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 이용자의 과몰입을 탐지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ystem for detecting game user's addiction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18 no.5, 2018년, pp.23 - 30  

오성균 (서일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과) ,  윤태복 (서일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CT기술의 발달과 함께 게임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게임의 과도한 플레이로 인하여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운 사례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게임 과몰입에 대한 진단과 대응 방안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게임 이용자의 게임 이용 정보를 기반으로 게임 과몰입을 진단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과몰입 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과몰입 및 선용 이용자를 분류하고, 실제 게임 환경에서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모델링하였다. 게임 이용자의 과몰입 및 선용군 모델은 새로운 게임 이용자의 과몰입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지식으로 활용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진단 결과에 따라 문자서비스, 리포팅 등의 서비스 방안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the game industry is growing rapidly. However, due to the excessive play of the game, there are cases where normal life is difficul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iagnosi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such game addiction. This paper study a system for diagnos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게임 과몰입 성향을 가진 대상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및 돕기 위해서는, 게임이용자를 다차원적으로 파악하는 동시에 개인의 능동성을 바탕으로 게임을 선용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들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게임 과몰입 진단 척도를 기반으로 게임과몰입 정도와 게임의 상호연관성을 살펴본 후 게임 시스템 안에서 게임 플레이 데이터를 이용해 게임 과몰입 위험 수준을 탐지하여 과몰입 이전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게임은 무엇을 잘 보여주는 분야인가? 이처럼 게임은 진보한 테크놀로지와 문화적 역량을 결함한 콘텐츠라 하겠다[2]. 게임은 예술과 문화산업은 분리된 영역이 아니고 교차하는 영역이 존재한다는 것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분야이다. 따라서 그것은 문화적 창의성을 핵심 성분으로 삼으며, 놀이에 대한 근원적 욕망이 발현하는 매개자이다.
게임 과몰입 이용자의 게임 이용 행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어떤 환경을 제공하였는가? 게임 과몰입 이용자를 대상으로 게임 이용 행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두 가지 환경을 제공하였다. 첫 번째는 퍼즐, 어드벤쳐, 슈팅 게임을 이용하여 게임 선택 취향, 이용시간, 능숙도 등을 수집하였다. 두 번째는 윈도우 기반 이벤트를 수집하여 상용화된 게임 중에 이용자가 즐기는 게임이 무엇인지, 게임 이용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사용자의 게임 로그는 게임 로그 분석기(Game Log Analyzer)와 게임 이용자 모델생성기(Game User Model Generator)를 이용하여 모델 생성에 활용하였으며, 이 두 가지 프로그램은 MFC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인터넷 중독예방센터에서는 인터넷 중독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경제적 효자 산업이면서 중독과 폭력의 매개자 사이에서 우리의 게임담론은 좀처럼 균형을 잡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 중독예방센터에서는 인터넷 중독을 "인터넷 사용에 대한 금단과 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의 장애가 유발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상담현장에서는 이미 심각한 정신질환 현상으로 간주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 Sang Hyun, Choi Min Kyu, "Computer time control system for game addiction prevention",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ol.1, No.1, 2001. 

  2. Kypum Sup Kim, Yeong Seok Yi, "Culture of Korea : Performance of digital games and subjectivity of "game playing"", Korean Thought and Culture, Vol. 77, 2015. 

  3. Park ChangSeok, "A Constitutional Investigation on the Online Game Shutdown System", Han Yang Law Review, Vol. 37, 2012. 

  4. 2013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Summary Report,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3. 

  5. Jee Sook Baik, "College Adaptation and Internet Game Addiction by Internet Game Motivation Types", Korean Children's Journal, Vol. 26, No.1, 2005. 

  6. Jun Ho Seo, Hee Kyung Lee, "The Relation Between Game Flow and Game Addiction: Moder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9, No.11, 2012. 

  7. Sung Man Bae, "Exploration of Predictive factors of Internet Game Addic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by using Data Mining ",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1, No.9, 2014. 

  8. Daeyoung Che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me addiction prevention system based on Direct3D hook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3. 

  9. Sung-yeol Song, Won-moon Song, Soo-min Song, Myung-Won Kim, "XPIA: An Expert System for Automatic Diagnosis / Prescription of Youth Internet Addiction", Journal of KIISE, Vol.40, No.8, 2013. 

  10. Jae Soo Kim, " An Internet,Game Addiction Prevention and Detection System using Wearable Dev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Vol.24, 2015. 

  11. Eunjoo Kim, Joo-hwan Kim, Unjin Shin, "Gender differences and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problematic online game use among Korean childre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46, No.1, 2008. 

  12. Hyeonjae Yoo, Ha-nui Park, Woong Yang, "Messages Promoting to Prevent Addiction to Online-Games Among Teenagers : Applying Physical-Psychological Appeals and Positive-Negative Framing",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25, No.1, 2014 

  13. Clickteam Fusion web : www.clickteam.com 

  14. GameMaker Studio web : ww.yoyogames.com 

  15. Unity3D web : www.unity3d.com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