘어 특정 대상물을 탐지하고 인식하는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4].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의 초분광 영상을 활용하여 하천인자의 분광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천 공간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고자 감독분류기법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분광 영상의 특징은? RGB나 다중분광영상은 높은 공간 해상도로 인해 크기가 작은 물질의 클래스를 부여하는데 있어서는 효과적이지만 분광해상도가 낮아 분광정보가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다양한 대상물 간의 분류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반면, 초분광 영상(hyperspectral image)은 대상 객체의 분광 반사곡선을 수백 개의 연속적인 분광 파장 영역으로 상세하게 해당 물체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4]. 최근 국내에서도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도 작성 및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원격탐사란? 원격탐사는 관측 대상과 직접적인 접촉 없이 물체에 관한 정보를 얻어내는 기술로서 현장접근이 어려운 지역이거나 조사 지역이 광범위할 경우 효율적인 자료취득이 가능하다[1].
OLI 영상을 활용한 방법의 특징은? RGB나 다중분광영상은 높은 공간 해상도로 인해 크기가 작은 물질의 클래스를 부여하는데 있어서는 효과적이지만 분광해상도가 낮아 분광정보가 미세한 차이를 보이는 다양한 대상물 간의 분류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반면, 초분광 영상(hyperspectral image)은 대상 객체의 분광 반사곡선을 수백 개의 연속적인 분광 파장 영역으로 상세하게 해당 물체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 J. Seo, "The Study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Hyperspectral Image Using Decision Tree Method", Master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7. 

  2. J. M. Kang, J. S. Lee, J. B. Kim, C. Zhang, "A Study to Compare SVM with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Using the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Proceedings of 35th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p.1563-1566, 2009. 

  3. J. S. Park, W. H. Lee, M. H. Jo, "Improving Accuracy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River Basins Using Landsat-8 OLI Image, Vegetation Index and Water Index",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19, No.2, pp.98-106. DOI: https://dx.doi.org/10.11108/kagis.2016.19.2.098 

  4. S. H, Kim, K. S. Lee, J. R. Ma, M. J. Kook, "Current Status of Hyperspectral Remote Sensing: Principle, Data Processing Techniques, and Application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21, No.4, pp.341-369, 2005. 

  5. H. G. Cho, K. S. Lee, "Comparison between Hyperspectral and Multispectral Images for the Classification of Coniferous Speci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30, No.1, pp.25-36, 2014. DOI: https://dx.doi.org/10.7780/kjrs.2014.30.1.3 

  6. H. L. Park, J. W. Choi, "Accuracy Evaluation of Supervised Classification by Using Morphological Attribute Profiles and Additional Band of Hyperspectral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25, No.1, pp.9-17, 2017. DOI: https://dx.doi.org/10.7319/kogsis.2017.25.1.009 

  7. Y. J. Park, H. J. Jang, Y. S. Kim, K. H. Baik, H. S. Lee, "A Research on the Applicability of Water Quality Analysis using the Hyperspectral Sens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Vol.17, No.3, pp.113-125, 2014. 

  8. D. Stratoulias, H. Balzter, A. Zlinszky, V. R. Toth, "Assessment of ecophysiology of lake shore reed vegetation based on chlorophyll fluorescence, field spectroscopy and hyperspectral airborne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Vol.157, pp.72-84, 2015. DOI: https://doi.org/10.1016/j.rse.2014.05.021 

  9. T. H. Song, "Development of Korean Typed Drone for Water Resources management", Water for Future, Vol.49, No.6, pp.30-36, 2016. 

  10. F. E. Nicodemus, J. C. Richmond, J. J. Hsia, I. W. Ginsberg, T. Limperis, "Geometrical Considerations and Nomenclature for Reflectance",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USA, 1977. 

  11. S. Kaewpijit, J. Le Moigne, T. El-Ghazawi, "Automatic reduction of hyperspectral imagery using wavelet spectral analysi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41, No.4, pp.863-871, 2003. DOI: https://dx.doi.org/10.1109/TGRS.2003.810712 

  12. D. Y. Han, Y. W. Cho, Y .I. Kim, Y. W. Lee, "Feature Selection for Image Classification of Hyperion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19, No.2, pp.171-179, 2003. 

  13. A. A. Green, M. Berman, P. Switzer, M. D. Craig, "A transformation for ordering multispectral data in terms of image quality with implications for noise removal",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26, No.1, pp.65-74, 1988. DOI: https://dx.doi.org/10.1109/36.3001 

  14. Q. S. Li, F. K. K. Wong, T. Fung, "Assessing the Utility of UAV-borne Hyperspectral Image and Photogrammetry Derived 3D Data for Wetland Species Distribution Quick Mapping", ISPRS -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XLII-2, No.W6, pp.209-215, 2017. DOI: https://dx.doi.org/10.5194/isprs-archives-XLII-2-W6-209-2017 

  15. J. B. Campbell, R. H. Wynne, "Introduction to Remote Sensing, 5th Edition", The Guilford Press, USA, pp.684, 2011. 

  16. G. Camps-Valls, L. Bruzzone, "Kernel-based methods for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43, No.6, pp.1351-1362, 2005. DOI: https://dx.doi.org/10.1109/TGRS.2005.846154 

  17. J. R. Jensen, "Introductory Digital Image Processing: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4th Edition"(J. H. Im, H. G. Sohn. S. Park, Trans.), SIGMAPRESS, pp.397-401, 470-471, 477-478, 2016. 

  18. J. R. Jensen, "Remote Sensing of the Environment: An Earth Resource"(H. S. Chae, Trans.), SIGMAPRESS, pp.402-403,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